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현재까지의 통일과 북한을 이해하기 위한 담론은 정치, 외교, 군사, 경제 등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른바 하이폴리틱스(high politics)에 집중하였다. 군사 및 정치 문제가 최우선 과제였을 뿐 아니라 다른 분야에 대해서는 아예 접근조차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이폴리틱스만으로 통일이나 북한의 문제를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비(非)전통적 접근이 시도되어 왔다. 특히 문화 콘텐츠를 통한 북한에 대한 관심은 결코 작지 않음이 확인되고 있다. 이 책은 김재한 외 연구진들이 공동 집필하여 2020 세종도서(학술부문)에 선정된 전작 『통일·북한의 공간적 이해: 로컬 공간으로 조망하는 새로운 통일 담론』(카오스북, 2019)에 이어 남북의 문화 콘텐츠 연구를 통해 통일 문제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담아내고자 하는 시도이다. 유·무형의 문화적 소재를 연구한 12명의 학자들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무형의 통일·북한 문제를 설명하고 더불어 전망해보는 작업인 것이다. 이 책이 통일과 북한 담론의 르네상스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목차
서장 통일·북한의 문화적 이해_김재한(한림대학교) 13
제1장 북한의 문화 유산과 남북 교류_정원주(한국교통대학교) 23
제2장 김일성의 초상화와 얼굴의 권력론_박상희(인하대학교) 97
제3장 남북 합작과 북한에서 건축하기_심영규(울산대학교) 135
제4장 선동의 기수,선전의 첨병으로서 영화_전영선(건국대학교) 167
제5장 영화로 통일을 읽다_전병길(재단법인 통일과나눔) 199
제6장 북한 내 한류와 외래문화_강동완(동아대학교) 235
제7장 남북한 문화 협력과 스포츠_정기웅(한국외국어대학교) 257
제8장 북한의 집단 정체성_이현주(고려대학교) 293
제9장 북한의 신앙 변화와 통일 한국_오일환(한양대학교) 335
제10장 통일 문화와 통일 전략의 조화_최진욱(전략문화연구센터) 379
제11장 통일 이후 체제 전환기의 과거 청산_고상두(연세대학교) 415
찾아보기 443
제1장 북한의 문화 유산과 남북 교류_정원주(한국교통대학교) 23
제2장 김일성의 초상화와 얼굴의 권력론_박상희(인하대학교) 97
제3장 남북 합작과 북한에서 건축하기_심영규(울산대학교) 135
제4장 선동의 기수,선전의 첨병으로서 영화_전영선(건국대학교) 167
제5장 영화로 통일을 읽다_전병길(재단법인 통일과나눔) 199
제6장 북한 내 한류와 외래문화_강동완(동아대학교) 235
제7장 남북한 문화 협력과 스포츠_정기웅(한국외국어대학교) 257
제8장 북한의 집단 정체성_이현주(고려대학교) 293
제9장 북한의 신앙 변화와 통일 한국_오일환(한양대학교) 335
제10장 통일 문화와 통일 전략의 조화_최진욱(전략문화연구센터) 379
제11장 통일 이후 체제 전환기의 과거 청산_고상두(연세대학교) 415
찾아보기 443
'25.한반도평화 연구 (박사전공>책소개) > 3.통일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일 길 위에 선 평화 : 한반도 문제의 구조적 이해 (0) | 2022.09.18 |
---|---|
한반도 통합과 동북아 평화의 미래 : 독일 통일 사례를 중심으로 (0) | 2022.09.18 |
우리의 통일, 어떻게 할까요 / 역사는 변하고만다 1.2. (0) | 2022.09.18 |
분단고통과 통일전망의 역사 (0) | 2022.09.18 |
탈북자 (0) | 202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