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에의 초대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은 케인즈와 당대에 그와 같이 연구하던 일단의 거장들의 사상과 이론을 바탕으로 케인즈의 적자(嫡子)임을 주장하며 영국의 케임브리지 대학을 중심으로 발전시켜온 경제학 조류이다. 이와는 달리, 주류 경제학 이론체계 내에서의 ‘케인지언’은 케인즈의 사상을 왜곡한 케인즈의 사생아이거나, 혹은 케인즈와는 전혀 무관한 무늬만 케인즈인 이론에 불과하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재조명을 받고 있는 금융불안정성 가설, 최근 회자되는 현대통화이론(MMT), 내생적 기술변화에 관한 이론이나 수출주도 누적적 인과관계 모형, 그리고, 임금주도성장정책(한국에서는 소득주도성장으로 불리움) 등은 이러한 케인즈의 적자들 중 민스키, 러너, 칼도, 그리고 칼레츠키 등의 거장들이 발전시켜온 이론들로서 케인즈의 사상을 계승하고 있다.
본서는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자 중 가장 저명하고 존경받는 학자 중의 한사람인 노장 존 킹 교수(John E King)가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이 다루는 폭넓은 영역의 주제의 핵심적인 사항을 일반독자들을 위하여 간결하게 요약하고 있다. 본서를 통하여 독자들은 기존의 주 류 경제학적인 사고에 얽매인 관습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보다 열린 그리고 균형잡힌 시각으로 현재 한국경제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경제 문제들을 볼 수 있는 계기를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은 케인즈와 당대에 그와 같이 연구하던 일단의 거장들의 사상과 이론을 바탕으로 케인즈의 적자(嫡子)임을 주장하며 영국의 케임브리지 대학을 중심으로 발전시켜온 경제학 조류이다. 이와는 달리, 주류 경제학 이론체계 내에서의 ‘케인지언’은 케인즈의 사상을 왜곡한 케인즈의 사생아이거나, 혹은 케인즈와는 전혀 무관한 무늬만 케인즈인 이론에 불과하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재조명을 받고 있는 금융불안정성 가설, 최근 회자되는 현대통화이론(MMT), 내생적 기술변화에 관한 이론이나 수출주도 누적적 인과관계 모형, 그리고, 임금주도성장정책(한국에서는 소득주도성장으로 불리움) 등은 이러한 케인즈의 적자들 중 민스키, 러너, 칼도, 그리고 칼레츠키 등의 거장들이 발전시켜온 이론들로서 케인즈의 사상을 계승하고 있다.
본서는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자 중 가장 저명하고 존경받는 학자 중의 한사람인 노장 존 킹 교수(John E King)가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이 다루는 폭넓은 영역의 주제의 핵심적인 사항을 일반독자들을 위하여 간결하게 요약하고 있다. 본서를 통하여 독자들은 기존의 주 류 경제학적인 사고에 얽매인 관습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보다 열린 그리고 균형잡힌 시각으로 현재 한국경제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경제 문제들을 볼 수 있는 계기를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목차
저자 및 역자 소개
거시 경제학 계보도(포스트 케인지언 대 주류 거시경제학)
감사의 말씀
역자 서문
1. 본서의 소개
2.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의 핵심
2.1. 6개의 핵심 명제들
2.2. 근본주의 케인지언
2.3. 칼레츠키언
2.4. 하이만 민스키와 ‘금융불안정성가설’
2.5. 같은 학파인가 아니면 서로 다른 세 개의 학파인가?
3. 포스트 케인지언 거시경제학이 아닌 거시 경제학들
3.1. 케인즈 이전의 거시경제학
3.2. 올드케인지언 거시경제학
3.3. 통화주의
3.4. 뉴고전학파 경제학
3.5. 뉴케인지언 거시경제학
3.6. 뉴신고전학파종합
3.7. 포스트 케인지언에 대한 간략한 역사
4. 네 가지 방법론적 문제들
4.1. 왜 방법론이 중요한가
4.2. 존재론의 문제
4.3. ‘다원론’와 포스트 케인지언
4.4. 수학과 계량경제학
4.5. ‘미시적 기초’라는 망상
5. 포스트 케인지언의 미시경제학
5.1. 방법론적인 전주곡
5.2. 포스트 케인지언 기업
5.3. 노동 시장
5.4. 소비자와 가계
5.5. 후생경제학
5.6. 마지막 남은 질문
6. 경제 성장, 경제발전, 그리고 세계 경제
6.1. 해로드의 성장 모형
6.2. 몇 가지 혼란들
6.3. 경제 발전
6.4. 국제 경제
6.5. 몇 가지 방법론 상의 결론
7. 왜 그것이 모두 중요한가?: 경제 정책
7.1. 포스트 케인지언에 있어서 정치적인 것이 가지는 중요성
7.2. 금융 정책(통화정책?)
7.3. 재정 정책
7.4. 가격 정책과 ‘소득정책’
7.5. 국제 경제 정책
7.6. 환경 정책
8. 사례 연구: 글로벌 금융위기
8.1. 민스키에 대한 재고찰
8.2. ‘금융화’의 실제와 이론
8.3. 세계적인 금융위기: ‘메이드 인 아메리카’
8.4. 우리는 무엇을 배웠는가 I: 긴축 재정에 반대하는 경제학자들
8.5. 우리는 무엇을 배웠는가 II-‘탈금융화’의 필요성
8.6. 마지막 세 가지 교훈
9. 포스트 케인지언과 다른 비주류 경제학파
9.1. 주류와 비주류 경제학
9.2. 마르크스와 스라파의 정치 경제학
9.3. 제도주의와 진화경제학
9.4. 페미니스트경제학과 생태경제학(ecological economics)
9.5. 행동경제학, 복잡성 그리고 오스트리아경제학파
9.6. ‘다원주의’에 대한 재고찰
10. 마지막 질문들
참고문헌
역자 참고문헌
찾아보기
인명(한국어, 페이지)
주제어(한국어, 페이지)
인명(영어)
주제어(한글-영어) 및 연관어
주제어(영어-한국어)
거시 경제학 계보도(포스트 케인지언 대 주류 거시경제학)
감사의 말씀
역자 서문
1. 본서의 소개
2.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의 핵심
2.1. 6개의 핵심 명제들
2.2. 근본주의 케인지언
2.3. 칼레츠키언
2.4. 하이만 민스키와 ‘금융불안정성가설’
2.5. 같은 학파인가 아니면 서로 다른 세 개의 학파인가?
3. 포스트 케인지언 거시경제학이 아닌 거시 경제학들
3.1. 케인즈 이전의 거시경제학
3.2. 올드케인지언 거시경제학
3.3. 통화주의
3.4. 뉴고전학파 경제학
3.5. 뉴케인지언 거시경제학
3.6. 뉴신고전학파종합
3.7. 포스트 케인지언에 대한 간략한 역사
4. 네 가지 방법론적 문제들
4.1. 왜 방법론이 중요한가
4.2. 존재론의 문제
4.3. ‘다원론’와 포스트 케인지언
4.4. 수학과 계량경제학
4.5. ‘미시적 기초’라는 망상
5. 포스트 케인지언의 미시경제학
5.1. 방법론적인 전주곡
5.2. 포스트 케인지언 기업
5.3. 노동 시장
5.4. 소비자와 가계
5.5. 후생경제학
5.6. 마지막 남은 질문
6. 경제 성장, 경제발전, 그리고 세계 경제
6.1. 해로드의 성장 모형
6.2. 몇 가지 혼란들
6.3. 경제 발전
6.4. 국제 경제
6.5. 몇 가지 방법론 상의 결론
7. 왜 그것이 모두 중요한가?: 경제 정책
7.1. 포스트 케인지언에 있어서 정치적인 것이 가지는 중요성
7.2. 금융 정책(통화정책?)
7.3. 재정 정책
7.4. 가격 정책과 ‘소득정책’
7.5. 국제 경제 정책
7.6. 환경 정책
8. 사례 연구: 글로벌 금융위기
8.1. 민스키에 대한 재고찰
8.2. ‘금융화’의 실제와 이론
8.3. 세계적인 금융위기: ‘메이드 인 아메리카’
8.4. 우리는 무엇을 배웠는가 I: 긴축 재정에 반대하는 경제학자들
8.5. 우리는 무엇을 배웠는가 II-‘탈금융화’의 필요성
8.6. 마지막 세 가지 교훈
9. 포스트 케인지언과 다른 비주류 경제학파
9.1. 주류와 비주류 경제학
9.2. 마르크스와 스라파의 정치 경제학
9.3. 제도주의와 진화경제학
9.4. 페미니스트경제학과 생태경제학(ecological economics)
9.5. 행동경제학, 복잡성 그리고 오스트리아경제학파
9.6. ‘다원주의’에 대한 재고찰
10. 마지막 질문들
참고문헌
역자 참고문헌
찾아보기
인명(한국어, 페이지)
주제어(한국어, 페이지)
인명(영어)
주제어(한글-영어) 및 연관어
주제어(영어-한국어)
'30.자본.경제.기업. (독서>책소개) > 6.경제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채로 만든 세상 (2024) - 은행개혁과 금융의 제자리 찾기 (0) | 2024.07.20 |
---|---|
자본주의의 적은 자본주의 (2024) - 인류 탄생에서 미래 우주시대까지, 거대한 역사로 읽는 인간 욕망과 부의 흐름 (0) | 2024.07.20 |
케인스 경제학을 찾아서 (2021) - 주류 경제학이 가르치지 않는 정통 케인스 경제학 입문 (0) | 2024.07.20 |
자본의 시대 (1998) (0) | 2024.07.09 |
자유시장 (2023) - 키케로에서 프리드먼까지 세계를 지배한 2000년 경제사상사 (0) | 2024.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