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과학의 이해 (독서>책소개)/7.생명과학

다윈 이후 (2009) - 다윈주의에 대한 오해와 이해를 말하다

동방박사님 2024. 6. 25. 05:25
728x90

책소개

『다윈 이후: 다윈주의에 대한 오해와 이해를 말하다(Ever Since Darwin: Reflections on the Natural History)』는 다윈 탄생 200주년, 『종의 기원』출간 150주년을 맞아 출간된 수 많은 ‘다윈 붐’서적들 틈에서 다윈 사상의 핵심을 정확하게 집어내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 책이다. 고생물학자이자 진화 생물학자인 스티븐 제이 굴드는 ‘진화론의 투사’를 자처하며 ‘다윈의 생물관’의 본래 모습을 생생하게 복원해 내는 시도를 한다. 그는 해박한 지식과 우아한 문체를 바탕으로 19세기와 20세기의 정치·사회·문화적 흐름 속에서 다윈의 사상이 어떻게 왜곡·확산되었는지,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입체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저자 '스티븐 제이 굴드'는 1974년부터 2001년까지 27년간 미국 자연사 박물관이 발간하는 월간지「자연사(Natural History Magazine)」에 300편이 넘는 에세이를 연재하고 20권 이상의 진화 생물학 저서를 출간하며 미국의 대표적 텔레비전 과학 프로그램「노바(Nova)」를 통해 강의를 펼치는 등 다윈에 대한 오해와 편견에 맞서 다윈주의를 설명하고 옹호하는 데 평생을 바쳤다. 이러한 과학 대중화 작업을 통해 굴드는 칼 세이건, 리처드 도킨스 등과 함께 한 시대를 대표하는 과학 저술가로 명성을 드날렸다.

목차

머리말

1부 다윈주의
1장 다윈에 대한 오해와 이해
2장 비글호에서의 5년
3장 다윈의 딜레마
4장 다윈은 잠들지 않는다

2부 인류의 진화
5장 인간과 다른 유인원 친척
6장 관목론과 사다리론
7장 유형 성숙설과 반복설
8장 일찍 태어나는 인간 아기

3부 생명의 진화
9장 아일랜드엘크를 둘러싼 논쟁
10장 파리의 모체 살해
11장 대나무와 매미와 애덤 스미스
12장 미끼물고기를 진화시킨 조개

4부 생명의 역사
13장 생물의 5계
14장 무명의 단세포 영웅들
15장 캄브리아기 대번성
16장 페름기 대멸종

5부 지구의 역사
17장 버넷 목사의 하찮은 행성론
18장 균일론과 격변론
19장 벨리코프스키의 좌충우돌
20장 대륙 이동의 확실한 증거들

6부 자연에 대한 오만과 편견
21장 크기와 형태
22장 인간 지능의 잣대
23장 척추동물 두뇌의 역사
24장 행성의 크기와 표면적

7부 사회 속의 과학
25장 과학사의 영웅과 바보들
26장 직립의 의의
27장 인종 차별주의와 반복설
28장 우리 안의 유인원

8부 인간 본성의 과학
29장 인종 구분의 무의미성
30장 인간 본성 연구의 비과학성
31장 인종 차별주의와 지능 지수
32장 생물학적 잠재력과 생물학적 결정론
33장 참으로 영리하게 친절한 동물

저자 소개 

저 : 스티븐 제이 굴드 (Stephen Jay Gould)
1941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났으며, 1963년 안티오크 대학교 지질학과를 졸업한 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1967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지질학과 동물학 교수로 강의를 시작해, 1982년부터는 하버드 대학교 동물학과의 알렉산더 아가시 석좌교수를 겸했다. 굴드의 삶은 그 자체로도 상당히 매력적이었다. 그는 박사과정 시절부터 인종주의에 반대하는 정치적 활동에 참여했고, 이후 과학의 남용과 자본주의 ...

역 : 홍욱희

서울 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생물공학 석사 학위를 받은 후 KIST에서 환경공학부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미국 미시간 대학교(앤아버)에서 환경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미시간 대학교 연구원을 거쳐 한국 전력공사 전력 연구원에서 오랜 기간 책임 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세민환경연구소 소장으로 근무하며 환경과 과학 분야에서 활발한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위기의 환경주의 오류의 환경정책』...

역 : 홍동선

연세 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졸업하고 월간 「세대」의 주간으로 일했다. 역서로 『그 영혼의 푸른 불꽃』, 『명상의 나무아래』, 『닭이냐 달걀이냐?』,『자기 조직하는 우주』,『스티븐 호킹의 우주』, 『세계를 움직이는 30인의 사상가』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다윈에 대한 오해는 이제 충분하다!
근현대의 온갖 편견들로부터 다윈을 해방시키는 다윈주의의 고전!


“다윈 이후 100년이면 이제 충분하지 않습니까?” 1959년『종의 기원』출간 100주년 기념식장에서 미국의 저명한 유전학자 허먼 조지프 멀러가 볼멘소리를 했다. 그 후 50년이 지나 다윈 탄생 200주년, 『종의 기원』출간 150주년을 맞은 우리는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다윈 이후 150년, 여전히 불만스럽다.”
‘다윈의 해’ 2009년을 맞아 도처에서 다윈 이야기가 봇물 터지듯 나오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 현상이다. 학계 수준에서만이 아니라 대중문화와 교육 부문에서도 다윈에 대한 관심은 뜨겁다. 다종다양한 전시회와 이벤트, 무수한 다윈 관련 도서들이 ‘다윈 붐’을 증명해 준다. 수많은 진화 생물학 학자들이 다투어 다윈과 그의 진화론에 대한 정보를 대중에게 전달하려 노력 중이다. 이는 그동안 다윈에 대한 일반의 몰이해와 무관심이 그만큼 깊었다는 반증이다.
(주)사이언스북스에서 출간한 스티븐 제이 굴드(Stephen Jay Gould)의『다윈 이후: 다윈주의에 대한 오해와 이해를 말하다(Ever Since Darwin: Reflections on the Natural History)』는 이러한 ‘다윈 붐’ 속에서 다윈 사상의 핵심을 정확하게 집어내는 데 도움을 주는 과학 교양서의 고전이다. 위대한 고생물학자이자 진화 생물학자인 스티븐 제이 굴드는 ‘진화론의 투사’를 자처하며 ‘다윈의 생물관’의 본래 모습을 생생하게 복원해 낸다. 그는 해박한 지식과 우아한 문체를 바탕으로 19세기와 20세기의 정치?사회?문화적 흐름 속에서 다윈의 사상이 어떻게 왜곡?확산되었는지,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하버드 대학교 지질학과 교수이자 동 대학교 동물학과의 알렉산더 아가시 석좌 교수를 겸직한 스티븐 제이 굴드는 리처드 도킨스와 함께 현대 진화 생물학계를 대표하는 학자였다. 고생물학, 지질학, 동물학, 과학사라는 다양한 학문 분야를 아우르며 활동을 한 그는 ‘단속 평형설’을 제시해 다윈 이후 100여 년간 진화 생물학자들을 곤혹스럽게 한 진화 과정상의 단절을 설명했으며, 다윈의 사상이 과학사적으로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해명하고, 에드워드 윌슨의 사회 생물학, 분자 생물학자들의 유전자 결정론 등이 범할 수 있는 과학주의적 오류를 과학자의 입장에서 비판해 진화 생물학의 논의를 심화시켰다.
뿐만 아니라 진화 생물학을 대중적으로 확산시키는 데도 힘썼다. 1974년부터 2001년까지 27년간 미국 자연사 박물관이 발간하는 월간지 《자연사(Natural History Magazine)》에 300편이 넘는 에세이를 연재하고 20권 이상의 진화 생물학 저서를 출간하며 미국의 대표적 텔레비전 과학 프로그램「노바(Nova)」를 통해 강의를 펼치는 등 다윈에 대한 오해와 편견에 맞서 다윈주의를 설명하고 옹호하는 데 평생을 바쳤다. 이러한 과학 대중화 작업을 통해 굴드는 칼 세이건, 리처드 도킨스 등과 함께 한 시대를 대표하는 과학 저술가로 명성을 드날렸다.


다윈으로 돌아가자!

사실상 우리 서양인들은, 인간은 미리 예정된 과정의 과장 위대한 창조물이므로 지구와 생물들을 지배하고 소유할 수 있는 운명을 지닌 존재라고 오랫동안 생각해 왔다. 사실 나는 참된 다윈 정신이 그러한 우리의 오만한 사상을 부정함으로써 황폐해진 이 세계를 구원해 내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곤 한다. -본문에서

스티븐 제이 굴드의 첫 번째 글 모음인『다윈 이후』(1977년 초판 출간)의 메시지는 분명하다. “다윈으로 돌아가자!”는 것이다. 굴드는 다윈주의가 자연의 다양성과 학문의 다양성을 인지하고 각각을 아우르며 새로운 경지에 이르게 하는 ‘사상의 창조적 추진력’이라고 주장한다.
굴드는 다윈주의가 “행성학과 지질학, 사회사 정치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것이지만 진화론-다윈이 구상했던 대로의-이라는 공통된 실에 꿰여 일체를 이루고 있다.”라고 본다. 그는 자신이 “일개 전문인”일 따름이어서 “행성이나 정치에 관해서 알고 있는 내용은 생물 진화와 교차되는 부분에 한정된다.”라고 겸손하게 선을 긋지만, 다윈의 사상 안에서 생물학과 지질학, 물리학 등이 서로 연계되고 인문학과 사회 과학적 통찰이 자연 과학적 통찰과 어울리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진화 생물학이 가진 무궁한 잠재력을 생생하게 보여 준다.
이러한 굴드의 전망은 행동 생태학, 진화 발생 생물학, 다윈 의학, 생물 철학, 진화 경제학, 진화 심리학 등으로 점차 그 영향력을 넓혀 가는 현대 진화 생물학을 통해 실현되고 있다.


다윈주의에 대한 오독을 해독하라

만일 우리가 다윈의 경고에 좀 더 주의를 기울였더라면 오늘날 과학자들과 일반인들 사이에 존재하는 혼란과 오해의 상? 부분을 진작 덜어 낼 수 있었을 것이다. -본문에서

호모 사피엔스인 우리는, 기초로부터 시작해 고상한 정점에 이르는 진화의 사다리에서 미리 예정된 최종적인 걸작품이 결코 아니다. 단지 무수하게 가지치기를 해 온 진화의 관목에서 제대로 자라는 데 성공한 곁가지 하나에 불과한 것이다. -본문에서

다윈주의는 공고한 편견의 장벽을 넘어 현재의 위상에 이르렀다. 다윈이 진화가 실제로 일어난 사실이라는 점을 당대 과학계에 확신시키는 데에는 10년이 채 걸리지 않았지만, 그가 진화의 메커니즘으로 제안한 자연 선택 이론은 1940년대에 유전학의 도움을 얻기 전까지 온전히 인정받지 못했다. 1950년대 이후로 다윈의 이론이 과학의 여러 분야에 두루 적용되었으며 그 연장선상에서 1970년대 후반 사회 생물학이 등장해 다윈주의의 외연을 확장시켰다. 그러나 굴드는 이것 또한 앞서 존재했던 과학사의 오류들처럼 다윈주의를 남용한 실례가 될까 우려하고 있다.
자연 선택이 다윈 살아생전에 인정받지 못한 것은 진화의 과정 속에 진보가 내재한다는 관점을 부정했기 때문이다. 당시 빅토리아 시대의 사람들은, 그가 애써 ‘변이를 수반한 유전(descent with modification)’이라 서술한 생물의 변화 현상은 당연히 더 나은 상태로 발전해 가는 성향을 지닌다고 믿었다. 그리하여 모든 생물은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진화’하는 과정 중에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신의 선택받은 자손인 ‘인간’의 상태를 향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자연 선택은 완성을 추구하는 개선의 과정이 아니라 변화하는 국지적 환경 속에서 “살기에 보다 나은 설계로 이루어진 생물 종들을 차등적으로 보전함으로써 변화하는 환경을 따라잡는 작업을 말한다.”. 다윈은 이러한 국지적 적응(local adaptation)이 기생 생물의 예처럼 곧잘 설계상의 ‘퇴화(degeneration)’을 일으킨다는 점을 밝히며 즐거워했다. 그리고 “생물의 구조를 표현할 때 절대로 ‘고등(higher)’이나 ‘하등(lower)’라는 말을 하지 않겠노라고 스스로에게 다짐했다.” 안타깝게도 이러한 다윈의 생각은 지금껏 통용되는 ‘진화(evolution)’라는 용어가 품은 진보의 인상에 묻혀 제대로 알려지지 못했다.
자연 선택은, 진화를 진보의 관념으로 널리 알린 허버트 스펜서의 명언 ‘적자생존(survival of the fittest)’으로 규정된다. ‘적자(the fit)’와 ‘적응도(fitness)’를 설명하기 위해 다윈은 자연 선택을 비둘기 육종에서의 인위 선택에 빗댔는데, 여기에서 많은 오해가 불거졌다. 인위 선택의 과정에서는 우월한 형질과 도태시켜야 할 개체가 사전에 결정되어 있다. 자연 선택은, 자연계라는 더 많은 자손을 남기기 위한 투쟁의 현장에서 적절한 방향으로 변화하지 못한 불운한 개체를 말살시키는 무자비한 원리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굴드에 의하면 인위 선택에서의 한 육종가의 바람은 어느 생물 집단의 ‘환경 변화’를 의미하고 이 새로운 환경에서는 일정한 형질들이 선천적으로 우월하므로 동물 육종에의 비유는 정당하다. 생물들은 절대적인 기준에 의해 골라내지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환경에 상대적으로 적합한 형태적, 생리적, 행동적 형질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살아남은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살아남은 형질들이 축적되어 자손들의 적응도를 높인다.
“다윈주의의 본질은 자연 선택이 적자를 창조한다는 주장에 담겨 있다.” 굴드는 자연 선택이 세대를 거듭하면서 광범위한 임의적 변이 중에서 선호되는 부분만을 선택해 보전시킴으로써 생물 종의 적응도를 점차적으로 쌓아 올리는 창조적 과정임을 역설한다.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는 특정한 방향으로 개선되고 향상된 적자를 선발하는 과정이 아니라, 우연한 유전자 변이가 선택되어 변화하는 환경에서 생물의 적응도를 높여 가는, 적자를 만들어 가는 과정인 것이다.


다윈주의는 스스로 진화해 왔다!

다윈 이후 여러 학문과 연계된 진화론은 역사적 오해를 탈피하고 한층 융성했다. 굴드는 근대 들어 발전한 유전학, 발생학, 수학, 통계학, 지질학 등이 진화론적 관점을 어떻게 발전시켰는지 설명한다. r선택과 K선택, 수확 원리, 상대 성장, 개체 발생과 계통 발생의 역할, 판 구조론, 공생의 기원, 혈연 선택에 관한 현대 자연 과학의 이론들을 설명하며 이로 인해 다윈의 이론이 한층 더 구체적으로 증명되고 있음을 밝힌다. 그러나 이러한 진화론의 확장이 진화론에 대한 또 하나의 오독이 될 수도 있음을 저자는 경계한다. 진화론을 오용해 범죄자를 유인원으로 치부한 선천성 범죄형 이론, 발생학을 동원해 인종의 불평등을 정당화 했던 역사적 실례 등을 소개하며 굴드는 정치적 메시지가 가미된 과학적 오만에 일침을 가한다. 특히 과학의 진보를 맹신하고 유전자로 인간의 모든 것을 설명하려는 생물학적 결정론을 통렬히 비판하며 같은 맥락에서 인간의 사회 현상을 생물학적 관점으로 설명한 에드워드 ?슨의 사회 생물학에 우려를 표한다. 이렇듯 과거의 오류를 성찰하고 미래를 조망함으로써 굴드는 다윈주의에 대한 해독(解讀)이자 해독(解毒)을 갈망한다.

『다윈 이후』는 당대와 현대, 그리고 바로 지금까지도 “잘못 이해되고 인용되고 적용되고 있는” 다윈주의에 대한 총체적 진단서이다. 이 책은 다윈주의를 다시 읽어 냄으로써 그 뿌리와 줄기를 더듬고 더 많은 꽃과 열매를 기대하게 한다. 다윈의 사상은 끊임없이 스스로를 ‘진화’시켜 나가며 현재에 이르렀다. 굴드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바, 반성하고 도전하는 다윈 정신은 앞으로도 잠들지 않고 늘 깨어 우리와 함께할 것이다. 스티븐 제이 굴드의 풍부한 교양과 유려한 문체에 담긴 ‘진정한 다윈주의’를 위한 호소는『다윈 이후』초판이 나온 지 30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유의미하다.

‘다윈의 생물관’이 다음 세기에도 꽃피어서 과학적인 이해(理解)가 지니고 있는 한계와 교훈을 다 같이 터득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빌어마지 않는다. -본문에서

참으로 큰 문제들은 풍요로운 자연 앞에 무릎을 꿇는다. 변화는 일방향적이거나 무방향적이며 점진적인가 하면 돌발적이고 선택적인가 하면 중립적이다. 나는 앞으로도 자연의 다양성을 만끽할 것이지만, 확실성이라는 갈피를 잡기 어려운 괴물은 정치가와 목사들의 몫으로 남겨 두고자 한다. -본문에서

『다윈 이후』를 읽는 모든 이들이 광대한 자연 앞에 겸손한 마음으로 상식을 재구성하며, 다윈이 여러 학문에 일으킨 다채로운 사고의 전환을 받아들이고 생각의 범주를 넓히는 기쁨을 누리길 바란다. 이 책을 읽음으로써 세계적인 다윈의 대변인이 명쾌하게 풀어 낸 다윈의 메시지를 직접 호흡할 수 있을 것이다.

※ 1987년 범양사에서『다윈 이후: 생물학 사상의 현대적 해석』이란 제목으로 출간되었던 것을 사이언스북스에서, 동일 역자가 다시 번역하여 펴냈다.

추천평

굴드의 첫 번째 저서인 이 책은 25만부가 넘게 팔렸다. 이 독특한 작가의 다른 모든 성공적인 글 모음과 마찬가지로 이 책은 과학 에세이를 비할 바 없는 경지에 올려놓았다. 찰스 다윈에 관한 통찰력 있고 학구적이며 지적인 이 에세이는, 다른 상황에서라면 아마도 스탕달이나 프루스트라든가 여타 문학계의 주요 인사들에 관한 문예 평론이라고 할 만한 문체와 태도를 보여 준다.
「더 사이언시스」
호기심을 자극하는 책이며 대단히 잘 쓴 글이고, 자연사는 번호를 매기고 목록을 만드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막연히 생각해 온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분명 당황하게 만들 것이다. 스티븐 제이 굴드는 진화론이 어떻게 해서 전혀 공통점이 없는 자료 뭉치를 통합하고 의미를 부여하는지를 증명해 낸다. 참으로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BBC
(굴드는) 과학 이론들을 설명할 뿐만 아니라 과학 자체를 논하는데, 명확성과 재치가 있는 동시에 유쾌하면서 교육적이기까지 하다. 그가 드는 예들은 매력적이다. (이 작품은) 가장 대중적인 성격의 것이다. 굴드는 결코 과학을 신화화하지 않는다. 그는 과학의 강점과 약점을 함께 보여 준다. 한 에세이에서 굴드는 어떻게 비과학적인 사람들이 전문가들의 주장에 맞서 그것을 비판할 수 있는지 의구심을 비친다. 여기에는 명확한 답이 없는 듯 보이지만, 이것은 과학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아는 데 무한한 도움을 준다. 과학을 어떻게 간파해 낼 것인가? 스티븐 제이 굴드와 함께 시작해 보라.
「뉴욕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