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한일관계사 연구 (전공분야>책소개)/3.재일조선인

재일조선인의 민족교육운동

동방박사님 2022. 4. 8. 07:36
728x90

책소개

재일조선인의 민족교육과 민족교육운동이 무엇이며, 일본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되었는가, 그리고 민족교육을 지키기 위한 투쟁은 어떠하였는가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특히 재일조선인의 민족교육운동을 현재적 과제라는 점에서 출발하여 주목하였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방법
2. 연구사
3. 글의 구성

Ⅱ. 1945년 이전 재일조선인의 역사와 해방
1. 재일조선인의 형성과 운동사
2. 1945년 이전 동화교육과 재일조선인의 민족교육

Ⅲ. 재일조선인 민족교육 운동의 출발(1945~1948)
1. 일본의 패전과 재일조선인
2. 조련의 조직과 민족교육 운동
3. 민단의 조직과 민족교육 운동

Ⅳ. 연합국총사령부(GHQ)와 일본정부의 민족교육 탄압
1. 연합국총사령부(GHQ)의 민족교육 탄압
2. 일본정부의 민족교육 탄압

Ⅴ. 4·24 한신교육투쟁과 민족교육(1948년)
1. 민족교육에 관한 통고문과 민족학교 탄압
2. 민족교육 탄압과 저항(4·24 한신교육투쟁)

Ⅵ. 재일조선인 민족교육 투쟁의 변화(1949~1955)
1. 조선인학교 폐쇄와 재일조선인의 투쟁
2. 민전과 민단의 민족교육 운동

Ⅶ. 결론

|부록1| 재일코리안 민족교육 실태와 전망
1. 서론
2. 민족학교에 대한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
3. 연구조사 대상 및 연구방법
4. 민족교육의 실태와 전망에 대한 평균의 차이 및 요인분석
5. 민족학교의 교육내용과 목표에 관한 사례분석
6. 결론 및 시사점

|부록2| 재일조선인 민족교육 연표(1945~1955)
 

저자 소개

저자 : 정희선
강원대(박사)에서 사학을 전공하고, 현재 청암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일본 동경대학 사료편찬소 초청으로 연구교수를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거문도의 일본마을』(번역서), 『1948년 한신교육투쟁』(번역서), 『전라도 압구정동』(수필집), 『난중일기』(번역서), 『삽 한자루의 신화』(평전), 『재일코리안사전』(공역),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의 형성』(공저), 『재일코리안의 생활 문화와 변용』(공저)...
 

출판사 리뷰

‘재일조선인’은 경제적 그리고 정치적인 목적을 가지고 일본으로 건너가서 정착한 조선인과 그 후손을 일반적으로 말한다. 이들 재일조선인은 식민지 아래의 피지배와 민족분단이라는 고난의 민족사가 낳은 산물인 이산민이다.
일제강점기 일본의 식민지교육은 조선인을 일본인으로 변화시키는 동화교육이었다. 해방 후에도 재일코리안을 대상으로 하는 일본 정부의 교육정책은 민족교육의 권리를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일본학교에 취학시키고 해방 이전과 같이 동화교육 정책을 추진했다. 이것은 식민지 교육의 연장선에 지나지 않는 것이었다.
1945년 해방 이후 국내외 상황과 여러 가지 이유로 일본에 남게 된 재일조선인은 차별과 억압 그리고 편견과 멸시를 당하였다. 그리고 그들과의 동화를 강요하는 일본사회 속에서 고립·분산되지 않을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자아(自我)나 민족정체성의 확립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재일조선인은 기본적으로 ‘정주(定住)’의 현실을 인식하면서도 일제강점기의 체험으로 형성된 민족의식을 토대로, 민족교육만이 자녀들의 장래가 보장된다고 굳게 믿었다. 미점령군과 일본정부의 방해와 학대에도 굴하지 않고 민족교육 운동에 최선을 다하였다. 그들은 조선인으로서 정체성을 지니며 살아가기를 바라고 있었던 것이다.
재일조선인이 일본사회에서 한민족으로서의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하려고 하는, 했던 이유는 일본의 차별과 동화를 극복하여 인간으로서 기본적 생존권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재일조선인의 민족교육과 민족교육운동이 무엇이며, 일본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되었는가, 그리고 민족교육을 지키기 위한 투쟁은 어떠하였는가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특히 재일조선인의 민족교육운동을 현재적 과제라는 점에서 출발하여 주목하였다. (머리말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