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꼭 해야 할 말이 생겼습니다
은유라는 이름을 널리 알린 『글쓰기의 최전선』을 내고 저자는 한 인터뷰 말미에서 이렇게 이야기했다. “굳이 내가 안 써도 좋은 책이 많이 나온다고 생각하면 안 쓸 것 같고, 내가 꼭 해야 할 말이 생기면 쓰지 않을까.”
저자가 글을 써 온 이력은 남다르다. 글쓰기의 정규 코스를 하나도 밟지 않았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증권회사에서 일하다 노동조합 상근 활동가가 되었고, 결혼 뒤에는 일을 그만두고 두 아이를 낳았다. 여자, 엄마, 아내로서 ‘삶이 굳고 말이 엉킬 때마다’ 끊임없이 썼다.
서른다섯 살에 사외보에 글을 쓰며 자유 기고가로 ‘데뷔’를 했고 한 잡지에서 인터뷰로 연재를 하기도 했다. 한 사회적 기업에서 잠시 일을 했지만 쓰는 일을 지속하기가 어려움을 깨닫고 그만두었다. 저자에게 쓰기란 아마도 삶과 동의어가 아니었을까.
그래서 ‘쓸’ 수 없으면 ‘살’ 수도 없었던 것이 아닌지. 이렇게 쓰기를 목숨처럼 여긴 저자가 그간 자신이 쓸 때 등을 밀어 주었던 작가들이 쓰기에 관해 한 길고 짧은 말들을 뽑아, 이 쓰기의 말들로 자신과 쓰기의 삶을 돌아 본다. 이 말들은 글 쓰는 사람 은유를 만든 쓰기의 말들이고, 쓰는 사람으로서 자신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저자가 ‘꼭 해야 할’ 말이 되지 않았을까.
은유라는 이름을 널리 알린 『글쓰기의 최전선』을 내고 저자는 한 인터뷰 말미에서 이렇게 이야기했다. “굳이 내가 안 써도 좋은 책이 많이 나온다고 생각하면 안 쓸 것 같고, 내가 꼭 해야 할 말이 생기면 쓰지 않을까.”
저자가 글을 써 온 이력은 남다르다. 글쓰기의 정규 코스를 하나도 밟지 않았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증권회사에서 일하다 노동조합 상근 활동가가 되었고, 결혼 뒤에는 일을 그만두고 두 아이를 낳았다. 여자, 엄마, 아내로서 ‘삶이 굳고 말이 엉킬 때마다’ 끊임없이 썼다.
서른다섯 살에 사외보에 글을 쓰며 자유 기고가로 ‘데뷔’를 했고 한 잡지에서 인터뷰로 연재를 하기도 했다. 한 사회적 기업에서 잠시 일을 했지만 쓰는 일을 지속하기가 어려움을 깨닫고 그만두었다. 저자에게 쓰기란 아마도 삶과 동의어가 아니었을까.
그래서 ‘쓸’ 수 없으면 ‘살’ 수도 없었던 것이 아닌지. 이렇게 쓰기를 목숨처럼 여긴 저자가 그간 자신이 쓸 때 등을 밀어 주었던 작가들이 쓰기에 관해 한 길고 짧은 말들을 뽑아, 이 쓰기의 말들로 자신과 쓰기의 삶을 돌아 본다. 이 말들은 글 쓰는 사람 은유를 만든 쓰기의 말들이고, 쓰는 사람으로서 자신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저자가 ‘꼭 해야 할’ 말이 되지 않았을까.
글을 쓴다는 건, 살아있다는 것
대학 시절 샤르트르의 「말」을 읽었다. `책읽기`와 `글쓰기`를 빼놓고 어린 시절 이야기를 할 수 없다는 그가 말한다. 자신이 살아있다는 가장 큰 증거가 쓰는 것이라고. 글을 쓸 때 자신의 살아있음을 가장 확실하게 느꼈다고 한다. 샤르트르의 고백에 힘입어 한동안 살아있음을 드러내기로 마음먹고 부지런히 글을 썼다. 누가 쓰라고 시키지도 않았는데 글을 썼던 시절, 비로소 `쓰는 사람`이 된 것이다. 졸업 즈음 대학 생활 4년 동안 난 도대체 뭘 했을까 자문했을 때, 그 덕분에 만족스런 대답을 할 수 있었다. 여전히 부족하긴 하지만 4년 동안 말하고 듣고, 읽고 쓰는 걸 배웠다고, 그 정도면 충분히 대학 생활을 잘 했다고, 스스로를 토닥토닥 위로하던 때가 생각난다.
“우리는 스스로를 찬찬히 들여다볼 수만 있다면 세계를 읽어 낼 수 있습니다.” - 마루야마 겐지
『글쓰기의 최전선』을 통해 `삶을 옹호하는 글쓰기`를 말했던 은유는 스스로를 `문장수집가`라고 부른다. 새로운 책 『쓰기의 말들』에는 문장수집가인 그가 한 땀 한 땀 고른 문장이 담겨 있다. 글을 안 쓰는 사람이 쓰는 사람이 되는 놀라운 기적을 바란다는 바람으로 골랐다는 104개의 문장, 그리고 ‘쓰는 사람’으로 살아가는 그의 짧은 이야기. 어떤 페이지를 펼쳐서 읽더라도 큰 울림을 주는 문장과 쓰면서 살아가는 삶을 마주할 수 있는 책이다. 세계의 무자비한 힘에 끌려가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가 바로 자신의 삶을 찬찬히 돌아보고 글로 적어두는 것이라는 저자의 담담한 고백으로 가득하다.
“나는 씁니다. 따라서 나는 스스로 안심합니다.” - 롤랑 바르트
대학을 졸업한 지도 11년이 지났다. 먹고 살기 힘들다는 말이 지겨울 정도로 살림살이는 좀처럼 나아지지 않은 채 그저 버티며 살아가는 지금, 『쓰기의 말들』 덕분에 다시금 쓰는 삶에 대해 생각해본다. “창작이 곧 삶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때로는 창작이 삶을 되찾는 방법”이라고 했던가.(스티븐 킹) 글을 쓰지 않고도 잘 살아가고 있다고 착각했던 지난 날을 뒤로 하고 다시 ‘쓰는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다짐한다. “기록한다는 것은 조수간만처럼 끊임없이 침식해 들어오는 인생의 무의미에 맞서는 일”이라고 했다.(김영하) 당연한 것들에 질문을 던지고, 잊지 말아야 할 것을 기억하기 위해 삶을 쓰기로 결심한다.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글이 아니라 삶을 구석구석 돌아보고 마음 속 부끄러운 자신을 마주하고 드러내는 내밀한 글 말이다.
‘쓰는 사람’으로 살아가겠다는 것은 더 이상 삶을 허투루 살지 않겠다는 의지의 발현이다. 『쓰기의 말들』은 내 마음 속 꺼져 있던 촛불에 다시 불을 지핀다. 좀비처럼 살아가는 삶에 제대로 살아가고픈 욕망의 불을 지폈달까. 글쓰기는 어떠한 속임수도 허용하지 않는다는 소로의 말을 기억하며, 오늘도 정직하게 펜을 들어본다. 그 시작은 역시 비록 매달 채널예스 리뷰를 쓰는 것. “미루겠다는 것은 쓰지 않겠다는 것”이라 했다.(테드 쿠저) 다음 달에는 꼭 원고 마감 시한을 지켜서 쓰리라!
출판사 리뷰
꼭 해야 할 말이 생겼습니다
은유라는 이름을 널리 알린 『글쓰기의 최전선』을 내고 저자는 한 인터뷰 말미에서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굳이 내가 안 써도 좋은 책이 많이 나온다고 생각하면 안 쓸 것 같고, 내가 꼭 해야 할 말이 생기면 쓰지 않을까.”
저자가 글을 써 온 이력은 남다릅니다. 글쓰기의 정규 코스를 하나도 밟지 않았다고 해야 할까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증권회사에서 일하다 노동조합 상근 활동가가 되었고, 결혼 뒤에는 일을 그만두고 두 아이를 낳았습니다. 여자, 엄마, 아내로서 ‘삶이 굳고 말이 엉킬 때마다’ 썼습니다. 쓰기를 멈추지 않았지요. 서른다섯 살에 사외보에 글을 쓰며 자유 기고가로 ‘데뷔’를 했고 한 잡지에서 인터뷰로 연재를 하기도 했습니다. 한 사회적 기업에서 잠시 일을 했지만 쓰는 일을 지속하기가 어려움을 깨닫고 그만두었습니다. 저자에게 쓰기란 아마도 삶과 동의어가 아니었을까요. 그래서 ‘쓸’ 수 없으면 ‘살’ 수도 없었던 것이 아닌지. 이렇게 쓰기를 목숨처럼 여긴 저자가 그간 자신이 쓸 때 등을 밀어 주었던 작가들이 쓰기에 관해 한 길고 짧은 말들을 뽑아, 이 쓰기의 말들로 자신과 쓰기의 삶을 돌아봅니다. 이 말들은 글 쓰는 사람 은유를 만든 쓰기의 말들이고, 쓰는 사람으로서 자신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저자가 ‘꼭 해야 할’ 말이 아니었을까 짐작해 봅니다.
쓰는 사람이라는 기적
“나는 글쓰기를 독학으로 배웠다. 처음부터 쓴다는 목적을 가진 건 아니었다. 시작은 읽기였다. 그러니까 독학이 아니라 독서였다.” ‘생활 문장가’ 은유의 출발은 읽기였습니다. 책을 읽으며 마음에 닿는 문장을 차곡차곡 수집하는 독자. 그렇게 문장을 하나둘 쌓던 독자는 어느 순간 저자가 됐지요. “읽기에서 쓰기로 전환은 우연히 일어났다. 자유 기고가로 ‘글밥’을 먹게 됐다. 문예창작과나 국문과, 신문방송학과 졸업생이 아니고 책 읽는 생활인인 나는 살짝 긴장했다. 별도의 창작 훈련 과정을 거치지 않았고 작법을 몰랐다. 글쓰기가 어렵지는 않았지만 그냥 쓰지 않고 잘 쓰고 싶었다.”
‘교환 가치 없는 글은 버려’지는 냉혹한 세계에서 저자는 자신과 쓰기를 단련했습니다.
“내 글을 누군가 한 사람은 반드시 본다는 마음으로 공을 들였고, 그 글을 거짓말처럼 알아보는 사람이 있었고, 그들의 신망을 얻어 글 쓰며 생활하는 기반을 닦을 수 있었다.”
저자에게 글을 쓰게 하는 힘은 함께 살아가는 이 시대가 처한 상황과 그 상황을 헤쳐 가는 우리의 처지일 겁니다. 이와 더불어 저자는 쓰기에 대한 자신의 애정을 아낌없이 드러냅니다. “사회의 불의와 참상이 극에 달할 때 인간은 글을 쓰며 존엄을 지켰고 최고의 작품을 낳았다. 평범한 내 인생도 그랬다. 내 삶은 글에 빚졌다. 예고 없는 고통의 시간대를 글을 붙들고 통과했다. 크게 욕망한 것 없고 가진 것 없어도 글쓰기 덕에 내가 나로 사는 데 부족이 없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제 자신을 위해, 이 사회에서 함께 살아가기 위해 쓰자고 독자에게 권합니다.
“인간을 부품화한 사회 현실에서 납작하게 눌린 개인은 글쓰기를 통한 존재의 펼침을 욕망한다. 그러나 쓰는 일은 간단치 않다. 글을 써야지 써야지 하면서 안 쓰고 안 쓰고 안 쓰다 ‘글을 안 쓰는 사람’이 되어 수업에 왔다는 어느 학인의 자기소개가 귓전을 울린다. 이 책이 그들의 존재 변신을 도울 수 있을까. 글을 안 쓰는 사람이 글을 쓰는 사람이 되는 기적. 자기 고통에 품위를 부여하는 글쓰기 독학자의 탄생을 기다린다.”
은유라는 이름을 널리 알린 『글쓰기의 최전선』을 내고 저자는 한 인터뷰 말미에서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굳이 내가 안 써도 좋은 책이 많이 나온다고 생각하면 안 쓸 것 같고, 내가 꼭 해야 할 말이 생기면 쓰지 않을까.”
저자가 글을 써 온 이력은 남다릅니다. 글쓰기의 정규 코스를 하나도 밟지 않았다고 해야 할까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증권회사에서 일하다 노동조합 상근 활동가가 되었고, 결혼 뒤에는 일을 그만두고 두 아이를 낳았습니다. 여자, 엄마, 아내로서 ‘삶이 굳고 말이 엉킬 때마다’ 썼습니다. 쓰기를 멈추지 않았지요. 서른다섯 살에 사외보에 글을 쓰며 자유 기고가로 ‘데뷔’를 했고 한 잡지에서 인터뷰로 연재를 하기도 했습니다. 한 사회적 기업에서 잠시 일을 했지만 쓰는 일을 지속하기가 어려움을 깨닫고 그만두었습니다. 저자에게 쓰기란 아마도 삶과 동의어가 아니었을까요. 그래서 ‘쓸’ 수 없으면 ‘살’ 수도 없었던 것이 아닌지. 이렇게 쓰기를 목숨처럼 여긴 저자가 그간 자신이 쓸 때 등을 밀어 주었던 작가들이 쓰기에 관해 한 길고 짧은 말들을 뽑아, 이 쓰기의 말들로 자신과 쓰기의 삶을 돌아봅니다. 이 말들은 글 쓰는 사람 은유를 만든 쓰기의 말들이고, 쓰는 사람으로서 자신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저자가 ‘꼭 해야 할’ 말이 아니었을까 짐작해 봅니다.
쓰는 사람이라는 기적
“나는 글쓰기를 독학으로 배웠다. 처음부터 쓴다는 목적을 가진 건 아니었다. 시작은 읽기였다. 그러니까 독학이 아니라 독서였다.” ‘생활 문장가’ 은유의 출발은 읽기였습니다. 책을 읽으며 마음에 닿는 문장을 차곡차곡 수집하는 독자. 그렇게 문장을 하나둘 쌓던 독자는 어느 순간 저자가 됐지요. “읽기에서 쓰기로 전환은 우연히 일어났다. 자유 기고가로 ‘글밥’을 먹게 됐다. 문예창작과나 국문과, 신문방송학과 졸업생이 아니고 책 읽는 생활인인 나는 살짝 긴장했다. 별도의 창작 훈련 과정을 거치지 않았고 작법을 몰랐다. 글쓰기가 어렵지는 않았지만 그냥 쓰지 않고 잘 쓰고 싶었다.”
‘교환 가치 없는 글은 버려’지는 냉혹한 세계에서 저자는 자신과 쓰기를 단련했습니다.
“내 글을 누군가 한 사람은 반드시 본다는 마음으로 공을 들였고, 그 글을 거짓말처럼 알아보는 사람이 있었고, 그들의 신망을 얻어 글 쓰며 생활하는 기반을 닦을 수 있었다.”
저자에게 글을 쓰게 하는 힘은 함께 살아가는 이 시대가 처한 상황과 그 상황을 헤쳐 가는 우리의 처지일 겁니다. 이와 더불어 저자는 쓰기에 대한 자신의 애정을 아낌없이 드러냅니다. “사회의 불의와 참상이 극에 달할 때 인간은 글을 쓰며 존엄을 지켰고 최고의 작품을 낳았다. 평범한 내 인생도 그랬다. 내 삶은 글에 빚졌다. 예고 없는 고통의 시간대를 글을 붙들고 통과했다. 크게 욕망한 것 없고 가진 것 없어도 글쓰기 덕에 내가 나로 사는 데 부족이 없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제 자신을 위해, 이 사회에서 함께 살아가기 위해 쓰자고 독자에게 권합니다.
“인간을 부품화한 사회 현실에서 납작하게 눌린 개인은 글쓰기를 통한 존재의 펼침을 욕망한다. 그러나 쓰는 일은 간단치 않다. 글을 써야지 써야지 하면서 안 쓰고 안 쓰고 안 쓰다 ‘글을 안 쓰는 사람’이 되어 수업에 왔다는 어느 학인의 자기소개가 귓전을 울린다. 이 책이 그들의 존재 변신을 도울 수 있을까. 글을 안 쓰는 사람이 글을 쓰는 사람이 되는 기적. 자기 고통에 품위를 부여하는 글쓰기 독학자의 탄생을 기다린다.”
'54.인문교양 (독서>책소개) > 3.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디서 부터 고쳐야 할까? (0) | 2021.12.25 |
---|---|
에세이를 써보고 싶으세요 (0) | 2021.12.25 |
리뷰 쓰는 법 (0) | 2021.12.25 |
어휘 늘리는 법 (0) | 2021.12.25 |
하루10분 글쓰기의 힘 (0) | 2021.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