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원효 스님(617~696)은 7세기 삼국통일 전쟁 한가운데서 활약했으며 일심의 깨달음을 통해 중국에 유학 가지 않고 어디에도 걸리지 않는 무애행의 대중 교화와 수준 높은 저술 활동에 일생 매진하였다. 원효는 현재까지 한국이 낳은 가장 독창적이고 보편적인 사상가였을 뿐 아니라 동아시아 사상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인물이라고 생각된다.
2017년은 원효 탄신 1400주년이 되는 해였다.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에서는 원효 탄신을 기념하기 위한 학술 행사를 몇 년 전부터 준비했으며, 그 준비의 일환으로 2014년부터 원효의 문헌을 찾기 시작했다. 그 결과 둔황사본 『기신론소』 단간 외에도 가나가와현립 가나자와문고에 원효 최고본 『기신론별기』 사본이 존재하는 것을 발굴했고, 나고야 혼쇼지에 최고본 『대혜도경종요』가 있는 것을 발굴하였다.
아울러 2016년에서 2017년에 걸쳐 『판비량론』 단간 몇 점을 새롭게 발굴하였으며, 신라 사본들도 새롭게 발굴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은 2016년 8월에 원효 저술 및 신라 사본을 연구하는 학술대회를 가나가와현립 가나자와문고·한국사상사학회와 공동으로 개최한 것을 시작으로, 총 여섯 번에 걸쳐 원효 스님 탄신 1400주년 기념행사를 기획하고 실행하였다.
이 책은 위와 같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원 HK연구단이 주최 및 주관이 되어 개최한 여섯 번에 걸친 학술대회의 결과물 가운데에서 의미 있는 논문들을 선택하여 각 주제별 및 문헌별로 18편을 모아 『원효元曉, 문헌과 사상의 신지평』이라는 제목으로 묶어 놓은 것이다. 원효 스님의 탄신이 다시 세계에 빛을 비추고 우리들의 사유를 개혁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하면서 이 책에 실린 18편 논문의 일독을 권한다.
2017년은 원효 탄신 1400주년이 되는 해였다.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에서는 원효 탄신을 기념하기 위한 학술 행사를 몇 년 전부터 준비했으며, 그 준비의 일환으로 2014년부터 원효의 문헌을 찾기 시작했다. 그 결과 둔황사본 『기신론소』 단간 외에도 가나가와현립 가나자와문고에 원효 최고본 『기신론별기』 사본이 존재하는 것을 발굴했고, 나고야 혼쇼지에 최고본 『대혜도경종요』가 있는 것을 발굴하였다.
아울러 2016년에서 2017년에 걸쳐 『판비량론』 단간 몇 점을 새롭게 발굴하였으며, 신라 사본들도 새롭게 발굴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은 2016년 8월에 원효 저술 및 신라 사본을 연구하는 학술대회를 가나가와현립 가나자와문고·한국사상사학회와 공동으로 개최한 것을 시작으로, 총 여섯 번에 걸쳐 원효 스님 탄신 1400주년 기념행사를 기획하고 실행하였다.
이 책은 위와 같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원 HK연구단이 주최 및 주관이 되어 개최한 여섯 번에 걸친 학술대회의 결과물 가운데에서 의미 있는 논문들을 선택하여 각 주제별 및 문헌별로 18편을 모아 『원효元曉, 문헌과 사상의 신지평』이라는 제목으로 묶어 놓은 것이다. 원효 스님의 탄신이 다시 세계에 빛을 비추고 우리들의 사유를 개혁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하면서 이 책에 실린 18편 논문의 일독을 권한다.
목차
서문 | 김종욱 … 4
제1부 여래장과 불성
『대승기신론별기』 및 『대승기신론소』
1 원효의 『대승기신론별기』 성립에 대한 새로운 이해 | 최연식 …1 5
2 원효 『기신론별기·소』의 전승과 정본화 시도 | 김천학 … 43
『금강삼매경론』
3 『금강삼매경론』의 성립 사정 | 이시이 코세이(石井公成) … 77
『열반종요』
4 원효 『열반종요』의 무정불성설 | 장원량(張文良) … 117
제2부 유식과 화엄
『이장의』
5 원효의 『이장의』 ‘현료문’에 나타난 해석상의 특징 | 안성두 …1 43
『중변분별론소』
6 원효 『중변분별론소』의 사상사적 위상과 그 의의 | 모로 시게키(師茂
樹) … 177
『화엄경소』
7 원효 『광명각품소』의 해석상의 특징 | 김천학 … 209
제3부계율과 반야
『보살계본지범요기』
8 동아시아 보살계 사상의 전개와 원효 『보살계본지범요기』의 성격 | 박
광연 … 245
9 원효의 『보살계본지범요기』가 일본불교에 미친 영향 | 김병곤 … 273
『본업경소』
10 원효의 『본업경소』 중 ‘사십이위설’ | 아오잉(敖英) … 319
『대혜도경종요』
11 원효 『대혜도경종요』의 기초 연구 | 오카모토 잇페이(岡本一平) … 345
제4부 호국과 정토
『금광명경소』
12 원효 『금광명경소』 집일의 현황과 그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한명
숙 … 383
13 『금광명경』 삼신설에 대한 원효의 이해 -자은 기와 정영 혜원과의 비
교 고찰을 통하여- | 이수미 … 421
『무랑수경종요』
14 원효 찬 『무량수경종요』 연구 방법 개혁론 -일본불교의 원효 정토교
평가의 변화에 착목하여- | 아타고 구니야스(愛宕邦康) … 451
제5부 논리와화쟁
『판비량론』
15 신출 자료 바이케이 구장본 『판비량론』 단간에 대해서 | 오카모토 잇
페이(岡本一平) … 479
16 원효 『판비량론』의 새로운 발굴 -고토미술관 및 미쓰이기념미술관 소
장본을 중심으로- | 김영석 … 497
17 불교논리학의 흐름과 『판비량론』의 논쟁학 | 김성철 … 523
『십문화쟁론』
18 분황 원효의 화쟁 회통 인식 -『십문화쟁론』을 중심으로- | 고영섭 …
555
찾아보기 … 608
저자 소개 … 623
제1부 여래장과 불성
『대승기신론별기』 및 『대승기신론소』
1 원효의 『대승기신론별기』 성립에 대한 새로운 이해 | 최연식 …1 5
2 원효 『기신론별기·소』의 전승과 정본화 시도 | 김천학 … 43
『금강삼매경론』
3 『금강삼매경론』의 성립 사정 | 이시이 코세이(石井公成) … 77
『열반종요』
4 원효 『열반종요』의 무정불성설 | 장원량(張文良) … 117
제2부 유식과 화엄
『이장의』
5 원효의 『이장의』 ‘현료문’에 나타난 해석상의 특징 | 안성두 …1 43
『중변분별론소』
6 원효 『중변분별론소』의 사상사적 위상과 그 의의 | 모로 시게키(師茂
樹) … 177
『화엄경소』
7 원효 『광명각품소』의 해석상의 특징 | 김천학 … 209
제3부계율과 반야
『보살계본지범요기』
8 동아시아 보살계 사상의 전개와 원효 『보살계본지범요기』의 성격 | 박
광연 … 245
9 원효의 『보살계본지범요기』가 일본불교에 미친 영향 | 김병곤 … 273
『본업경소』
10 원효의 『본업경소』 중 ‘사십이위설’ | 아오잉(敖英) … 319
『대혜도경종요』
11 원효 『대혜도경종요』의 기초 연구 | 오카모토 잇페이(岡本一平) … 345
제4부 호국과 정토
『금광명경소』
12 원효 『금광명경소』 집일의 현황과 그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한명
숙 … 383
13 『금광명경』 삼신설에 대한 원효의 이해 -자은 기와 정영 혜원과의 비
교 고찰을 통하여- | 이수미 … 421
『무랑수경종요』
14 원효 찬 『무량수경종요』 연구 방법 개혁론 -일본불교의 원효 정토교
평가의 변화에 착목하여- | 아타고 구니야스(愛宕邦康) … 451
제5부 논리와화쟁
『판비량론』
15 신출 자료 바이케이 구장본 『판비량론』 단간에 대해서 | 오카모토 잇
페이(岡本一平) … 479
16 원효 『판비량론』의 새로운 발굴 -고토미술관 및 미쓰이기념미술관 소
장본을 중심으로- | 김영석 … 497
17 불교논리학의 흐름과 『판비량론』의 논쟁학 | 김성철 … 523
『십문화쟁론』
18 분황 원효의 화쟁 회통 인식 -『십문화쟁론』을 중심으로- | 고영섭 …
555
찾아보기 … 608
저자 소개 … 623
'49.불교의 이해 (독서>책소개) > 2.한국불교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불교 통사 (0) | 2022.09.02 |
---|---|
고려사회와 밀교 (0) | 2022.08.10 |
테마 한국불교 9 (0) | 2022.05.01 |
한국의 종교 불교 (0) | 2022.02.23 |
고려시대의 불교와 상도개경 (0) | 2022.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