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한국역사의 이해 (독서>책소개)/7.한국민족주의

민족 민족주의

동방박사님 2022. 11. 2. 06:14
728x90

책소개

한국에서‘민족’이라는 단어는 1906년 이후 량치차오의『음빙실문집』의 영향으로 자주 쓰이기 시작하였다. 그는‘민족’을 지리·혈통·형질·언어·문자·종교·풍속·경제생활의 공통성을 지닌 집단으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민족 개념은 민족 형성 과정에서의 ‘원초적 기반’과, 집단 내에서 공유되는‘문화적 기반’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이후 한국 민족주의는‘문화적 민족주의’의 성격을 강하게 띠게 되었다.

‘민족주의’는 내셔널리즘의 번역어이다. 내셔널리즘은 동아시아권에서는 민족주의뿐만 아니라 국가주의, 국민주의로 번역되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주로 민족주의로 번역되었다. 한국에서 민족주의는 하나의 민족이 하나의 정치적 단위, 즉 하나의 독립된 국가를 영위하고자 하는 이념으로 이해되었다. 따라서 국권 상실과 민족 분단의 처지에 놓인 20세기 한국에서 민족주의는 현상을 타파하려는 운동의 가장 중요한 이념이 되었다.

 

목차

『한국개념사총서』발간사·5
지은이의 말·9

서론
‘개념사’란 무엇인가·19|‘민족’과‘민족주의’의 개념 수용사·22

Part 1 민족
1. 서양의‘민족’개념
‘민족’개념의 정의·29|‘민족’형성에 관한 이론들·35
2. 동아시아의‘민족’개념 수용사
전통 시대 중국의‘민족’,‘ 족류’개념·44|일본의‘민족’용어 만들기·46|근대 중국의‘민족’개념 수용·49
3. 한국의‘민족’개념의 형성과 수용
조선 시대‘족류’,‘ 동포’의 개념과 범주·53|1890년대 후반‘동포’개념의 확대·65|1905년 이후『황성신문』과『대한매일신보』의‘민족’개념 수용·68|도일 유학생들의‘민족’개념 강조·81|‘민족’의 구성과 성격·86
4. 식민지 시기‘민족’개념의 정착과 변화
1910년대‘한국 민족’의 범주에 대한 논의·89|3·1 운동 이후‘민족’개념의 확산과 정착·95|1920∼1930년대‘민족’개념을 둘러싼 논쟁·101
5. 해방 이후‘민족’개념의 변화
분단의 위기와‘단일민족’론의 대두·108|해방 이후 남북한의‘민족’개념 변화·121


Part 2 민족주의
1. 서양의‘민족주의’개념 정의·131
2. 대한제국기‘민족주의’개념의 수용
‘민족주의’개념의 수용·141|‘문화적 민족주의’의 출발·147
3. 1910년대 민족평등주의론과 문화적 민족주의론
민족평등주의론의 대두·160|문화적 민족주의의 발전·165
4. 3·1 운동 전후의 민족주의론
민족자결주의론·171|공화주의와의 결합·175
5. 1920∼1930년대의 민족주의론
민족주의 우파의 민족주의론─『동아일보』를 중심으로·178|
민족주의 좌파의 민족주의론─안재홍을 중심으로·191
6. 1930년대 민족주의와 파시즘의 만남·203
7. 해방 직후의 민족주의론
안재홍의 신민족주의론·212|김구의 자유주의적·문화적 민족주의론·220|백남운의 민족주의론·223|민족청년단의 민족 지상·국가 지상주의론·227
8. 이승만 정권의 민족주의 : 일민주의·235
9. 한국 전쟁 이후 남북한의 민족주의론
남한의 민족주의론·242|북한의 민족주의론·250

결론·252
참고문헌·267
찾아보기·274
 

저자 소개

저 : 박찬승 (朴贊勝)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한국학연구소와 일본 국제문화연구센터에 연구원으로 있었으며, 한국사학계를 이끌어온 가장 오래된 연구 단체인 한국사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다. 30년간 독립운동을 비롯한 한국 근현대사를 연구해왔다. 특히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민주적인 독립국가', '자유롭고 평등하며 정의로운 사회' 수립을 목표로 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