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동아시아사 [역사지식여행]/3.중국근대사 (1913~1945) 15

[웹북] 베이징조약 (1860)

베이징 조약의 내용베이징 조약베이징 조약(북경조약, 중국어: 北京條約 Běijīng Tiáoyūe)은 제2차 아편 전쟁의 결과로, 1860년 10월 18일에 청나라가 영국, 프랑스, 러시아 제국과 체결한 조약이다. 상세이 조약은 6개의 항목으로 되어 있으며, 이 조약에 따라 청나라는 영국에 주룽(현재의 홍콩 중심부)을 내주었고, 러시아에는 우수리강동쪽 연해주까지도 내주었고 청나라는 동해로 접근이 막히게 되었다. 러시아가 만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영국은 청나라의 각종 이권을 획득했으며, 프랑스는 청나라 영토 내에서 프랑스인의 우위를 인정 받고 청나라 영토 내에서 천주교 전파 등 포교 활동의 자유를 인정받았다.공친왕1860년 10월 18일, 청나라와 제2차 아편 전쟁을 치른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은 천단, 이..

[웹북] 텐진조약 (1858)

영국과 청나라 사이의 조약 서명톈진 조약톈진 조약(天津條約, 영어: Treaty of Tientsin, Treaty of Tianjin)은 1858년 청나라와 러시아, 미국, 영국, 프랑스 사이에 맺어졌다. 1860년에 청나라 황제와 조정에 의해 비준되었다. 이 조약은 광범위한 외국의 특권을 규정하고 있어, 이후 불평등 조약의 근간이 되었다. 1858년의 조약1856년에 시작한 애로호 전쟁(또는 제2차 아편 전쟁)으로 영프 연합군이 광저우를 점령하고, 북상하면서 톈진을 제압했기 때문에, 청나라가 텐진에서 영국, 프랑스, 러시아, 미국의 4개국과 조약을 맺게 된다.청나라 대표 궤이량(桂良, Guiliang, 만주족), 화사나(花沙納, Huashana, 몽골족)러시아 대표 예프피미 푸탸틴(Евфи́мий П..

[웹북] 아이훈조약 (1858)

아이훈 조약 아이훈 조약(愛琿條約)은 1858년 헤이룽장성의 북쪽 아무르강 연안의 아이훈에서 러시아 제국과 청나라가 맺은 불평등 조약이다. 배경러시아는 청나라가 제2차 아편 전쟁(1856년 - 1860년) 중인 것을 기회로 청나라의 전권대사 이산을 협박해서 이 조약을 맺게 하였다. 이 조약은 1689년의 네르친스크 조약을 뒤집은 것으로, 러시아 제국은 이 조약을 구실로 청나라로부터 스타노보이산맥(외싱안링산맥: 外興安嶺)과 아무르강(헤이룽강, 黑龍江) 사이의 넓은 지역을 빼앗음으로써 시베리아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농사지을 수 있는 60만km2(한반도 면적의 약 3배)의 땅을 확보하고 태평양으로 향하는 부동항(블라디보스토크)을 확보할 발판을 만들었다. 내용아무르강(흑룡강, 黑龍江)의 좌안은 러시아 령으로 한다..

[웹북] 함풍제 (제9대 대청 황제> 재위: 1850~1861)

함풍제 咸豊帝 함풍제  제9대 대청 황제 (몽골 대칸)재위 1850년 3월 9일 ~ 1861년 8월 22일즉위식 도광(道光) 30년 1월 26일 (1850년 3월 9일)전임 도광제후임 동치제이름휘 아이신 교로 이주묘호 문종시호 협천익운집중수모무덕진무성효연공단인관민장검현황제(協天翊運執中垂謨懋德振武聖孝淵恭端仁寬敏莊儉顯皇帝)능호 정릉(定陵, 만주어: Tokton Munggan)연호 함풍신상정보출생일 도광(道光) 11년 6월 9일(1831년 7월 17일)출생지 청 제국 북경 원명원사망일 함풍(咸豊) 11년 7월 17일(1861년 8월 22일)사망지 청 제국 열하 피서산장부친 도광제모친 효전성황후배우자 효덕현황후 / 효정현황후 / 효흠현황후능묘 청서릉  함풍제 함풍제(咸豊帝, 1831년 7월 17일(음력 6월 9..

[웹북] 도광제 (제8대 대청 황제> 재위: 1820~1850)

도광제 道光帝 도광제 제8대 대청 황제 몽골 대칸재위 1820년 10월 3일 ~ 1850년 2월 25일즉위식 가경(嘉慶) 25년 8월 27일(1820년 10월 3일)전임 가경제후임 함풍제이름휘 아이신 교로 민닝신상정보출생일 건륭(乾隆) 47년 8월 10일 (1782년 9월 16일)사망일 도광(道光) 30년 1월 14일 (1850년 2월 25일)부친 가경제모친 효숙예황후배우자 효목성황후 / 효신성황후 / 효전성황후 / 효정성황후  도광제 도광제(道光帝, 1782년 9월 16일(음력 8월 10일) ~ 1850년 2월 25일(음력 1월 14일))는 청나라의 제8대 황제(재위 : 1820년 ~ 1850년)이다.성과 휘는 아이신 교로 민닝(愛新覺羅旻寧,  Aisin Gioro Min Ning), 묘호는 선종(宣宗..

[웹북] 난징조약 (1842)

난징 조약을 체결하는 모습난징 조약난징조약(南京條約, 영어: Treaty of Nanking)은 1840년부터 1842년까지, 2년간 벌어진 제1차 청영 전쟁을 끝내기 위해 1842년 8월 29일 청나라와 영국과의 사이에 맺은 불평등 조약이다. 이 조약으로 인해 홍콩섬이 영국 수중에 넘어갔고, 상하이, 광저우가 개방된 계기가 되었다. 배경 이 부분의 본문은 제1차 아편 전쟁입니다.제1차 아편 전쟁에서 패한 청나라는 당사자인 영국과 불평등 조약을 맺을 수밖에 없었다. 영국 대표 헨리 포팅어(Henry Pottinger)와 청나라의 전권대사로는 흠차대신 기영(耆英)과 일리부(伊里布)가 참석했다. 1842년 8월 29일, 난징 인근의 장강에 정박 중이던 영국 해군의 전열함 ‘콘월리스 호’ 함상에서 영국의 전권..

[웹북] 제2차 아편전쟁 (1856~1860)

제2차 아편 전쟁  아편 전쟁의 일부 제2차 아편 전쟁 날짜 1856년 10월 8일~1860년 10월 24일장소 청나라 해안결과 청나라의 패배톈진 조약과 베이징 조약 체결러시아 제국에 연해주 할양.영국에 영국령 홍콩의 일부로 주룽반도, 스톤커터스섬 할양 교전국  청나라 ㅣ 대영 제국 .프랑스 프랑스 제2제국.미국.러시아 제국 지휘관영국 빅토리아 여왕 / 영국 헨리 존 템플 / 영국 스탠리 경 / 영국 마이클 시모어 / 영국 제임스 호프 그랜트 / 영국 찰스 반 스트라우벤지프랑스 나폴레옹 3세 / 프랑스 모니 공작 샤를 / 프랑스 리고 드 주누이 / 프랑스 샤를 쿠쟁몽토방미국 프랭클린 피어스 / 미국 제임스 뷰캐넌 / 미국 존 C. 브레킨리지 / 미국 제임스 호프 그랜트 / 미국 조시아 태트널 3세러시아 ..

[웹북] 제1차 아편전쟁 (1839~1842)

제1차 아편 전쟁  아편 전쟁의 일부 제1차 아편 전쟁 날짜 1839년 9월 4일 - 1842년 8월 29일장소 청나라 동부해안결과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의 승리-난징 조약 체결-홍콩이 영국령이 됨-태평천국 운동 발발-과도한 세금으로 인한 농민 반란-중화사상의 약화교전국청나라  / 대영 제국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동인도 회사)지휘관청나라 도광제.임칙서 / 대영제국 빅토리아 여왕.파머스턴 경.찰스 엘리엇.조지 엘리엇.앤서니 블랙스랜드 스트랜셤병력청나라군 군인 50만 명, 군함 164척  /  영국군 군인 1,846명, 군함 48척제1차 아편 전쟁(중국어 간체자: 第一次鸦片战争, 정체자: 第一次阿片戰爭, 영어: First Opium War) 또는 제1차 영청전쟁(第一次英淸戰爭, 영어:..

[웹북] 장제스

장제스 蔣介石1943년 9월 장제스 총통 장제스 중화민국의 1.2.3.4.5대 총통 임기 1950년 3월 1일-1975년 4월 5일전임 염석산 (대리) 후임 옌자간 부통령 부총통 총리 행정원장--------------------------------------임기 1948년 5월 20일-1949년 1월 21일전임 (신설) 후임 리쭝런 (대리)부통령 부총통 리쭝런총리 행정원장---------------------------------------중화민국 국민정부의 주석임기 1943년 8월 1일-1948년 5월 20일전임 린썬 / 후임 (폐지) / 부주석 쑨커총리 행정원장----------------------------------------임기 1928년 10월 10일-1931년 12월 15일전임 탄옌카이 ..

[웹북] 난징 대학살 (1937)

난징 대학살친화이강가에 쌓인 대학살 희생자들의 시체 더미와 일본 군인의 모습. 당시 패잔병을 처리한다는 명목으로 항복한 중국군과 민간인 남성들을 대량 총살하였다.난징 대학살난징 전투 (1937년)난징 대학살(영어: Nanjing Massacre)이란 중일 전쟁 때 중화민국의 수도인 난징을 점령한 일본 제국이 군대를 동원해 중국인을 무차별 강간하고 학살한 사건이다. 오늘날 중국에서는 이를 난징 대도살(중국어 간체자: 南京大屠杀, 정체자: 南京大屠殺, 병음: Nánjīng Dàtúshā)이라고도 부르며, 일본에서는 난징 사건(일본어: ナンキン じけん)으로 불리고 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약 20만명의 중국인들이 학살되었다.일본군 상부는 과거 만주족이 중국 한족들을 잔인하게 다루어 지배했다는 사례를 비교하며 ..

[웹북] 중일전쟁 (1937~1945)

중일 전쟁태평양 전쟁의 일부1940년의 일본 제국의 확장날짜1937년 7월 7일~ 1945년 9월 2일장소중국 본토, 미얀마 북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결과 일본 제국의 무조건 항복일본은 대만, 펑후 제도를 중화민국에 반환중화민국의 연합국 지위 인정중화민국이 유엔 상임 이사국이 됨국민당과 공산당의 제2차 국공 내전 발발교전국중화민국  / 미국  / 소련  / 영국 / 오스트레일리아 / 일본 제국지원국나치 독일 나치 독일 (~1941)공동 교전국몽골 인민공화국 몽골 인민공화국 (1945)비시 프랑스 비시 프랑스 (1940)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 (1941~)일본 제국의 속국:지휘관중화민국 장제스 / 중화민국 린썬 / 중화민국 허잉친 / 중화민국 천청 / 중화민국 옌시산 / 중화민국 펑위샹 / 중..

[웹북] 청나라 (1636~1912)

청나라대청국 / 만주어: ᡩᠠᡳᠴᡳᠩ / ᡤᡠᡵᡠᠨ, 중국어: 大淸國 / 제국 ↓ 1636년~1912년 ↓국기 1760년 청나라의 최대 강역수도 혁도아랍(1583~1587) / 불아랍(1587~1603) / 혁도아랍(1603~1619) / 계범(1619~1620) / 살이호 / 1620~1621) / 요양(1621~1625) / 성경(1625~1644) 북경(1644~1912) 정치정치체제 전제군주제황제 숭덕제(초대) 1636년 ~ 1643년 순치제 1644년 ~ 1661년 강희제 1661년 ~ 1722년옹정제 1723년 ~ 1735년 건륭제 1736년 ~ 1796년 가경제 1796년 ~ 1820년 도광제 1821년 ~ 1850년 함풍제 1851년 ~ 1861년 동치제 1862년 ~ 1875년 광서제 1..

[웹북] 시모노세키조약 (1895년 4월17일)

시모노세키 조약시모노세키 조약 / 유형 조약서명일 1895년 4월 17일 / 서명장소 일본 제국의 기 일본 제국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 서명자 내각총리대신 이토 히로부미, 외무대신 무쓰 무네미쓰 / 북양대신 직례총독 이홍장, 전 출사대신 이경방 / 발효일 1895년 5월 8일 / 주요내용 청국의 조선 독립 확인 및 배상금 2억 냥 지불, 대만과 요동반도 할양관련조약 조일동맹조약요동환부조약시모노세키 조약(일본어: 下關条約 시모노세키조야쿠[*], 중국어 정체자: 馬關條約)은 1895년 3월 20일부터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서 전개된 청일전쟁의 강화회의로 체결된 조약으로서 정식명칭은 일청강화조약(일본어: 日清講和条約 닛신코와조야쿠)이다. 하관조약(下關條約), 마관조약(馬關條約)으로도 지칭한다.1895년 ..

[웹북] 청일전쟁 (1894~1895)

청일 전쟁날짜 1894년 7월 25일 ~ 1895년 4월 17일장소 만주와 한반도, 대만, 황해 일대결과일본 제국의 승리 시모노세키 조약 체결청의 조선에 대한 종주권 상실대만 및 펑후 제도가 일본의 영토로 병합랴오둥반도를 일본이 할양받으려고 했으나 삼국 간섭으로 일본의 영유권 포기청 내부에서 변법자강운동 시작교전국청나라의 기 청나라 일본 제국의 기 일본 제국지휘관청나라 광서제청나라 서태후청나라 이홍장청나라 정여창 †청나라 등세창 †청나라 유곤일청나라 마건충청나라 증국번청나라 원세개일본 제국 메이지 천황일본 제국 야마가타 아리토모일본 제국 이토 스케유키일본 제국 노기 마레스케일본 제국 이토 히로부미일본 제국 고다마 겐타로일본 제국 오야마 이와오일본 제국 가와카미 소로쿠일본 제국 오카모토 류노스케병력청나라 ..

[웹북] 양무운동 (1861~1895) - 청말기

양무운동  양무운동 당시 청나라는 열강의 침략적인 아편전쟁, 애로호 사건 등으로 여지없이 약체를 드러냈으며, 안으로는 태평천국의 난으로 인해 봉건적 지배체제가 위기에 빠져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증국번, 이홍장 등 한족 출신 관료들이 근대적인 군사공업을 일으키는 한편, 장지동, 성선회 등은 관상합판사업을 크게 일으켜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다. 초기에는 군사력 증강을 위해 군수 공업의 육성에 중점을 두고 전개되었지만, 1870년대 이후에는 광공업이나 교육 등 다른 부문까지 근대적 개혁이 확산되었다. 이로써 청의 지배 체제를 안정시켰을 뿐 아니라, 중국 사회에 근대적 변화를 가져왔다.그러나 양무운동은 안팎의 여러 장애에 부닥쳐 제한된 성과를 거두는 데 그쳤다. 가장 커다란 한계는 전국적 차원에서 통일된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