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기독교역사 (연구>책소개)/2.한국기독교역사

북한성결교회사 (2024)

동방박사님 2024. 6. 2. 07:01
728x90

책소개

이 책은 해방 이전 북한교회들의 역사를 다룬 것으로 6년간의 치열한 연구와 분석 끝에 탄생했다. 필자는 1922년부터 발행되고 있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신학잡지 「활천」, 1930-40년대에 기록된 성결교회의 「총회록」과 「연회록」, 「조선총독부관보」, 『조선야소교동양선교회성결교회약사』(이명직, 1929) 등을 샅샅이 조사한 끝에 일제강점기 시기에 북한 지역에 세워진 성결교회가 함경북도에 17개, 함경남도에 34개, 평안북도에 10개, 평안남도에 12개, 황해도에 12개, 강원도에 3개, 경기도에 3개 등 모두 91개소임을 밝혀냈다. 그리고 이 91개소의 교회가 각각 어떻게 세워지고 발전했으며, 문을 닫게 되었는지 그리고 이 교회들에서 사역한 교역자들은 누구였는지, 어떤 성도들이 어떠한 활동을 했는지를 상세히 소개했다. 한국전쟁 이전의 북한성결교회에 대한 집중적이 연구가 아직까지 전무한 상황에서 교단 최초로 북한성결교회 역사를 집대성한 이 책은 한국교회가 잃어버린 북한교회의 유산을 되찾고, 향후 북한 지역에 성결교회를 재건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머리말
추천사 1 류승동
추천사 2 지형은
추천사 3 조기호
추천사 4 정상운
추천사 5 박창훈

함경북도 지역 교회

회령성결교회(會寧聖潔敎會)
청진성결교회(淸津聖潔敎會)
웅기성결교회(雄基聖潔敎會)
나남성결교회(羅南聖潔敎會)
서수라성결교회(西水羅聖潔敎會)
굴포성결교회(屈浦聖潔敎會)
온성성결교회(穩城聖潔敎會)
성진성결교회(城津聖潔敎會)
종성성결교회(鍾城聖潔敎會)
길주성결교회(吉州聖潔敎會)
포항동성결교회(浦項洞聖潔敎會)
회암성결교회(灰岩聖潔敎會)
운연성결교회(雲淵聖潔敎會)
조산동성결교회(造山洞聖潔敎會)
나진성결교회(羅津聖潔敎會)

함경남도 지역 교회

북청(읍)성결교회(北靑聖潔敎會)
어포리성결교회(魚抱里聖潔敎會)
평산성결교회(坪山聖潔敎會)
나하대성결교회(羅荷臺聖潔敎會)
예원리성결교회(藝園里聖潔敎會)
임자동성결교회(荏子洞聖潔敎會)
복부정성결교회(福富町聖潔敎會)
동평리성결교회(東坪里聖潔敎會)
개운성성결교회(開雲成聖潔敎會)
신북청성결교회(新北靑聖潔敎會)
간평성결교회(間坪聖潔敎會)
니망지리성결교회(泥望只里聖潔敎會)
양천성결교회(楊川聖潔敎會)
흥남성결교회(興南聖潔敎會)
혜산진성결교회(惠山鎭聖潔敎會)
홍원성결교회(洪原聖潔敎會)
고원성결교회(高原聖潔敎會)
영흥성결교회(永興聖潔敎會)
원산성결교회(元山聖潔敎會)
원산제2성결교회(元山第二聖潔敎會)
산수정성결교회(山手町聖潔敎會)
안변성결교회(安邊聖潔敎會)
신고산성결교회(新高山聖潔敎會)
용흥성결교회(龍興聖潔敎會)
구룡성결교회(九龍聖潔敎會)

평안북도 지역 교회

신의주서부성결교회(新義州西部聖潔敎會)
의주성결교회(義州聖潔敎會)
양시성결교회(楊市聖潔敎會)
곽산성결교회(郭山聖潔敎會)
비현성결교회(枇峴聖潔敎會)
고읍성결교회(古邑聖潔敎會)
신의주동부성결교회(新義州東部聖潔敎會)
법흥성결교회(法興聖潔敎會)
마전동성결교회(麻田洞聖潔敎會)
민포동성결교회(敏浦洞聖潔敎會)

평안남도 지역 교회

진남포성결교회(鎭南浦聖潔敎會)
평양성결교회(平壤聖潔敎會)
교구정성결교회(橋口町聖潔敎會)
암정성결교회(岩町聖潔敎會)
대동성결교회(大同聖潔敎會)
선교리성결교회(船橋里聖潔敎會)
신안주성결교회(新安州聖潔敎會)
숙천성결교회(肅川聖潔敎會)
용화성결교회(龍花聖潔敎會)
희천성결교회(熙川聖潔敎會)
평동성결교회(平東聖潔敎會)
진지동성결교회(眞池洞聖潔敎會)

황해도 지역 교회

사리원성결교회(沙里院聖潔敎會)
매양성결교회(梅楊聖潔敎會)
신막성결교회(新幕聖潔敎會)
곡산성결교회(谷山聖潔敎會)
신천성결교회(信川聖潔敎會)
연안성결교회(延安聖潔敎會)
해주성결교회(海州聖潔敎會)
겸이포성결교회(兼二浦聖潔敎會)
재령성결교회(載寧聖潔敎會)
황주성결교회(黃州聖潔敎會)
문화성결교회(文化聖潔敎會)
해주항성결교회(海州港聖潔敎會)

강원도 지역 교회

복계성결교회(福溪聖潔敎會)
외금강성결교회(外金剛聖潔敎會)
평강성결교회(平康聖潔敎會)

경기도 지역 교회

개성성결교회(開城聖潔敎會)
대원리성결교회(大院里聖潔敎會)

그 밖의 교회들

함경북도
수남동성결교회(水南洞聖潔敎會)
구산농장성결교회
함경남도
현금리성결교회(絃琴里聖潔敎會)
구미단성결교회(龜尾端聖潔敎會)
도룡리성결교회(都龍里聖潔敎會)
종고대성결교회(終高臺聖潔敎會)
신창성결교회(新昌聖潔敎會)
서호진성결교회(西湖津聖潔敎會)
마장성결교회(馬場聖潔敎會)
송전리성결교회(松田里聖潔敎會)
단천성결교회(端川聖潔敎會)
경기도
토성성결교회(土城聖潔敎會)

부록
1. 1943년 12월 29일 일제에 의해 강제로 해산·폐지된 북한 지역 성결교회들
2. 1945년 해방 이후 북한 지역 성결교회 소식
1) 1946년 이성봉 목사가 전해준 서북교회 소식
2) 1947년 이용선 목사가 전해준 이북교회 소식

저자 소개 

저 : 이한복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과(B.A.)와 동 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하였다. 이후 동 대학원에서 역사신학을 전공하고(Th.M.), 한국성결교회 형성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현재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겸임교수이며, 강원도 정선교회에서 목회하고 있다. 또한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와 한국교회사학회 회원으로 학술활동도 하고 있다. 저서로는 『해방 전 북한과 한국성결교회』(공저), 『한국성결교회 형...

출판사 리뷰

일제강점기 북한 지역에 설립된 91개소 성결교회에 대한
6년간의 연구 집대성

북한 지역은 민족사적으로나 교회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민족사적으로는 고조선과 고구려, 고려의 중심이었고, 교회사적으로는 선교사의 선교활동보다 앞서 기독교 신앙을 수용하고 성경을 번역했다. 조선인 서상륜과 서경조 등은 알렌, 언더우드, 아펜젤러 선교사의 활동 이전에 이미 조선 최초의 교회인 ‘소래교회’(1883, 황해도)를 세웠다. 초기 개신교의 영적 각성과 부흥운동도 북한 지역에서부터 일어났고, 일제강점기하에서 독립운동, 절제운동, 계몽운동, 물산장려를 통한 민족자본 육성운동, 일본제품 불매운동 등도 평양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 같은 개신교 신앙 부흥으로 인해 일제강점기 북한 지역에는 3,000여 개소의 교회가 세워졌다.

북한 지역에서의 성결교회 전도활동은 장로교회나 감리교회에 비해 20여 년 이상 뒤늦은 1908년부터 시작되었다. 『북한성결교회사』는 해방 이전 북한교회들의 역사를 다룬 책으로 6년간의 치열한 연구와 분석 끝에 탄생했다. 필자는 1922년부터 발행되고 있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신학잡지 「활천」, 1930-40년대에 기록된 성결교회의 「총회록」과 「연회록」, 「조선총독부관보」, 『조선야소교동양선교회성결교회약사』(이명직, 1929) 등을 샅샅이 조사한 끝에 일제강점기 시기에 북한 지역에 세워진 성결교회가 함경북도에 17개, 함경남도에 34개, 평안북도에 10개, 평안남도에 12개, 황해도에 12개, 강원도에 3개, 경기도에 3개 등 모두 91개소임을 밝혀냈다. 그리고 이 91개소의 교회가 각각 어떻게 세워지고 발전했으며, 문을 닫게 되었는지 그리고 이 교회들에서 사역한 교역자들은 누구였는지, 어떤 성도들이 어떠한 활동을 했는지를 상세히 소개했다. 필자는 “더 늦기 전에 누군가는 정리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이 작업을 시작했지만 막상 작업에 들어가 보니 해결해야 할 난관이 하나둘이 아니었다.”라면서 “앞으로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전쟁 이전의 북한성결교회에 대한 집중적이 연구가 아직까지 전무한 상황에서 교단 최초로 북한성결교회 역사를 집대성한 이 책은 한국교회가 잃어버린 북한교회의 유산을 되찾고, 향후 북한 지역에 성결교회를 재건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성결교단뿐만 아니라 다른 교단들의 북한교회사 연구에도 도전이 될 것이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초기 신앙 선배들의 열정을 배우고, 남북통일 이후 북한교회 재건을 위한 소망의 불씨를 얻게 될 것이다.

추천평

『북한성결교회사』는 한국교회가 잃어버린 북한교회의 유산을 되찾는 데 큰 이정표가 되고 나아가 한국교회사 연구를 선도할 업적이 될 게 분명합니다. …해방 이전의 세대와 해방 이후의 세대가 이 책을 통해 함께 손잡고 북한성결교회사, 나아가 한국성결교회사를 재건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류승동 (인후동교회 목사,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총회장)
북한교회사의 범주 안에 있는 북한성결교회사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와 예수교대한성결교회 그리고 성결교회의 신앙전통을 이어가는 교단들에게 성찰의 문을 열어줄 것입니다. 아울러 다른 교단들의 북한교회사 연구에도 도전이 될 것입니다. 이렇게 개별 교단의 북한 지역 교회에 관한 연구가 쌓이고 이를 통해 한국교회가 보다 성숙한 기독교 가치관으로 남북문제를 해석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 지형은 (말씀삶공동체 성락성결교회 목사,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전 총회장)
북한선교위원회는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행 1:8)라는 말씀을 바탕으로 오늘의 사마리아가 바로 북한이라는 마음을 품고서 무너진 북한교회 재건을 위해 힘쓸 것입니다. 이 책은 북한교회 재건 협약에 함께한 교회들에게 큰 소망과 기도 부흥의 불씨가 될 것입니다.
- 조기호 (은혜제일교회 목사, 기독교대한성결교회 북한선교위원회 위원장)
한국전쟁 이전의 북한성결교회를 집중적으로 연구한 책이 전무한 상황에서 이한복 박사의 『북한성결교회사』는 학계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이 책은… 단순한 소개를 넘어 향후 북한성결교회 재건을 위한 사료적 가치를 충분히 갖추고 있기에 교역자는 물론 성결인 모두가 읽어야 할 필독서로 기꺼이 추천합니다.
- 정상운 (한국기독교한림원 원장, 성결대학교 명예총장)
통일된 민족이 함께 예배드리는 그날을 위해 ‘북한 지역의 교회가 정말로 사라졌는지, 아니면 어떤 형태로라도 계속되고 있는지, 북한성결교회의 정체성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대답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이 책이 긴요하게 쓰일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 박창훈 (서울신학대학교 교회사 교수,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