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세계평화사 [역사지식여행]/8.미국역사 (아메리카)

[웹북] 미국의 역사 (2008년~현재)

동방박사님 2025. 1. 27. 11:46
728x90

버락 오바마 행정부 (2009~2017 대통령 제44대)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대통령 버락 오바마

대통령 44대 버락 오바마

부통령 47대 조 바이든

성립연월일 2009 1 20

종료연월일 2017 1 20

여당 민주당

시행된 선거 2010년 하원, 상원

2012년 하원, 상원

2014년 하원, 상원

2016년 대선, 하원, 상원

정부각료명단 (백악관)

버락 오바마 행정부(Barack Obama Administration)는 상원 의원 버락 오바마가 제44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2009 1 20일부터 2017 1 20일까지 존재한 미국의 정부이다.

 

인수위원회 활동

이 부분 이전 시점에 관한 상세한 정보는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8 11 4일의 대통령 선거 승리 직후, 대통령에 준하는 경호와 행정 지원을 받으며 당선자(당시)로서의 직무를 시작한 버락 오바마는, 존 포데스타, 발레리 자렛, 피테 라우스 공동위원장이 총괄하는 매뉴얼 당시 미국연방하원의원(일리노이주 제5지역구)을 중심으로, 

새 정부에서 일할 각종 장차관들을 비롯한 주요 인물들의 인선, 그리고 새 정부가 펼칠 주요 정책의 연구 및 실천 방안 논의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인선 결과(하단의 '내각 구성원 명단' 참조), 전임 조지 W. 부시 행정부 출신 인사(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 등)와 공화당 출신 인사들부터 시작, 힐러리 클린턴(국무장관)으로 대표되는 중도파 인사(램 이매뉴얼 백악관 비서실장 등),

 미국 내 소수 인종 및 계층(에릭 신세키 보훈장관, 에릭 홀더 법무장관 등)까지 아우른 이른바 '거국 내각'의 성격을 띠었다.

또한, 빌 클린턴 제42대 대통령 행정부 출신 인사들이 경제관련 요직들을, 앨 고어 제45대 부통령 계열의 인사들이 환경정책 관련 부서장들을 대거 차지하는 특징도 보였다.

 

정책적으로는 인수위 초반(11) '신 뉴딜' 정책을 좀 더 구체화시킨 '녹색 뉴딜' 2008 12월 중순에 내놓았는데, 기존 석유 등 화석연료 중심의 미국 경제 체질을 신재생 에너지 중심의 친환경 고효율로 변화시키겠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로드 블라고제비치 일리노이 주지사의 상원의원(오바마의 후임자 물색 과정 도중) 매관매직 사건, 빌 리처드슨 상무장관 내정자의 뉴멕시코 주지사 집무당시의 뇌물 수뢰 의혹으로 인한 낙마 등 여러 오점도 남겼다.

 

취임 직전까지 오바마는 여러 책을 읽고 인수위 위원들과 토론하면서 국정 구상을 했는데, 프랭클린 루스벨트 제32대 대통령의 임기시작 최초 100(The first 100 days)동안의 업적들을 연구하였다.

 

1차 오바마 행정부 (2009~2013)

취임과 100

2009 1 20(현지시각), 미국 수도 워싱턴 D.C.의 연방 의회의사당 앞에서 배우자 미셸 오바마를 포함한 가족과 약 2백만 군중(추산)이 지켜본 가운데, 

관례에 따라 조 바이든 부통령이 먼저 취임선서를 마치고, 12시에 헌법에 따라 임기 개시, 12 5분에 에이브러햄 링컨 제16대 대통령이 취임식에 사용했던 성경에 손을 얹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존 로버츠 연방 대법원장의 주재 아래 취임선서를 마치면서, 4년의 공식 임기를 개시하였다.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전쟁, 주택저당대출과 무분별한 신용 남발 등으로 촉발된 전지구적 금융위기 등, 취임과 함께 맞이한 상황은 여러 면에서 1933년 루스벨트 취임 당시(2차 세계대전 직전과 세계 대공황 등으로 대표되는)와 매우 유사한데,

 이러한 국난의 극복과 미국의 재도약을 위하여, 당장 취임 다음날부터 경제 회복을 위한 정책안들(패키지, Recovery Package)의 시행을 위한 협상, 관타나모 수용소 해체를 위한 행정절차 착수와 4개월간 관련 재판 중지, 

부정부패 및 비리 근절을 위한 공무원 윤리규정 강화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오바마 대통령이 최초로 친필서명한 법률은 레드베터 공정임금법(임금차별 금지법, 현지시각 2009 1 29)으로, 성별, 인종, 종교, 나이, 장애 등을 이유로 임금 차별을 당한 노동자들이 시한 없이 언제든 사용자(경영진)에게 시정을 요구하는 소송을 낼 수 있게 된 법률이다.

 

2차 오바마 행정부 (2013~2017)

2013 1 20(현지시각), 연방 의회의사당 앞에서 4년 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임기를 개시하였다.

 

2016년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됨에 따라 2009년 조지 W. 부시 행정부 이후인 2017년에 8년만에 다시 공화당에게 정권을 이양하였다.

 

전세계에서 유일한 반인륜적인 핵무기 사용 국가이면서 많은 핵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이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버락 오바마가 대통령으로 있던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대북정책으로 '전략적 인내'를 채택하면서 대한민국을 미국무기 최대 수출국이 되게 하여 북한의 핵 능력을 고도화하는데 기여하였다. 

오바마 행정부의 각료들이 물러나면서 후임자인 도널드 트럼프에게 "최우선 순위는 북핵"이라고 말한 것이나 도널드 트럼프로부터 "한 것이 아무 것도 없다"는 비판을 받는 부분이다.

 

정부 구성원 명단

관직명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대통령 버락 오바마 2009 ~ 2017

부통령 조 바이든 2009 ~ 2017

국무부 장관 힐러리 클린턴 2009 ~ 2013 오바마에 이어 대선 출마

존 케리 2013 ~ 2017

재무부 장관 티머시 가이트너 2009 ~ 2013

잭 루 2013 ~ 2017

국방부 장관 로버트 게이츠 2009 ~ 2011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유임

리언 패네타 2011 ~ 2013

척 헤이글 2013 ~ 2015

애슈턴 카터 2015 ~ 2017

법무부 장관 에릭 홀더 2009 ~ 2015

로레타 린치 2015 ~ 2017

내무부 장관 켄 살라사르 2009 ~ 2013

80Sally Jewell official portrait.jpg 샐리 주얼 2013 ~ 2017

농무부 장관 톰 빌색 2009 ~ 2017

상무부 장관 게리 로크 2009 ~ 2011

존 브라이슨 2011 ~ 2012

페니 프리츠커 2013 ~ 2017

노동부 장관 힐다 솔리스 2009 ~ 2013

토머스 페레스 2013 ~ 2017

보건복지부 장관 캐슬린 시벨리어스 2009 ~ 2014

실비아 매슈스 버웰 2014 ~ 2017

주택도시개발부 장관 숀 도너번 2009 ~ 2014

훌리안 카스트로 2014 ~ 2017

교통부 장관 레이 러후드 2009 ~ 2013

앤서니 폭스 2013 ~ 2017

에너지부 장관 스티븐 추 2009 ~ 2013

어니스트 모니즈 2013 ~ 2017

교육부 장관 안 덩컨 2009 ~ 2017

보훈부 장관 에릭 신세키 2009 ~ 2014

로버트 맥도널드 2014 ~ 2017

국토안보부 장관 재닛 나폴리타노 2009 ~ 2013

제이 존슨 2013 ~ 2017

대통령 비서실장 람 이매뉴얼 2009 ~ 2010

윌리엄 딜레이 2011 ~ 2012

잭 류 2012 ~ 2013

데니스 맥도너 2013 ~ 2017

환경보호국장 리사 잭슨 2009 ~ 2013

지나 매카시 2013 ~ 2017

행정관리예산국장 피터 오재그 2009 ~ 2010

잭 류 2010 ~ 2012

실비아 매슈수 버웰 2013 ~ 2014

숀 도너번 2014 ~ 2017

무역대표부 대표 론 커크 2009 ~ 2013

마이클 프로먼 2013 ~ 2017

유엔 주재 대사 수전 라이스 2009 ~ 2013

서맨사 파워 2013 ~ 2017

 

 

조 바이든 행정부

2021120~2025120

대통령 조 바이든

부통령 카멀라 해리스

여당 미국 민주당

선거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2020)

전임: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후임: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조 바이든의 제46대 미국 대통령 임기는 2021120일 취임과 동시에 시작되었다.

이전에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부통령을 지낸 델라웨어 출신 민주당원 바이든은 2020년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를 이기고 집권했다.

그는 최초의 여성,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최초의 아시아계 미국인 부통령인 카멀라 해리스와 함께 취임했다.

바이든은 코로나19 범유행, 경제 위기, 정치 양극화 심화 속에서 미국 대통령직을 수행하게 되었다.

 

바이든은 대통령 임기 첫 날 미국의 파리 협정 탈퇴를 철회하고 키스톤 XL 송유관 허가를 취소함으로써 트럼프 대통령의 에너지 정책을 되돌리려 했다.

바이든은 또한 멕시코 국경 장벽을 확장한 트럼프 국경 장벽에 들어가는 자금 공급을 중단했다.

둘째 날 바이든은 1950년 국방물자생산법 발동을 포함해 코로나19의 여파를 줄이려는 일련의 행정명령을 내렸고,

임기 첫 100일에 미국에서 코로나19 예방접종 1억회를 달성하겠다는 초기 목표를 세웠다.

미국 내에선 바이든을 탄핵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이 움직임은 의회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바이든은 대통령 임기 초반에 이라크에 있는 미국 목표물에 로켓 공격을 가하려는 목적으로 이란 민병대가 점유하고 있는 시리아 건물을 향한 보복 공습을 명령하였다.

2021311, 바이든은 19천억 달러 규모의 경기 부양 법안인 2021년 미국구조계획법(American Rescue Plan Act of 2021)법안에 서명했다.

바이든은 또한 인프라, 제조, 연구 개발, 기후 변화 완화, 사회 안전망 확장을 목적으로 한 자금 증가를 포함하는 더 나은 건설 계획이라는 투자를 제안하였다.

 

2020년 선거

 

2020년 대선 결과

202051.3% 득표율을 통해서 당선되었다.

 

전환기 및 취임

2021120일부터 임기를 시작하였다.

 

행정부

내각의 주요 인사

관직명 사진 이름 재임 기간 비고

행정부

대통령 조 바이든 2021~2025 미국의 46대 부통령

부통령 카멀라 해리스 2021~2025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상원의원

국무부 장관 앤터니 블링컨 2021~2025

재무부 장관 재닛 옐런 2021~2025

국방부 장관 로이드 오스틴 2021~2025

법무부 장관 메릭 갈랜드 2021~2025

내무부 장관 데브 할런드 2021~2025

농무부 장관 톰 빌색 2021~2025

상무부 장관 지나 러몬도 2021~2025

노동부 장관 줄리 수 2021~2025

보건복지부 장관 하비에르 베세라 2021~2025

주택도시개발부 장관 아드리엔느 토드먼 2021~2025

교통부 장관 피트 부티지지 2021~2025

에너지부 장관 제니퍼 그랜홈 2021~2025

교육부 장관 미겔 카르도나 2021~2025

보훈부 장관 데니스 맥더너프 2021~2025

국토안보부 장관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2021~2025

대통령실

대통령 비서실장 론 클레인 2021~2023

제프 자이언츠 2023~2025

환경보호국장 마이클 리건 2021~2025

행정관리예산국장 샬란다 영 2021~2025

무역대표부 대표 캐서린 타이 2021~2025

유엔 주재 대사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2021~2025

Sources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