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한국근대사 [역사지식여행]/8.망우리공원 (인물소개) 11

[웹북] 오긍선 (1978~1963) 84세 / 의학자

오긍선오긍선작가 정보출생 1878년 10월 4일 조선 충청도 공주목사망 1963년 5월 18일(84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국적 대한민국 / 언어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직업 의학자학력 일본 도쿄 제국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경력 前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교장 / 前 서울대 의과대학 대우교수 / 前 고려대 의과대학 대우교수 / 前 연세대 의과대학 명예교수종교 유교(성리학) → 개신교(장로회)필명 자(字)는 중극(重克) / 호(號)는 해관(海觀) / 활동기간 1896년 ~ 1963년 / 장르 피부과의학교육 저술 / 내과의학교육 저술 / 사회복지사업학교육 저술 / 수상 문화훈장부모 아버지 오인묵(吳仁默) / 어머니 한산 이씨 부인(韓山 李氏 夫人) / 배우자 밀양 박씨 부인(密陽 朴氏 夫人)..

[웹북] 문일평 (1888~1939) 50세 / 민족주의 사학자

문일평  문일평 출생 1888년 5월 15일 조선 평안도 의주사망 1939년 4월 3일(50세)성별 남성국적 조선→대한제국 학문적 활동분야 역사문일평(文一平, 1888년 5월 15일~1939년 4월 3일)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민족주의 사학자로, 호는 호암(湖岩)이다. 교육 활동과 일제 강점기 조선의 고서적, 역사에 대한 연구 등을 하였다. 그는 정인보, 안재홍과 함께 1930년대 조선학 운동을 주도한 역사학자이다. 생애1905년 일본 유학을 하고 돌아와 교직에 있다가 1911년 다시 도일하여 와세다 대학에서 정치학을 전공하였다. 그러나 학업을 중단한 채 중국으로 망명하여 그곳 중국인 신문사에서 일을 하였다. 이 즈음 일본에서는 안재홍이 역시 정치를 공부하고 있어서 사귈 수 있었고, 중국에..

[웹북] 설산 장덕수 (1894~1947) 52세사망 / 정치가.언론인.교수.

설산 장덕수 / 雪山 張德秀 장덕수 출생 1894년 12월 10일 조선 황해도 재령군 남율면사망 1947년 12월 2일(52세) 미 군정 조선 서울특별자유시 제기동 자택에서 암살(화기에 의한 죽음)됨성별 남성 / 국적 대한제국 / 본관 결성학력 일본 일본 와세다 대학교 정치경제학과미국 미국 오리건 주립 대학교 언론학과 / 영국 영국 런던 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 석사 / 미국 미국 오리건 주립 대학교 대학원 언론학 석사 / 미국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 미국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직업 정치가 .언론인 .교수경력 보성전문학교 교수 / 동아일보 부사장 / 한국민주당 외무부장 / 한국민주당 정치부장부모 장붕도(부), 김현묘(모)형제 장덕준(형), 장덕진(아우)배우자 박은혜(..

[웹북] 오세창 (1864~1953) 정치인

오세창청년 시절의 오세창조선국 한성부의 우정총국 통신원실 실장임기 1895년 1월~1895년 8월군주고종 이형 신상정보출생일 1864년 8월 6일  출생지 조선 한성부거주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사망일 1953년 4월 16일(88세)  사망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대봉동국적 대한민국  경력 매일신보 명예사장 겸 서울신문 명예사장정당 무소속부모 오경석(부) 자녀 오일륙(아들)종교 유교(성리학)→천도교웹사이트 오세창(독립유공자 공훈록)상훈 (건국훈장 대통령장, 1962년 추서)  오세창 오세창(吳世昌, 1864년 8월 6일~1953년 4월 16일)은 조선 시대 말기와 대한제국 시대의 문신이고, 정치인이며 계몽 운동가이자, 일제강점기 조선 시대의 언론인, 독립운동가, 서예가 겸 서화가, 그리고 대한민국의 정치..

[웹북] 지석영 (1855~1933) 종두법 시행자

지석영 池錫永송촌 지석영 선생  지석영 대한제국 경남의 동래부 관찰사재임 1897년 10월~1898년 6월임금 고종 이형 이름휘 지서경(池瑞耕) → 지석용(池錫鏞) → 지석영(池錫永)자 공윤(公胤)호 송촌(松村) 신상정보출생일 1855년 5월 15일 / 출생지 조선 한성부 종로관훈방거주지 대한제국 한성부사망일 1935년 2월 1일(79세) / 사망지 일제강점기 경성부 종로관훈정국적 대한제국경력 기호흥학회 부회장 / 조선의생연합회 회장조선 시대 말기의 사헌부 장령(司憲府 掌令)과 형조 참의(刑曹 參議)를 지냄.직업 문관(문신)·한의사(의생)·한의학자·정치인·한글학자·국어학자·교육인·저술가당파 온건개화파 후예 잔존 세력부모 지익룡(부) / 형제자매 지운영(형) / 자녀 지성주(장남) / 친인척 지홍창(손자)..

[웹북] 소파 방정환 (1899 -1931) 31세 사망

방정환소파 방정환 선생 방정환 (작가 정보)출생 1899년 11월 9일 대한제국 한성부 서부구역 적선방 야주현계사망 1931년 7월 23일(31세)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 경성제국대학교 부속 병원국적 대한제국언어 한국어·중어·일어직업 아동문학가, 독립운동가, 사회운동가학력 일본 도쿄 도요 대학 철학과 중퇴경력 조선소년소녀연합회 회장본관 온양종교 천도교필명 아호(雅號)는 소파(小波)활동기간 1921년~1931년장르 아동문학, 동시, 시문학, 번역수상 1978년 6월 1일 금관문화훈장 추서 / 1980년 3월 1일 건국포장 추서 / 1990년 8월 15일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부모 방경수(부), 손성녀(모)배우자 손용화(손병희의 3녀)자녀 방운용(장남), 방하용(차남) 형제 누나 1명, 남동생 1명친지 방한..

[웹북] 유관순 (1902~1920) 17세 사망

유관순 유관순 柳寬順유관순의 수형기록표 사진신상정보출생 1902년 12월 16일 대한제국 충청남도 목천군 이동면 지령리 (현 천안시 병천면 용두리)사망 1920년 9월 28일(17세) 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 경성부 현저동 서대문형무소성별 여성 / 본관 고흥(高興) / 직업 독립운동가 / 종교 개신교 (감리회)가족 부: 유중권 / 모: 이소제 / 오빠: 유우석 / 동생: 유관석 활동 정보관련 활동 독립운동 / 활동 기간 1919년 / 주요 활동 3.1운동상훈 (건국훈장 대한민국장,2019) /  (건국훈장 독립장,1962) 유관순한글 표기: 유관순 / 한자 표기: 柳寬順 / 개정 로마자 표기: Yu Gwansun / 매큔-라이샤워 표기: Yu Kwansun / 예일 표기: Yu Kwanswun유관순(柳寬..

[웹북] 조봉암 (1899~1959) 정치인. 농림부장관.

조봉암 / 曺奉岩조봉암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제1대 농림부 장관이승만 정부의 국무위원임기 1948년 8월 15일-1949년 2월 22일전임 (신설)후임 이종현대통령 이승만부통령 이시영총리 이범석차관 남봉순 (농림부 차관)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회부의장임기 1952년 7월 10일-1954년 5월 30일전임 김동성후임 최순주임기 1948년 5월 31일-1950년 5월 30일전임 (신설)후임 이용설, 곽상훈, 조봉암의장 신익희지역구 인천부 을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임기 1950년 5월 31일-1954년 5월 30일전임 곽상훈, 조봉암후임 이용설, 곽상훈지역구 인천시 병임기 1950년 6월 19일-1952년 6월 18일전임 김동원후임 윤치영진보당의 총재임기 1955년-1959년전임 장건상 (근로인민당 당수)후임 ..

[웹북] 안창호 (1878~1938) 61세 / 임시정부의 제4대 국무령

안창호 安昌浩1910년대 샌프란시스코에서의 모습 안창호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4대 국무령임기 1926년 5월 3일~1926년 5월 16일 / 부통령 없음전임: 이동녕(제5대)후임: 이동녕(제7대)신상정보출생일 1878년 11월 9일출생지 조선 평안도 강서군 초리면 초리7리 봉상도(도롱섬)(현재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포시 천리마구역)사망일 1938년 3월 10일(61세)사망지 경기도 경성부 연건정 경성제국대학 부속 병원(현재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국적 조선 대한제국직업 독립운동가, 사회운동가, 교육자, 사상가학력 1896년 구세학당 보통부 졸업정당 무소속부모 안흥국(부), 제안 황씨 부인(모)배우자 이혜련자녀 아들 안필립, 안필선, 안필영딸 안수산, 안수라종교 유교 (성리학..

[웹북] 이중섭 (1916~1956) - 서양화가

이중섭 (李仲燮)신상정보출생 1916년 9월 16일 / 일제강점기 조선 평안남도 평원군 조운면 송천리 742 / 사망 1956년 9월 6일(39세) / 서대문적십자병원 / 직업 화가 / 학력 도쿄 문화학원 / 분야 미술 / 부모 이희주(1886년~1920년,부),안악 이씨(?~1950년,모) / 배우자 이남덕(야마모토 마사코) / 자녀 장남(요절),이태현,이태성 / 형제 2남 1녀 중 막내 / 친척 증조부 이동규(1826년~1898년) / 조부 이창희(1856년~1898년)묘소 망우역사문화공원부부 (1953년 , 현대미술관 소장품) 두 마리의 새가 서로를 향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파랑색과 빨간색이 대조를 보여준다.이중섭(李仲燮, 1916년 9월 16일~1956년 9월 6일)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의..

[웹북] 한용운 (1879~1944) 승려. 시인. 독립운동가.

한용운한용운 龍雲한용운법명 용운(龍雲) / 출생 1879년 8월 29일 / 조선 충청도 결성현 현내면 박철리 잠방골 / 입적 1944년 6월 29일(64세) / 일제강점기 경성부 동대문구 성북정 심우장 / 입적원인 중풍 / 거주지 일제강점기 경성부 동대문구 성북정 심우장 / 국적 대한민국 / 속명 한정옥(韓貞玉) / 경력 신간회 중앙위원장 / 종파 조계종 / 칭호 아명 한유천(韓裕天)·한봉완(韓奉玩) / 호 만해(萬海·卍海) / 직업 승려, 시인, 독립운동가 / 배우자 유숙원(재혼), 전정숙(이혼) / 자녀 한보국(아들), 한영숙(딸) / 부모 한응준(부), 방숙영(모) / 친척 한윤경(형)만해 기념관한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음력 7월 12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강점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