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깨달음'이 '이미' 여기 와 있다!
불교를 인문학적으로 접근
이 책에 붙은 부제인 '금강경 별기'란, 곧 『금강경』에 대해 저자가 각별히 따로 쓴 '별도의 해설'이란 뜻이다. 『허접한 꽃들의 축제』가 『금강경』 원문과 이에 붙은 다양한 해석을 새로운 번역으로 펼친 책이라면, 『붓다의 치명적 농담』은 『금강경』이 전하고자 하는 근본 '정신'을, 다양한 언설 속에 숨은 중심 아이디어를 콕 집어 들려준다.
저자는 '깨달음'이 '이미' 여기 와 있다고 말한다! 이 선언은 오랜 수련을 통해 새로운 경험이 신비적 초월적으로 돌파된다는 저간의 통념을 배반하는 새로운 목소리이다. 핵심은 공이다. 그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가 사실은 자아의 구성물임을 일깨우는 말이다. 이 책의 특장은 역시 풍부한 일화와 변죽에 있다. 아무런 연관이 없어보이는 일상의 에피소드들이 기실 불교의 진실을 보여주고 있다는 믿음의 산물이다.
불교를 인문학적으로 접근
이 책에 붙은 부제인 '금강경 별기'란, 곧 『금강경』에 대해 저자가 각별히 따로 쓴 '별도의 해설'이란 뜻이다. 『허접한 꽃들의 축제』가 『금강경』 원문과 이에 붙은 다양한 해석을 새로운 번역으로 펼친 책이라면, 『붓다의 치명적 농담』은 『금강경』이 전하고자 하는 근본 '정신'을, 다양한 언설 속에 숨은 중심 아이디어를 콕 집어 들려준다.
저자는 '깨달음'이 '이미' 여기 와 있다고 말한다! 이 선언은 오랜 수련을 통해 새로운 경험이 신비적 초월적으로 돌파된다는 저간의 통념을 배반하는 새로운 목소리이다. 핵심은 공이다. 그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가 사실은 자아의 구성물임을 일깨우는 말이다. 이 책의 특장은 역시 풍부한 일화와 변죽에 있다. 아무런 연관이 없어보이는 일상의 에피소드들이 기실 불교의 진실을 보여주고 있다는 믿음의 산물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다시 시작하는 불교 강의
왜 금강경인가
언어를 혁신해야 불교가 열릴 것
인간이 처한 곤경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는 다만
오래된 '우상'을 타파하자
소승 아비 달마의 지혜
그리스의 왕이 불교의 지혜를 물었다
대승, 혹은 상호연관(correlation)의 그물
일상의 불교들
태그(tag)달기, 그 위태로운 작업
원효의 삶, 그리고 화엄 이야기
주자학이 불교에서 배우다
장자 속의 화엄 소식
돈오라고? 그렇다면 불교는 없다
노트북을 덮고 차 한잔
다시 시작하는 불교 강의
왜 금강경인가
언어를 혁신해야 불교가 열릴 것
인간이 처한 곤경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는 다만
오래된 '우상'을 타파하자
소승 아비 달마의 지혜
그리스의 왕이 불교의 지혜를 물었다
대승, 혹은 상호연관(correlation)의 그물
일상의 불교들
태그(tag)달기, 그 위태로운 작업
원효의 삶, 그리고 화엄 이야기
주자학이 불교에서 배우다
장자 속의 화엄 소식
돈오라고? 그렇다면 불교는 없다
노트북을 덮고 차 한잔
저자 소개
책 속으로
가르침이란 본시 내 속에 있던 어떤 것을, 새삼스럽게 확인시켜주는, 선가의 말을 빌리면 ‘지시’일 뿐입니다. 그래서 옛 선지식들이 하나같이 “나는 네게 줄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했습니다. 기억하시나요. 의발을 찾아 천리 먼 길을 쫓아온 혜명에게 육조 혜능 스님은 분명히 일렀습니다. “비밀은 이미 너에게 있다.”
저는 이런 비유를 들곤 합니다. “마음의 소식은 흡사 방 한구석에 먼지 덮여 있는 어릴 때의 장난감 같은 것이다. 어른이 되면서 우리는 그것을 돌아보지 않게 되었다. 우리의 시선은 세상 사는 일에 고착되어 있어, 한때 순수한 기쁨이었던 그 물건을 더 이상 돌아보지 않는다. 그러나 그 장난감은 늘 그곳에 있었다. 아련한 향수가 밀려들거나, 누군가가 일깨워줄 때, 그는 거기 그 장난감이 오래전부터 있었음을 새삼 알게 된다. 우리의 불성 또한 그와 같다.”
다시 말하지만, 마음은 누구나 가지고 있고, 그 비밀은 우리 자신에게 미리 알려져 있는 것들입니다. 혜능 스님의 권위를 빌리면, “보리반야의 지혜는 본래 세인들에게 갖추어져 있습니다.
저는 불교가 노리고 있는 그 지식이, 비록 비밀스럽다고들 말은 하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특별한 오랜 수련을 통해, 그동안 꿈도 꾸어보지 못한 어떤 것들이 비로소 완전히 새롭게 등장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 깨달음은 우리에게 언제나 알려져 있습니다. 그 깨달음은 마음의 밝음으로서, 욕망과 분노와 무지의 먹구름 틈 사이에서 늘 빛나고 있는 어떤 것입니다.
(중략)
관자재보살은 “이제는 자유롭게 사물을 볼 수 있게 된 분”을 뜻합니다. 자유롭게 보기는 정말 어렵습니다. 자유롭게 본다는 것은 전망대 위의 망원경처럼 사방팔방을 이리저리 마음대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또 지구 저편의 누드 비치를 엿보는 엉큼한 ‘신통력’이 아니라, 자신의 감옥으로부터 벗어나 사물을 볼 수 있게 되었음을 뜻합니다. ‘관견'이란 말이 적실히 말해주듯, 우리는 자신의 욕망과 관심이라는 좁은 대롱을 통해서만 사물을 보기 때문에, 우리는 사태의 다른 측면은 물론이고, 전체를 보기는 더욱 더욱 아득합니다. 그래서 전체를 보는 통찰력, 즉 일체지는 여래와 부처의 것이라고 하지 않습니까.
중생들에게 세상은 모두 나의 이미지로만 존재합니다. 우리는 다만 욕망과 관심이라는 색안경을 통해서만 사물을 보고, 자신의 이해관계를 기준으로 사람을 만납니다. 불교는 그 좁은 새장을 벗어나 자유롭게 창공을 날고, 거기서 독수리처럼 세상을 조견하라는‘조감의 권고’입니다. 이 조감이 무슨 이득을 주느냐고요. 그 바라봄으로 하여, 오직 그 통찰을 통해서만 인간은 일체의 고통과 번민으로부터 궁극적으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저는 이런 비유를 들곤 합니다. “마음의 소식은 흡사 방 한구석에 먼지 덮여 있는 어릴 때의 장난감 같은 것이다. 어른이 되면서 우리는 그것을 돌아보지 않게 되었다. 우리의 시선은 세상 사는 일에 고착되어 있어, 한때 순수한 기쁨이었던 그 물건을 더 이상 돌아보지 않는다. 그러나 그 장난감은 늘 그곳에 있었다. 아련한 향수가 밀려들거나, 누군가가 일깨워줄 때, 그는 거기 그 장난감이 오래전부터 있었음을 새삼 알게 된다. 우리의 불성 또한 그와 같다.”
다시 말하지만, 마음은 누구나 가지고 있고, 그 비밀은 우리 자신에게 미리 알려져 있는 것들입니다. 혜능 스님의 권위를 빌리면, “보리반야의 지혜는 본래 세인들에게 갖추어져 있습니다.
저는 불교가 노리고 있는 그 지식이, 비록 비밀스럽다고들 말은 하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특별한 오랜 수련을 통해, 그동안 꿈도 꾸어보지 못한 어떤 것들이 비로소 완전히 새롭게 등장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 깨달음은 우리에게 언제나 알려져 있습니다. 그 깨달음은 마음의 밝음으로서, 욕망과 분노와 무지의 먹구름 틈 사이에서 늘 빛나고 있는 어떤 것입니다.
(중략)
관자재보살은 “이제는 자유롭게 사물을 볼 수 있게 된 분”을 뜻합니다. 자유롭게 보기는 정말 어렵습니다. 자유롭게 본다는 것은 전망대 위의 망원경처럼 사방팔방을 이리저리 마음대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또 지구 저편의 누드 비치를 엿보는 엉큼한 ‘신통력’이 아니라, 자신의 감옥으로부터 벗어나 사물을 볼 수 있게 되었음을 뜻합니다. ‘관견'이란 말이 적실히 말해주듯, 우리는 자신의 욕망과 관심이라는 좁은 대롱을 통해서만 사물을 보기 때문에, 우리는 사태의 다른 측면은 물론이고, 전체를 보기는 더욱 더욱 아득합니다. 그래서 전체를 보는 통찰력, 즉 일체지는 여래와 부처의 것이라고 하지 않습니까.
중생들에게 세상은 모두 나의 이미지로만 존재합니다. 우리는 다만 욕망과 관심이라는 색안경을 통해서만 사물을 보고, 자신의 이해관계를 기준으로 사람을 만납니다. 불교는 그 좁은 새장을 벗어나 자유롭게 창공을 날고, 거기서 독수리처럼 세상을 조견하라는‘조감의 권고’입니다. 이 조감이 무슨 이득을 주느냐고요. 그 바라봄으로 하여, 오직 그 통찰을 통해서만 인간은 일체의 고통과 번민으로부터 궁극적으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본문중에서
출판사 리뷰
비의의 안개를 헤치고, 벼락처럼 내리치는, ‘다이아몬드의 경전’이 전하는 삶의 기술.
일상의 언어로 풀어 쓴 『금강경』 입문서
무심코 마시는 차 한 잔에도, 어느 날 문득 눈치 챈 아내의 젖은 손에도 여여히 살아 있는 법뮹?구하다.
우리 모두는 로맨티스트입니다, 지독한……
자기기만이 일상이 되었다.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과, 실제 삶 사이의 심연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눈앞에 놓인 수많은 의무와 목표를 잠시 내려놓은 채 생각해보자. 이것이 인생인가? 저자는 말한다.
“삶의 목표는 쾌락이 아닙니다! 우리 모두는 마음속 깊이 이상주의자들입니다. 로맨티스트들이지요. 그렇지 않다면 왜 보살님네들이, 남편이 사회적으로 성공하고, 아이들도 다 컸으며, 아파트 평수도 남부럽지 않은데, 왜 절을 찾아, 스님들의 법문을 듣고, 대웅전에 참배하고, 참선에 열중하십니까. 그것은 외면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우리 내면은 여전히 가난하고, 불만족스럽기 때문이 아닐까요.”
불교는 이 근본 곤경을 타파해 구원과 행복에 이르는 길을 보여준다. 그 대표적 경전이 '금강경'이다. 난해한 한적과 독특한 사고의 베일에 가려 있던 그 ‘삶의 기술’을 이제 생생하게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초심자를 위한 ‘별도의 해설'
이 책에 붙은 부제인 ‘금강경 별기’란, 곧 『금강경』에 대해 저자가 각별히 따로 쓴 ‘별도의 해설’이란 뜻이다. 『허접한 꽃들의 축제』가 『금강경』 원문과 이에 붙은 다양한 해석을 새로운 번역으로 펼친 책이라면, 『붓다의 치명적 농담』은 『금강경』이 전하고자 하는 근본 ‘정신’을, 다양한 언설 속에 숨은 중심 아이디어를 콕 집어 들려준다.
저자는 ‘깨달음’이 ‘이미’ 여기 와 있다고 말한다! 이 선언은 오랜 수련을 통해 새로운 경험이 신비적 초월적으로 돌파된다는 저간의 통념을 배반하는 새로운 목소리이다. 핵심은 공이다. 그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가 사실은 자아의 구성물임을 일깨우는 말이다. 여기가 불교의 주춧돌이다. “인간이 처한 곤경은 자아의 과도한 개입에서 생긴다.” 이 점에서 불교는 그 현란한 발전과 수많은 개성에도 불구하고 같은 곡조를 읊고 있다. 이 책은 자아가 빚어낸 우상이 어떻게 구성되고 강화되며, ‘소외’로 이끄는지를 설파하고, 그것을 타파하기 위한 “붓다의 약상자들”을 구체적 일상의 지평에서 설파하고 있다.
저자는 불교사의 다양한 굴곡을 일이관지 질긴 실 하나로 꿰어나갔다. 소승 아비달마의 분석에서 대승 유식의 정신분석과, 중관의 변증논리, 화엄의 연기적 세계관, 선의 단도직입이 결국은 ‘단 하나의 진실’을 알려주기 위한 장치라고 설한다. 뿐인가, 노장의 세계관과 12세기 삼교통합의 체계인 주자학까지 이 지적 향연에 초대했고, 특별히 한국 불교의 최고봉인 원효의 삶과 사상을 통해 불교의 진면목을 알려준다. “그런 점에서 불교는 여럿이지만 하나다!”
일상의 언어로 다시 찾은 『금강경』, 그 흥미로운 ‘프리퀄’
이 책의 특장은 역시 풍부한 일화와 변죽에 있다. 아무런 연관이 없어보이는 일상의 에피소드들이 기실 불교의 진실을 보여주고 있다는 믿음의 산물이다. 예컨대 만공스님의 음담패설 법문을 통해, 저자는 곁에 두고도 못 깨닫는 중생의 어두운 눈을 일깨우는가 하면, 영화 '라쇼몽'을 통해 욕망이 빚어낸 상의 문제를 이야기한다. 보시를 베풀고 덕을 실현하는 방법을 논하며 아내의 젖은 손을 묘사할 때, 그의 문장은 편편의 에세이처럼 쉽고 편하게 서술된다. 그리하여 이 책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금강경』 입문자를 위한 자못 친절한 독송이 되었다.
일상의 언어로 풀어 쓴 『금강경』 입문서
무심코 마시는 차 한 잔에도, 어느 날 문득 눈치 챈 아내의 젖은 손에도 여여히 살아 있는 법뮹?구하다.
우리 모두는 로맨티스트입니다, 지독한……
자기기만이 일상이 되었다.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과, 실제 삶 사이의 심연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눈앞에 놓인 수많은 의무와 목표를 잠시 내려놓은 채 생각해보자. 이것이 인생인가? 저자는 말한다.
“삶의 목표는 쾌락이 아닙니다! 우리 모두는 마음속 깊이 이상주의자들입니다. 로맨티스트들이지요. 그렇지 않다면 왜 보살님네들이, 남편이 사회적으로 성공하고, 아이들도 다 컸으며, 아파트 평수도 남부럽지 않은데, 왜 절을 찾아, 스님들의 법문을 듣고, 대웅전에 참배하고, 참선에 열중하십니까. 그것은 외면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우리 내면은 여전히 가난하고, 불만족스럽기 때문이 아닐까요.”
불교는 이 근본 곤경을 타파해 구원과 행복에 이르는 길을 보여준다. 그 대표적 경전이 '금강경'이다. 난해한 한적과 독특한 사고의 베일에 가려 있던 그 ‘삶의 기술’을 이제 생생하게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초심자를 위한 ‘별도의 해설'
이 책에 붙은 부제인 ‘금강경 별기’란, 곧 『금강경』에 대해 저자가 각별히 따로 쓴 ‘별도의 해설’이란 뜻이다. 『허접한 꽃들의 축제』가 『금강경』 원문과 이에 붙은 다양한 해석을 새로운 번역으로 펼친 책이라면, 『붓다의 치명적 농담』은 『금강경』이 전하고자 하는 근본 ‘정신’을, 다양한 언설 속에 숨은 중심 아이디어를 콕 집어 들려준다.
저자는 ‘깨달음’이 ‘이미’ 여기 와 있다고 말한다! 이 선언은 오랜 수련을 통해 새로운 경험이 신비적 초월적으로 돌파된다는 저간의 통념을 배반하는 새로운 목소리이다. 핵심은 공이다. 그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가 사실은 자아의 구성물임을 일깨우는 말이다. 여기가 불교의 주춧돌이다. “인간이 처한 곤경은 자아의 과도한 개입에서 생긴다.” 이 점에서 불교는 그 현란한 발전과 수많은 개성에도 불구하고 같은 곡조를 읊고 있다. 이 책은 자아가 빚어낸 우상이 어떻게 구성되고 강화되며, ‘소외’로 이끄는지를 설파하고, 그것을 타파하기 위한 “붓다의 약상자들”을 구체적 일상의 지평에서 설파하고 있다.
저자는 불교사의 다양한 굴곡을 일이관지 질긴 실 하나로 꿰어나갔다. 소승 아비달마의 분석에서 대승 유식의 정신분석과, 중관의 변증논리, 화엄의 연기적 세계관, 선의 단도직입이 결국은 ‘단 하나의 진실’을 알려주기 위한 장치라고 설한다. 뿐인가, 노장의 세계관과 12세기 삼교통합의 체계인 주자학까지 이 지적 향연에 초대했고, 특별히 한국 불교의 최고봉인 원효의 삶과 사상을 통해 불교의 진면목을 알려준다. “그런 점에서 불교는 여럿이지만 하나다!”
일상의 언어로 다시 찾은 『금강경』, 그 흥미로운 ‘프리퀄’
이 책의 특장은 역시 풍부한 일화와 변죽에 있다. 아무런 연관이 없어보이는 일상의 에피소드들이 기실 불교의 진실을 보여주고 있다는 믿음의 산물이다. 예컨대 만공스님의 음담패설 법문을 통해, 저자는 곁에 두고도 못 깨닫는 중생의 어두운 눈을 일깨우는가 하면, 영화 '라쇼몽'을 통해 욕망이 빚어낸 상의 문제를 이야기한다. 보시를 베풀고 덕을 실현하는 방법을 논하며 아내의 젖은 손을 묘사할 때, 그의 문장은 편편의 에세이처럼 쉽고 편하게 서술된다. 그리하여 이 책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금강경』 입문자를 위한 자못 친절한 독송이 되었다.
'54.인문교양 (독서>책소개) > 2.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의 첫 생각이 하루를 지배한다 - 아침과 저녁, 나를 위한 사색 30day (2023) (1) | 2023.12.02 |
---|---|
남에게 보여주려고 인생을 낭비하지 마라 - 쇼펜하우어 소품집 (2023) (0) | 2023.11.16 |
고독한 나에게 (2020) - 불교철학자가 40년 동안 찾은 고독의 조각들 (0) | 2023.09.20 |
발견의 시대 (2018) - 신 르네상스의 새로운 기회를 찾아서 (0) | 2023.08.25 |
지식인의 두 얼굴 (2020) (0) | 2023.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