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일본학 연구 (학부전공>책소개)/7.일본전후사

전후 일본의 생활평화주의 (2011)

동방박사님 2023. 3. 24. 07:34
728x90

책소개

이 책은 ‘생활평화주의(everyday-life pacifism)’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여 전후 일본의 평화주의 또는 평화운동의 주요 흐름을 추적하고 있다. 전후 일본의 평화운동은 혁신 엘리트 정치인의 반전-반핵운동으로 시작되어, 점차 반기지-반원전의 주민운동으로 정착되어 갔다. 이는 ‘평화’가 정치나 이념의 높이에서 생활과 감각의 평지로 하강하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과 함께 평화운동의 주체는 고도의 정치의식으로 각성한 인민-계급의 결사체로부터 생활의 감각을 공유하는 시민-주민들의 모임으로 변화했다. 이들은 정치투쟁으로서의 평화운동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생활감각에 기인한 예민함으로 ‘비평화’의 징후를 민감하게 포착하여 생활의 현장에서 ‘평화’의 유지와 확대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생활평화주의’는 전후 일본에서 전개된 이러한 평화운동의 내용을 담기 위한 용어이다.

목차

[서장] 생활평화주의’로 풀어보는 전후 일본의 평화론

[제1부] 생활인의 감성과 생활의 정치화
1. 1950년대 ‘생활기록’과 평화담론
1). 1950년대 ‘기록운동’
2). ‘생활기록’ 속의 반전과 평화
3). 기지로 향하는 지식인들―기지 르포르타주
4). ‘나’의 기록과 ‘우리’의 평화
5). ‘기록운동’의 종언

2. [일본모친대회], 각성하는 ‘모성’과 평화
1). 불편한 ‘모성’
2). 전후 일본 여성들의 평화운동과 비키니사건
3). [일본모친대회]의 개최와 세계적 발신
4). 전쟁과 평화, 그리고 ‘모성’
5). 평화, ‘아이’의 더 나은 ‘생활’을 위해

3. ‘귀환체험담’과 ‘반전평화주의’
1). 부흥과 평화주의
2). 1970년대 시대적 ‘자극’과 귀환체험기
3). ‘비극’ 재현을 통한 ‘평화’ 염원
4). ‘혼란과 불안’에 대한 트라우마

[제2부] 국민의 심성과 평화의 의례화
4. ‘8·15’를 통해서 본 전쟁관과 평화인식
1). 전후 역사인식의 원점으로서의 ‘8·15’
2). ‘8·15’에 관한 사설 논조의 추이
3). ‘8·15’ 독자투고를 통해서 본 전쟁관과 평화인식
4). 전쟁관과 평화인식의 추이와 전망

5. [팩스 뮤지카 콘서트]와 소비되는 평화
1). 음악과 평화
2). [팩스 뮤지카]라는 평화콘서트 기획
3). [팩스 뮤지카]의 역사
4). [팩스 뮤지카] 정신을 대변하는 노래: ‘아시아의 불꽃’
5). 1990년대 초반 [팩스 뮤지카]의 중단과 그 문화적 배경
6). [팩스 뮤지카]의 의미와 한계

[제3부] 인민/주민/시민의 생활과 평화
6. [원수폭금지운동]과 일조인민연대
1). 생활 속의 ‘평화공존’과 국제 ‘인민연대’
2). 원수금운동의 태동과 일조인민연대의 부상
3). 원수금운동의 굴절과 일조인민연대의 고양
4). 원수금운동의 좌절과 일조인민연대의 붕괴
5). 국제정치에 함몰되는 평화와 연대

7. ‘자생적 생활운동’으로서 이와쿠니 반기지운동
1). 미군기지 생활사의 문제
2). 이와쿠니기지와 지역사회
3). 반기지운동의 성장과 후퇴
4). 성장과 후퇴를 초래하는 생활사적 요인들
5). 생활과 운동

8. 반원전운동과 ‘생활평화주의’의 전개
1). 기시감(deja vu)
2). [베평련]: ‘생활의 발견’과 ‘소시민의 힘’
3). 반전에서 반원전으로: ‘안보’와 ‘기지’, ‘반공해’와 ‘토지’
4). 반원전운동과 일본의 민주주의

[주요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자 : 남기정 외
남기정/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교수.
서동주/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HK교수.
이은경/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박이진/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HK연구교수.
박진우/ 숙명여자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이경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박정진/ 일본 쓰다주쿠(津田塾)대학 국제관계학과 교수.
진필수/ 서울대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