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한국역사의 이해 (독서>책소개)/4.한국학연구

정선 목민심서 (다산 정약용)

동방박사님 2022. 6. 19. 07:19
728x90

책소개

우리 역사에 빛나는 불후의 고전
핵심 내용을 정선한 한권의 『목민심서』

다산 정약용의 대표작 『목민심서』를 엄정하게 가려 뽑아 한권에 담은 『정선 목민심서』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역주 목민심서』 전면개정판(2018)에 맞추어 번역을 새롭게 정비하고 해설과 도판을 덧붙여 일반인은 물론 청소년과 대학생들도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 재탄생했다. 조선시대 대표적인 고전으로 꼽히지만 방대한 분량과 어려운 내용으로 본편에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던 독자들에게, 현대적 문체와 새로운 번역으로 만나는 이번 『정선 목민심서』는 곁에 두고 오래 그 의미를 새길 수 있는 생활고전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특히 한국 실학·다산학을 정립한 최고의 다산 연구집단인 다산연구회가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 정수만을 담아내 가치를 더했다.

『목민심서』는 강진의 유배지에서 집필한 다산의 대표적인 저작으로, 지방 수령이 백성을 다스리기 위해 꼭 알아야 할 원칙 및 지침과 세부 사항을 담은 책이다. 이렇듯 다분히 실무적이고 기능적인 내용을 담은 『목민심서』가 오랜 시간 독자들에게 깊은 감명을 주는 까닭은 자기 시대의 현실에 대한 다산 자신의 뼈저린 고뇌에서 우러나왔기 때문이다. 다산은 이 책에서 대단히 풍부한 사실과 논리를 바탕으로 당시의 실상과 관행에 속속들이 파고들어 병폐의 원인을 찾고 치유책을 고안하는 실학자의 면모를 여실히 보여준다. 백성을 중심에 두고 정치제도의 개혁과 지방행정의 개선을 도모한 다산의 혜안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빛난다.

『정선 목민심서』에는 원서의 내용 중에서 시대를 바라보는 다산의 고심과 탁견이 담긴 대목을 가려 뽑았다. 또한 일반 독자들에게 어렵게 느껴지는 주석은 원뜻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가독성과 이해도를 돕기 위해 빼거나 글 속에 풀어 넣었고, 이해에 도움이 되도록 당시 민중의 생활상을 잘 보여주는 삽화와 조선시대 지방행정과 관련한 부록을 수록하였다. 『역주 목민심서』 개정 작업을 통해 다산연구회가 여러 차례 번역을 다듬고 선별하는 작업을 거쳐 명실공히 친절함과 공신력을 두루 갖춘 『목민심서』가 탄생했다.

 

목차

개정판을 내며

『정선 목민심서』를 내며
『역주 목민심서』 전면개정판을 내며

자서(自序)

제1부 부임(赴任) 6조
1. 임명을 받음
2. 부임하는 행장 꾸리기
3. 조정에 하직하기
4. 부임 행차
5. 취임
6. 업무를 시작함

제2부 율기(律己) 6조
1. 바른 몸가짐
2. 청렴한 마음
3. 집안을 다스림
4. 청탁을 물리침
5. 씀씀이를 절약함
6. 베풀기를 좋아함

제3부 봉공(奉公) 6조
1. 교화를 펼침
2. 법도를 지킴
3. 예의 있는 교제
4. 보고서
5. 공물 바치기
6. 차출되는 일

제4부 애민(愛民) 6조
1. 노인을 봉양함
2. 어린이를 보살핌
3. 가난한 자를 구제함
4. 상을 당한 자를 도움
5. 병자를 돌봄
6. 재난을 구함

제5부 이전(吏典) 6조
1. 아전 단속
2. 관속들을 통솔함
3. 사람 쓰기
4. 인재 추천
5. 물정을 살핌
6. 고과제도

제6부 호전(戶典) 6조
1. 전정
2. 세법
3. 환곡 장부
4. 호적
5. 부역을 공평하게 함
6. 농사 권장

제7부 예전(禮典) 6조
1. 제사
2. 손님 접대
3. 백성을 가르침
4. 교육을 진흥함
5. 신분 구별
6. 과거공부를 힘쓰도록 함

제8부 병전(兵典) 6조
1. 병역 의무자 선정
2. 군사훈련
3. 병기 수선
4. 무예 권장
5. 변란에 대응하는 법
6. 외침을 막아내기

제9부 형전(刑典) 6조
1. 송사를 심리하기
2. 형사 사건의 판결
3. 형벌을 신중하게 씀
4. 죄수를 불쌍히 여김
5. 백성들 사이의 폭력을 금함
6. 도적에 의한 피해를 제거함

제10부 공전(工典) 6조
1. 산림
2. 수리사업
3. 관아 건물 수리
4. 성의 수축과 보수
5. 도로
6. 기물 제작

제11부 진황(賑荒) 6조
1. 구휼 물자 준비
2. 기부를 권함
3. 세부계획
4. 시행방법
5. 민생을 보충하는 방책
6. 마무리

제12부 해관(解官) 6조
1. 수령 교체
2. 돌아가는 행장
3. 수령의 유임을 청원함
4. 수령을 용서해달라는 청원
5. 수령의 재임 중 사망
6. 훌륭한 수령은 떠난 뒤에도 사모하는 뜻을 남김

해설
민생을 구제하는 목민관의 마음가짐 / 김보름

부록
조선시대의 지방행정조직
조선시대의 형벌제도
 

 

저자 소개

저 : 정약용 (다산茶山)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대학자로, 호는 다산(茶山)이다. 1762년 경기도 광주부(현재의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서 출생하여 28세에 문과에 급제했다. 1789년 대과에 급제한 이후 정조의 총애를 받으며 관료 생활을 했다. 곡산부사, 동부승지, 형조참의 등의 벼슬을 지냈다. 문장과 유교 경학에 뛰어났을 뿐 아니라 천문, 과학, 지리 등에도 밝아 1793년에는 수원성을 설계하는 등 기술적 업적을 남기기도 했다. 정...
1975년 고(故) 벽사 이우성 선생을 필두로 실학에 관심을 가진 학자들이 함께 원전을 읽고 토론해보자는 취지로 모임이 시작되어 『목민심서』 독회와 『역주 목민심서』 출간에 이르렀다. 10년간 치밀하게 조사하고 치열하게 토론하며 역주에 힘을 쏟은 결과, 1978년 『역주 목민심서』(창작과비평사) 제1권을 간행한 이래 1985년 전6권이 완간되었다. 그 기간 전체는 한국 실학사를 정립하는 과정이기도 했으며 다산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