728x90
책소개
조선시대의 4대사화. 이는 무너져가는 사회를 바로 잡으려는 신진 사림과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훈구 기성관료들의 대립이었다. 그 시대 사림파의 머리 속에는 도덕지향과 불굴의 실천 의지를 정당화하려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던 이언적의 정신이 담겨 있었다. 이언적. 그는 사사화로 유배되어 강계에서 63세의 나이로 숨질 때까지 사화의 격동기를 살면서 한국 성리학의 기초를 다진 조선 전기 성리학자였다.
한국 성리학을 대표하는 인물이 이황과 이이이며 이들에게서 한국 성리학의 특성이 잘 드러나는 중요한 이론 틀이 만들어졌다는 사실은 누구나 인정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그 같은 논의의 지평을 연 선구자는 화담 서경덕과 회재 이언적이었다고 평가된다.
이 책은 이러한 이언적의 경학은 한국 성리학의 흐름에서 어떠한 의미가 있으며 또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이언적의 독창성과 자유로운 학문 태도는 한국 성리학의 독자적인 경전 해석을 이끌어내는데 어떤 공헌을 했는지 등을 자세히 알아본다. 아울러 그의 도덕 수양의 강조를 통해 전제왕조와 관료들에 대한 견제 역할을 함으로써 양심적 지식인들의 견해를 논리적으로 담아낸 점을 강조 한다.
한국 성리학을 대표하는 인물이 이황과 이이이며 이들에게서 한국 성리학의 특성이 잘 드러나는 중요한 이론 틀이 만들어졌다는 사실은 누구나 인정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그 같은 논의의 지평을 연 선구자는 화담 서경덕과 회재 이언적이었다고 평가된다.
이 책은 이러한 이언적의 경학은 한국 성리학의 흐름에서 어떠한 의미가 있으며 또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이언적의 독창성과 자유로운 학문 태도는 한국 성리학의 독자적인 경전 해석을 이끌어내는데 어떤 공헌을 했는지 등을 자세히 알아본다. 아울러 그의 도덕 수양의 강조를 통해 전제왕조와 관료들에 대한 견제 역할을 함으로써 양심적 지식인들의 견해를 논리적으로 담아낸 점을 강조 한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이언적의 시대와 생애
1장 정치, 경제, 사회적 배경
2장 사상적 배경
3장 이언적의 생애와 저술
4장 이언적 관련 유물과 유적
제2부 이언적의 철학 사상
1장 태극논쟁
2장 '대학자욱' 개정
3장 단본청원의 심학
4장 치중화의 경세관
5장 이언적 철학의 의미
제3부 이언적의 저술
1장 시(詩)
2장 부(賦)
3장 잡저(雜著)
4장 무극태극 논쟁 편지
5장 론(論)
6장 서(序)
3장 사편
4장 보패원징
5장 인학
연보/참고문헌/찾아보기
제1부 이언적의 시대와 생애
1장 정치, 경제, 사회적 배경
2장 사상적 배경
3장 이언적의 생애와 저술
4장 이언적 관련 유물과 유적
제2부 이언적의 철학 사상
1장 태극논쟁
2장 '대학자욱' 개정
3장 단본청원의 심학
4장 치중화의 경세관
5장 이언적 철학의 의미
제3부 이언적의 저술
1장 시(詩)
2장 부(賦)
3장 잡저(雜著)
4장 무극태극 논쟁 편지
5장 론(論)
6장 서(序)
3장 사편
4장 보패원징
5장 인학
연보/참고문헌/찾아보기
1. 이언적은 어떤 사상가인가
이언적이 살았던 15-6세기는 조선이 건국된 초기의 불안정한 상황과 그 뒤를 이은 안정기를 지나 이제는 많은 사회 문제들이 드러나기 시작한 때였다. 그 같은 문제들은 토지제도, 군사제도, 공물제도, 관료제도 등 거의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나타났으며, 그 결과가 무오 갑자 기묘 을사로 이어진 4대사화였다.
4대사화는 무너져가는 사회를 바로 잡으려는 신진 사림과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훈구 기성관료들의 대립이었다. 4대사화 동안 자신의 수양에 철저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도덕적인 사회를 만들기 위해 애쓰던 신진 사림들은 대부분 죽거나 귀양 가는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하지만 연속적인 사화에도 불구하고 사림들은 위축되지 않은 채 계속해서 사회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을 이어갔다. 바로 이 같은 사림파들의 올곧은 도덕지향과 불굴의 실천 의지를 정당화하려는 노력이 이언적의 주장 속에 담겨 있는 것이다. 이언적은 을사사화로 유배되어 강계에서 63세의 나이로 숨질 때까지 사화의 격동기를 살면서 한국 성리학의 기초를 다진 조선 전기 성리학자였다.
이언적의 철학은 그 뿌리가 주자학이었다. 그래서 조선시대 임금 가운데 학자로 꼽히는 정조는 이언적이 주희의 대학장구 를 비판하면서 새롭게 지은 대학장구보유 에 서문을 붙이면서도 오히려 주희를 잘 배웠다고 평가하였고, 후대 학자들 또한 서경덕 이황 이이 임성주 기정진과 함께 조선조 성리학의 6대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았다.
한국 성리학을 대표하는 인물이 이황과 이이이며 이들에게서 한국 성리학의 특성이 잘 드러나는 중요한 이론 틀이 만들어졌다는 사실은 누구나 인정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그 같은 논의의 지평을 연 선구자는 화담 서경덕과 회재 이언적이었다. 두 사람은 서경덕이 2년 앞설 뿐 거의 같은 시기에 태어나 독자적인 학문 세계를 개척하였다. 그 가운데 서경덕이 기를 중심으로 한 논의를 전개하면서 이이에게 영향을 준 부분이 많았다면, 이언적은 리를 중심으로 한 논의를 전개하면서 이황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이이가 서경덕의 학문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이언적의 행적을 비판한 것과 이황이 서경덕의 학문을 전면 부정하면서 이언적의 학문을 적극 긍정한 것은 좋은 대조를 이룬다.
2. 이언적 철학의 의미는
이언적의 경학은 한국 성리학의 흐름에서 어떠한 의미가 있으며 또한 어떤 역할을 했는가 조선 전기 철학의 흐름을 보면 대학연의 등을 중심으로 도덕적 경세관이 강하게 자리 잡으면서 한편으로는 김굉필이나 김안국처럼 소학 을 중심으로 한 일용실천(日用實踐)의 학문이 중시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광조처럼 지치주의(至治主義) 철학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이러한 학문 경향과 달리 권근이나 유숭조(柳崇祖) 등을 중심으로 한 이기론적 탐구가 있었고, 또 고려말 절의파들의 실천이 사림들에게 중요한 의식으로 자리 잡으면서 가치 문제에 대한 관심을 강화시켰다. 이언적은 이러한 흐름을 종합하면서 조선 중기 이황과 이이를 중심으로 한 인성론적 탐구로 나아가는 교량 역할을 하였다. 특히 대학 과 중용 9경에 대한 관심은 수신제가로서의 일용실천 학문과 치국평천하로서의 지치주의 학문을 결합시킨 의미가 크다. 또한 그 과정에서 사림파들의 실천을 이어받아 강한 도덕 실천을 지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아울러 이를 인성론 중심의 가치철학으로 정립시켜 나갔다. 그 가운데서도 대학장구 의 개정에서 드러난 가치 중시의 관점은 문제의 근원을 심(心)으로 귀결시킴으로써 도덕론 중심의 심성론으로 나아가는 단초를 만들었다.
또 다른 차원에서는 대학 을 포함한 이언적의 저작 모두가 독창적 요소를 많이 지니고 있는 점이 중요하다. 그는 주희와 정이를 흠모하고 따르면서도 답습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독창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학문을 펼쳤으며, 개인적인 도덕 수양에 머무르지 않고 이를 사회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이언적이 활동하던 조선 전기는 주희의 사상을 금과옥조로 여기고 따르면서 그의 저술에서 글자 하나만 바꾸어도 사문난적으로 대하던 조선 후기의 상황과는 다르지만, 이 같은 이언적의 독창성과 자유로운 학문 태도는 한국 성리학의 독자적인 경전 해석을 이끌어내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이언적이 강조한 리 중시의 철학은 조선 중기가 봉건 전제국가라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왕권 유지를 위한 보수적 이념이 될 수 있다는 한계를 지닌다. 본래 유학에서 강조하는 도덕법칙은 인간관계에서 지켜야 할 윤리였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삼강오륜이었다. 임금과 신하, 아버지와 아들, 남편과 아내, 형과 동생, 친구 사이의 관계 규정이 모두 여기에 해당한다. 더구나 조선은 왕이 통치하는 전제주의 국가였으며 왕 중심의 사회가 흔들림 없이 질서를 유지하려면 왕의 권한이 강해져야 했다. 따라서 지배자를 위한 윤리가 강조될 수밖에 없으며 이런 점은 중세 철학 일반이 지니는 한계였다. 사실 모든 철학은 언제나 그 철학이 몸담고 있는 사회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회가 지닌 역사적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 하지만 그럼에도 철학의 역할 가운데 중요한 다른 하나는 비판적 기능이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비록 이언적의 철학에 앞서 언급한 한계가 있더라도 사상과 사회의 상호발전 과정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게 된다. 그것은 이언적이 도덕 수양의 강조를 통해 전제왕조와 관료들에 대한 견제 역할을 함으로써 양심적 지식인들의 견해를 논리적으로 담아낸 점이다.
'52.동양철학의 이해 (독서>책소개) > 2.한국철학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황. 기대승 사단칠정을 논하다 (0) | 2021.12.22 |
---|---|
이황 & 이이 :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0) | 2021.12.22 |
봉선잡의 : 이언적李彦迪(1491~1553) 선생의 제례祭禮에 관한 책 (0) | 2021.12.22 |
회재 이언적의 경학사상 (0) | 2021.12.22 |
화담집 : 조선 중기 이후 한국적인 성리학의 토대를 다지다! (0) | 2021.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