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베르토 에코의 제자’ 김운찬 교수의 이탈리아어 원전 완역본
냉엄한 현실에서 리더가 갖춰야 할 처세술과 리더십
하버드대, 옥스퍼드대, MIT, 서울대 필독서!
“우리는 마키아벨리에게 큰 빚을 졌다.” _프랜시스 베이컨
필사본이 떠돌 때부터 논란거리였고, 출간 뒤에는 “악마의 사상”이라 비난받으며 교황청 금서로 지정된 책. 하지만 지금은 하버드대, 옥스퍼드대, MIT, 서울대 등 세계 유수 대학의 필독서이면서 『타임』과 『뉴스위크』가 “세계 100대 도서”로 선정한 책. 역사상 『군주론』처럼 극단적으로 엇갈린 평가를 받는 문제작도 드물다.
마키아벨리는 이 책에서 군주가 권력을 얻고 유지하려면 때로는 권모술수를 써야 하며, 사악한 행위도 서슴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결과가 수단을 정당화한다”라고 정리되며 “마키아벨리즘”(Machiavellism)이라는 용어를 낳은 이 사상은, 종교와 윤리를 중시하던 유럽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논란이 이어지자 교황청은 『군주론』을 금서로 지정했지만, 많은 지도자가 앞에서는 비난하면서도 뒤로는 몰래 이 책을 탐독했다.
하지만 『군주론』은 단지 잔혹한 통치를 옹호하려고 쓴 책이 아니었다. 당시 이탈리아는 크고 작은 나라들로 분열되어 서로 싸웠고, 강대국의 침략에 번번이 시달렸다. 이 책에는 강력한 군주가 등장해 이탈리아를 통일하고 외세의 지배에서 해방하기를 바라는 마키아벨리의 열망이 담겨 있다. 무엇보다 금기를 깨고 ‘현실정치’의 개념을 제시함으로써 근대 정치학의 토대를 다진 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을 읽다 보면 당시 유럽의 정세와 사회상을 세밀히 파악할 수 있고, 군주(리더)가 갖추어야 할 살아 있는 지혜를 얻게 된다. “실전에서 살아남은 날것의 지식” 그대로를 전하기에, 지난 500년간 통치자뿐만 아니라 누군가를 이끄는 위치에 선 리더에게는 “나만 알고 싶은 책”으로 읽혔다.
역사와 언어 지식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군주론』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다. 움베르토 에코의 제자이자 단테의 『신곡』을 완역한 김운찬 교수가 이탈리아어 원문을 충실하게 옮기고 방대한 역주와 깊이 있는 해제를 덧붙였다. 이 책을 통해 권력의 속성뿐 아니라 역사와 인간의 심리, 처세술, 리더십 등에 대한 혜안과 통찰력을 갖게 될 것이다.
목차
『군주론』을 읽기 전에
헌사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위대하신 로렌초 데 메디치께 인사를 드립니다
01장 군주국의 종류는 얼마나 많으며 어떤 식으로 획득하는가
02장 세습 군주국에 대하여
03장 혼합 군주국에 대하여
04장 알렉산드로스가 정복한 다리우스의 왕국은 왜 그가 죽은 뒤 후계자들에게 맞서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는가
05장 점령되기 전 자신의 법률에 따라 살았던 도시나 군주국은 어떻게 통치해야 하는가
06장 자신의 무력과 역량으로 획득하는 새 군주국에 대하여
07장 다른 사람의 무력과 행운으로 획득하는 새 군주국에 대하여
08장 사악함으로 군주가 되는 사람들에 대하여
09장 시민 군주국에 대하여
10장 모든 군주국의 힘은 어떻게 측정해야 하는가
11장 교회 군주국에 대하여
12장 군대의 종류는 얼마나 많은지 그리고 용병에 대하여
13장 지원 군대, 혼합 군대, 자국 군대에 대하여
14장 군대와 관련하여 군주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15장 사람들, 특히 군주가 칭찬받거나 비난받게 만드는 것들에 대하여
16장 너그러움과 인색함에 대하여
17장 잔인함과 자비로움에 대하여 그리고 사랑받는 것은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것보다 나은가, 아니면 그 반대인가
18장 군주는 어떻게 신의를 지켜야 하는가
19장 경멸과 증오를 피하는 것에 대하여
20장 요새를 구축하는 일과 군주가 매일 하는 많은 일은 유익한가 아니면 무익한가
21장 군주가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22장 군주가 곁에 데리고 있는 관리들에 대하여
23장 아첨꾼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24장 왜 이탈리아 군주들은 나라를 잃었는가
25장 행운은 인간사에서 얼마나 강하고, 인간은 행운에 어떻게 저항할 수 있는가
26장 이탈리아를 장악하여 야만인들로부터 해방하라는 권고
'51.서양철학의 이해 (독서>책소개) > 1.서양철학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대지식 세계고전 (0) | 2021.11.04 |
---|---|
다시 헤겔을 읽다 : 사물의 본질을 통찰하는법 (0) | 2021.11.04 |
인간불평등의 기원론 (0) | 2021.11.02 |
자유론 (0) | 2021.11.02 |
사회계약론 : 장자크 루소 (0) | 2021.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