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기독교역사 [역사지식여행]/1.한국교회사 (천주교.개신교) 24

[웹북] 올리버 R. 에이비슨 (1860~1956) - 의사.교수.장로선교사.

올리버 R. 에이비슨올리버 R. 에이비슨출생 1860년 6월 30일 / 영국 요크셔사망 1956년 8월 29일(96세) / 미국 플로리다 피터스버그성별 남성국적 캐나다별칭 어비신학력 토론토 대학교직업 의사, 교수, 선교사종교 장로교올리버 R. 에이비슨(영어: Oliver R. Avison, 한국어: 어비신(魚丕信), 1860년 6월 30일 ~ 1956년 8월 29일)은 캐나다의 선교사이자 의사이다. 1893년 6월부터 1935년 11월까지 한국에서 체류하며 활동하였다. 제중원의 제4대 원장,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와 연희전문학교 교장을 역임하면서 오늘날 연세대학교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생애선교사 파송에비슨은 1860년 6월 30일에 영국 요크셔에서 태어나 1866년 캐나다로 이주하였다.1879년 오타와의 ..

[웹북] 제중원 (1885설립)

1885년 광혜원제중원제중원(濟衆院)은 조선 정부가 1885년 4월 14일(음력 2월 29일) 최초로 설립한 서양식 병원이며, 조선 정부가 최초로 설립한 교육병원이기도 하다. 본래 광혜원(廣惠院)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나, 12일 지난, 같은 해 4월 26일(음력 3월 12일) 광혜원이라는 명칭은 취소되고 제중원(濟衆院)이라 명명되었다. 1894년 동학농민전쟁, 청일전쟁,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 갑오개혁 등으로 조선이 총체적 난국에 빠지고 일본이 제중원을 빼앗으려 하자, 고종과 조선정부는 제중원 소유권을 보유한 채 운영권을 미국북장로회 선교부로 이관하였다. 1904년 미국북장로회 선교부는 미국 사업가 세브란스의 지원을 받아 세브란스병원을 설립하였고, 1905년 대한제국 정부는 제중원 부지와 건물을 환수..

[웹북] 존헤론 (1856~1890) - 북장로교 소속 선교사.의사.

존 헤론존 헤론출생 1856년 6월 30일영국 더비셔주사망 1890년 7월 26일(34세) / 조선 한성부성별 남성국적 미국학력 뉴욕 대학교직업 의사, 선교사종교 장로교존 헤론(John W. Heron, 1856년 6월 15일 ~ 1890년 7월 26일)은 미국의 북장로교 소속 선교사이자 의사이다. 한국 이름은 혜론(蕙論)이다. 개신교 선교사로서는 최초로 조선에 파견 선교사로 임명받았다.(1884년 봄) 그러나 조선 정국이 불안하다는 선교회의 판단에 따라 일정이 지체되어 알렌이나 언더우드보다 방한이 늦어지고 말았다. 생애1858년 영국 더비셔주에서 태어나, 1870년 5월 가족들과 함께 미국 테네시주의 녹스벌로 이주하였다.테네시주의 메리빌 대학 의학과를 졸업하고, 그 이후 테네시 대학교 의과대학에 진학했..

[웹북] 조지 헤버 존스 (1867~1919) - 1887 감리교선교사 부임

조지 헤버 존스조지 헤버 존스한국 이름한글 조원시맥큐네-라이샤우어 조원시조지 히버 존스(George Heber Jones , 1867년 8월 14일 ~ 1919년 5월 11일)는 한국 에서 활동한 미국의 기독교 선교사였다 .뉴욕 유티카 에서 성장한 존스는 한국 종교 연구에 학문적 접근을 취한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로 유명하다 .1906년 호놀룰루 감리교회를 방문한 조지 히버 존스(앞쪽 중앙)직업한국에서의 사명존스는 1887년 감리교 목사로 한국에 도착했다.그는 그곳에서 한국에서 기독교를 전파하는 데 큰 공헌을 했을 뿐만 아니라 세 개의 학술지인 ' 한국어 저장소' , '한국어 리뷰' , '신학 월보 '를 창간했다. 그는 또한 한국인의 하와이 이민을 장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902년 12월 22일에..

[웹북] 윌리암 벤턴 스크랜턴 (1856~1942) - 미국 북감리교회 선교사

윌리엄 벤턴 스크랜턴William Benton Scranton 윌리엄 스크랜턴 본명 윌리엄 벤턴 스크랜턴로마자 표기 William Benton Scranton출생 1856년사망 1922년성별 남성국적 미국직업 선교사소속 미국 북감리교회 윌리엄 스크랜턴윌리엄 벤턴 스크랜턴(William Benton Scranton, 1856~1922) 선교사는 미국 북감리교회에서 한국에 파송한 선교사로 서울 시병원과 아현교회, 상동교회, 동대문교회 등을 설립하였고, 목사이자 독립운동가인 전덕기를 비롯한 많은 교회 지도자들을 길러냈다. 한국 이름은 시란돈(施蘭敦)이었다. 생애출생과 성장윌리엄 벤턴 스크랜턴(William Benton Scranton)은 1856년 5월 29일 미국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서 아버지 윌리엄 스크랜..

[웹북] 기독교대한감리회

감리교배경예수 /그리스도 /삼위일체 / 성경 /사도 /교부 / 기독교 /공교회주의 / 개신교 /만인제사장 /성화 / 청교도 / 영국국교회조직공교회 / 감독 /연회 / 감리사 /지방회 / 목사 /구역회 / 수련목회자 /전도사 / 교리와 장정관련 인물존 웨슬리 / 찰스 웨슬리 / 조지 화이트필드 / 리처드 알렌신학 교리공교회주의 / 복음주의 /신학 / 성경 / 전통 /이성 /경험 / 만인구원론 /자유의지 /목회신학 /성례전 / 경건주의 /조직신학 기독교대한감리회기독교대한감리회(基督敎大韓監理會)는 대한민국에 있는 감리교회, 즉 공교회 신학과 존 웨슬리 신학, 감리교 신앙과 제도를 따르는 개신교 교단으로 감리교 연합체인 세계감리교협의회 정식 소속 교단이다. 단일 교단으로는 가장 큰 규모다. 대한민국에서는 기독교..

[웹북] 이수정 (1842~1886) - 성서번역가

이수정 (1842년)이수정(왼쪽)과 자필로 쓴 신앙고백(오른쪽, 1883년). 이수정 출생 1842년 조선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면사망 1886년 조선 사인 처형(순교)성별 남성국적 조선직업 도승지, 성서번역가종교 개신교이수정(李樹廷, 1842년 ~ 1886년)은 조선 말기의 개신교 신자이자 성서번역가이다. 임오군란때 명성황후의 공을 세워 왕실의 신임을 얻은 후 일본 방문의 기회를 잡았고 일본에 체류중인 1883년에 개종했다. 마가복음을 한글로 번역하여 일본을 경유한 후 조선에 입국하는 선교사들이 한글성경을 지니고 선교할 수 있게 하였다. 일본에 체류중이던 개신교 선교사 아펜젤러와 언더우드에게 한국어를 가르쳤고 유학생들과 개화파들에게 개신교 교리를 전하기도 했다. 일생이수정은 1842년 전라남도 곡성군 옥..

[웹북] 로버트 새뮤얼 맥클레이 (1824~1907) - 감리교 조선선교사

로버트 새뮤얼 매클레이Robert Samuel Maclay로버트 새뮤얼 매클레이출생 1824년사망 1907년성별 남성국적 미국직업 선교사, 교육자소속 감리교회종교 감리교 로버트 새뮤얼 매클레이(Robert Samuel Maclay; 1824년 ~ 1907년)는 감리교회 계통의 미국인 선교사 겸 교육자이며 한국 이름은 맥리화(麥利和)다. 1884년에 합법적인 절차를 밟아 내한한 최초의 개신교 성직자다. 이때 친분이 두터웠던 김옥균을 통하여 선교사업(학교와 병원을 설립과 운영)에 대한 고종의 허락을 얻어내어 간접적인 방식의 선교지만 사실상 합법적인 선교의 문을 열었다.이후 선교를 위해서 감리교 선교사 스크랜튼, 아펜젤러 등을 조선에 불러들였다. 생애어린 시절1824년 2월 7일 펜실베이니아주 콩코드에서 태어..

[웨북] 이승훈 베드로 (1756~1801)

이승훈 / 李承薰본명이승훈 / 로마자 표기 Lee Seung-hun출생 1756년 / 사망 1801년 4월 8일성별 남성 / 국적 조선 / 경력 평택현감 / 직업 천주교 순교자, 관료 / 활동 기간 1784년 ~ 1801년소속 남인 / 종교 천주교이승훈 (1756년)이승훈(李承薰, 1756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말기의 천주교 순교자이다. 이승훈의 교명은 베드로이며 본관은 평창(平昌)이다. 자(子)를 자술(子述), 호를 만천(蔓川)이다. 조선인으로는 최초로 1784년에 중국에서 천주교 세례를 받았다. 정치적으로는 남인에 속한다. 시인으로 이름난 이좌훈(李佐薰)의 6촌 동생이며, 공조판서를 지낸 이가환은 그의 외삼촌이고, 정약용은 그의 처남이다. 아버지를 따라 중국에 가서 세례를 받고 귀국한후..

[웹북] 이벽. 세례자 요한 (1754~1785)

이벽이벽 李蘗본명 이벽 / 로마자 표기 Lee Byeok 출생 1754년 / 사망 1785년 / 성별 남성 / 국적 조선 / 경력 조선 천주교회 창설 주역직업 천주교 신자 / 종교 천주교이벽(李蘗, 1754년~1785년)은 조선 후기의 천주교 신자이며 이승훈, 권일신 등과 함께 조선 천주교회를 창설한 주역이다.본관은 경주, 자는 덕조(德祚) 또는 벽(檗), 호는 광암(曠菴), 세례명은 세례자 요한이다.정약전, 정약용, 권철신, 이승훈 등과 함께 천진암에 모여 학문을 연마하였고 독학으로 천주교 교리를 익혀 신자가 되었다.1785년에 명례방 사건이 발생하자 부친에 의해 가택연금 되었다가 사망하였다. 생애어린 시절1754년 경기도 포천의 기호학파 남인 집안에서 부친 이부만(李簿萬:1727~1817)과 청주 한..

[웹북] 김범우 토마스 (조선의 역관 : 1786사망)

김범우조선의 역관이름 별명 세례명 토마스신상정보출생일 1751년 5월 22일 / 출생지 한성부 명례방 / 사망일 1786년 / 사망지 충청도 단양 / 국적 조선 / 부모 父 김의서(경주 김씨), 母 남양홍씨 / 직업 역관 / 종교 로마 가톨릭교회김범우김범우(金範禹, 1751년 5월 22일 ~ 1787년 9월 14일)는 조선 후기의 역관, 조선 최초의 천주교도이자 천주교 박해의 희생자다. 세례명은 '토마스'로, 1785년 이벽 ·이승훈 ·정약용 등 남인 학자들이 그의 집에 모여 예배를 보고 교리 공부를 하다가 발각된 명례방 사건으로 형벌을 받고 단양에서 유배생활을 하다가 사망하였다. 생전에 그가 자신의 집을 정기모임의 장소로 제공하였는데, 그의 집이 있던 곳에는 훗날 1898년에 한국 천주교를 대표하는 서..

[웹북] 을사 추조 적발 사건 (명례방사건)

을사 추조 적발 사건 을사 추조 적발 사건(乙巳秋曹摘發事件)은 1785년(정조 9) 3월에 형조의 포졸들이 천주교도들의 비밀 신앙집회를 적발해낸 사건이다. 명례방 사건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비밀집회를 가진 장소인 김범우의 집이 현 서울의 명동인 명례방(明禮坊)이라 불리는 지역이었기 때문이다. 이 사건으로 후대의 교회사 연구자들에 의해 '명례방공동체'라고 불리게 되는 모임은 와해되지만, 113년이 지난 1898년 명례방(명동)에 명동성당이 건립된다. 즉, 한국 천주교를 대표하는 상징적 장소인 명동성당의 뿌리는 '명례방공동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역사적 배경사건 전개1784년,북경에서 세례를 받고 천주교에 입교한 뒤 귀국한 이승훈은 천주교회를 설립한 후 전교에 힘썼다. 그는 이벽, 권일신 등과 서울 명례동..

[웹북] 조선 천주교 박해사

조선의 천주교 박해 조선의 천주교 박해 (朝鮮 天主敎 迫害)는 조선 말기에 천주교가 공권력에 의해 종교적 박해를 받은 일련의 사건들을 말한다.개화기 천주교를 접한 조선의 반응은 유학의 한계성을 극복할 새로운 사상으로서 취급됨과 동시에 박해라는 형태로 나타났다.조상 제사 거부라는 천주교의 교리는 박해의 좋은 명분이 되었고 정치 권력 집단은 정적 숙청과 권력유지의 수단으로써 천주교 박해를 악용했다.조선 말기 천주교 순교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던 병인박해의 주인공인 흥선대원군은 본래 천주교를 탄압할 생각이 없었다.그러나 자신의 정치적 입지가 흔들리자 사교에 대한 금지령을 내려 전국을 피바다로 물들게 하면서 천주교도들을 정치적인 희생양으로 만들었다. 조선의 천주교 박해의 원인중 하나는 로마 교황청의 교리혼선에 있..

[웹북] 메리 스크랜튼 (미국선교사)

메리 "플레처 벤튼" 스크랜튼Mary Fletcher Benton Scranton메리 스크랜튼출생 1832년 11월 9일 / 미국 매사추세츠 벨처타운사망1909년 10월 8일(76세) /매장지  양화진 선교사 묘지별칭시란돈(施蘭敦)학력노리치 여학교 졸업교파감리교소속해외여성선교사회 수행성직 한국 선교사 (1885년 여름 ~ 1909년 10월)아들 윌리엄 스크랜튼 메리 "플레처 벤튼" 스크랜튼(영어: Mary Fletcher Benton Scranton, 1832년 11월 9일 ~ 1909년 10월 8일)은 미국의 교육자이자 개신교 감리교회 선교사이다. 한국어로는 시란돈(施蘭敦)이라는 이름을 썼다. 이화여자대학교와 이화여자고등학교의 전신인 이화학당과 수원시 위치한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의 전신인 삼일소학당을 창..

[웹북] 호머 헐버트 선교사 (1863~1949)

호머 헐버트기타 195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 2014년 대한민국 금관문화훈장 추서개인정보출생 1863년 1월 26일미국 버몬트주 뉴헤이븐사망 1949년 8월 5일(86세)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청량리 위생병원교파 개신교 감리회부모 캘빈 헐버트(아버지) / 메리 우드워드 헐버트(어머니)배우자 메이 헐버트가족 슬하 3남 2녀전직 육영공원 교수 / 대한제국 학부 자문관 / 연희대학교 특임초빙교수 (1946년)학력 미국 다트머스 대학교 대학원  / 헐버트 박사 기념 사업회 호머 베절릴 헐버트(영어: Homer Bezaleel Hulbert, 1863년 1월 26일 ~ 1949년 8월 5일)는 미국의 감리교회 선교사, 사학자, 7개국어를 구사하는 언어학자,조선에서 영어를 가르쳤던 교육자, 독립신..

[웹북] 김대건 신부 (1821~1846) - 한국 최초의 천주교신부

08월21일 한국사 주요 사건1545 을사사화 / 1821 한국최초 천주교신부 김대건 출생  / 1919 안창호 임정기관지 "독립" 창간 / 1976 청량리 하수처리장 준공  / 1980 전국 주요지휘관 회의에서 전두환장군을 국가원수로 추대 / 1981 경제기획원, 제5차 경제개발 5개년 게획발표 / 1985 한국, 국제이동위성기구 가입 / 1986 구 중앙청을 개조한 국립 중앙박물관 개관 / 2003 대구유니버시아드 대회 개최 / 2003 제22회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  대구광역시에서 개막성 김대건 / 사제, 순교자 / 출생 1821년 8월 21일 / 조선 충청도 면천군 범서면 솔뫼(現 충청 남도 당진시 우강면 송산리 솔뫼마을) / 선종 1846년 9월 16일(25세) / 조선 한성부 새남터 / 교파 ..

[웹북] 헨리 거하드 아펜젤러 목사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

헨리 거하드 아펜젤러 목사 출생 1858년 2월 6일 펜실베이니아주 사우더턴 / 사망 1902년 6월 11일(44세) 대한제국 전북 군산시 어청도 앞바다 (여객선 침몰) / 성별 남성  국적 미국별칭 아편설라 (한국어 이름)직업 선교사 소속 미북 감리회  종교 개신교(감리회)  배우자 엘라 도지 아펜젤러장남: 헨리 도지 아펜젤러장녀: 엘리스 레베카 아펜젤러헨리 거하드 아펜젤러 목사 헨리 거하드 아펜젤러(영어: Henry Gerhard Appenzeller, 1858년 2월 6일~1902년 6월 11일)는 1885년 조선에 입국하여 활동한 미국 감리회(북감리회) 선교사이다. 한국어 이름은 아편설라(亞篇薛羅)였다.암울했던 구한말 내한하여 헌신한 개신교 선교사 1세대의 대표주자 중 한 사람이다. 배재학당과 정..

[웹북]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목사 (미국 장로교 선교사)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목사(선교사)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직책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장  /  후임자 왕길지(G.Engel)개인정보출생이름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한국명 원두우 / 출생 1859년 7월 19일 / 영국의 기 영국 런던 / 사망 1916년 10월 12일(57세) / 미국의 기 미국 뉴저지주 애틀랜틱 시티 / 국적 미국의 기 미국 / 교파 장로교 / 배우자 릴리어스 호턴 언더우드 / 가족 원한경(아들) / 학력 뉴브런즈윅 신학교 / 모교 뉴욕 대학교, 뉴브런즈윅 신학교사목표어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사도 바울)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영어: Horace Grant Underwood, 1859년 7월 19일 ~ 1916년 10월 12일)는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이..

[웹북] 알렌 (1858~1932) - (미국의사.선교사.제중원)

호러스 뉴턴 알렌호러스 뉴턴 알렌 Horace Newton Allen 주한 미국 공사관 서기관 / 임기 1890년 ~ 1891년신상정보출생일 1858년 4월 23일  출생지  미국 오하이오주 델라웨어사망일 1932년 12월 11일(74세) 사망지 미국의 기 미국 오하이오주 톨레도에서 노환으로 사망 학력 웨슬리언 대학교 신학과 학사 / 마이애미 의과대학 학사경력 장로교 선교사 / 외교관 / 외과 의사배우자 프랜시스 앤 앨런(Frances Ann Allen) / 종교 개신교(장로회)호러스 뉴턴 알렌(영어: Horace Newton Allen 호러스 뉴턴 앨런. 1858년 4월 23일 ~ 1932년 12월 11일)은 미국의 조선 주재 외교관, 장로교 선교사로, 한국어 이름은 안련(安連)이다. 1884년 9월에..

[웹북] 서상륜 (한국인 최초 성경번역)과 소래교회

서상륜출생 1848년 7월 19일 / 조선의 기 조선 / 사망 1926년 1월 / 일제강점기의 기 일제강점기 / 성별 남성 / 국적 조선의 기 조선 → 일제강점기의 기 일제강점기 / 직업 선교사 / 종교 개신교서상륜(徐相崙, 본관은 대구, 1848년 7월 19일 ~ 1926년 1월)은 구한말 및 일제강점기의 기독교인, 개신교 선교사로 한국교회사 처음 개신교 교회인 황해도 소래교회를 설립하고 새문안교회, 연동교회, 승동교회에서 초창기 조사와 집사로 일했다. 독립운동가 겸 교육자 서병호의 큰아버지이자 양아버지였다. 독립운동가 서재현의 양 할아버지이다.13세에 부모를 잃고 의주와 만주에서 홍삼 무역 등 상업에 종사하다가 병에 걸렸을 때 스코틀랜드인 목사 매킨타이어(John McIntyre, 馬勒泰)의 주선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