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대한민국 현대사 (독서>책소개)/2.정부수립이후

구술로 본 한국현대사의 군

동방박사님 2023. 1. 5. 14:54
728x90

책소개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현대한국구술사연구사업단은 “한국현대사와 군”이라는 주제로 2009년부터 2019년까지 10년에 걸쳐 구술 채록과 구술사 연구를 진행했다. 탈식민, 분단과 전쟁, 군사독재와 민주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경제성장 등이 복잡하게 교차한 한국현대사의전개 과정 속에서 군은 한국의 안보뿐만 아니라 정치, 외교, 경제, 사회 등 모든 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한국현대사에 끼친 군의 영향력에 비해 한국 역사학계에서 군의 역할과 활동에 대한 논의는 그리 활발한 편이 아니었고, 이를 규명하기 위한 자료 수집 역시 그리 활발한 편이 아니었다.

특히 군에 몸 담았던 인사들이 격변의 한국현대사 속에서 고비마다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활동경험과 육성을 체계적으로 남기려는 노력이 학계나 군 모두 구술사 분야에서 군인들의 활동 경험을 조직적으로 채록한 것은 국방부가 편찬한 베트남전쟁 증언 자료집 정도였다. 군이라는 집단의 특수한 조직적 성격을 감안해야겠지만 군인들의 증언을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하려는 노력을 우리 사회가 거의 기울이지 않았던 셈이다.

본 사업단이 “한국현대사와 군”이라는 주제의 구술사 수집과 연구에 나선 것은 한국현대사 연구 자체의 심화를 위해서, 또 한국현대사에서 군의 역할을 역사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군과 관련된 인사들의 증언을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 시급하다는 것을 참여자들이 모두 공감하였기 때문이다. 지난 10여 년간 본 사업단은 100명이 넘는 군 관련 인물들의 증언을 수집하여 모두 933시간 분량의 구술 자료(동영상·음성 파일, 녹취록 등)를 생산하였고, 이 작업에 연인원 30명에 가까운 연구자들이 매달렸다. 구술에 참여한 증언자들은 주로 1920~30년대에 태어난 분들이었고, 이제 인생의 말년에 자신들의 생애사와 군 관련 활동 경험을 역사적 자료로 남길 수 있게 되었다. 이들이 남긴 구술은 향후 한국군과 한국현대사 연구를 위한 소중한 자료원(資料源)이 될 것이다.

목차

간행사
머리말

제Ⅰ부 구술자료 소개

제01장 수치와 통계로 본 구술자료 10년

제02장 한국군 창설과 한국전쟁

1. 1단계 구술사업의 목적과 대상자 선정
2. 한국군의 창설과정
3. 한국전쟁
4. 1단계 구술자료의 가치와 향후 연구과제

제03장 한국군과 베트남전쟁

1. 2단계 구술사업의 목적과 대상자 선정
2. 베트남전쟁 구술자료의 현황과 특징: 국방부 수집 증언자료와 비교를 중심으로
3. 2단계 구술자료의 가치와 향후 연구과제

제04장 한국군과 정치·사회변동

1. 3단계 구술사업의 목적과 대상자 선정
2. 대한민국 정치변동과 민주화 과정에서 군의 역할
3. 대한민국의 경제적·사회적 발전과정에서 군의 역할
4. 3단계 구술자료의 가치와 향후 연구과제

제Ⅱ부 창군과 한국전쟁

제01장 일제 식민지기 조선인 학병의 경험과 한국군 참여

1. 강압적인 학병 동원
2. 학병의 일본군 경험
3. 해방 이후 학병동맹과 학병단의 조직
4. 한국군 창설과 학병의 참여
5. 맺음말

제02장 월남인의 해방 전후 경험과 한국군 참여

1. 월남인의 이북 경험과 월남 동기
2. 월남 경로의 유형화
3. 월남인의 한국군 참여와 그 성격
4. 맺음말

제03장 한국전쟁기 한국군의 도미군사유학 경험

1. 한국전쟁기 한국군 도미군사유학의 본격화
2. 도미군사유학 경험
3. 맺음말: 한국군의 도미군사유학의 경향성 및 향후과제

제Ⅲ부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제01장 한국군의 베트남전 ‘작전권’협상과 한미동맹의 현실

1. 한국 정부의 베트남 파병 추진과‘작전권’인식
2. 한국군의 베트남전‘작전권’협상 과정
3. 한국군의‘독자적 작전권’수립과 전장의 현실
4. 맺음말

제02장 한국군 구술을 통해 본 한국기업의 베트남 진출과 활동

1. 한국군 1·2차 파병과 초창기 한국기업의 베트남진출
2. 브라운각서 체결과 한국기업의 베트남진출 환경 조성
3. 퀴논의 삼각공동체와 베트남특수의 종결: 한진의 사례를 중심으로
4. 맺음말

제03장 파월(派越) 한국군의 일상생활- 전투부대 위관장교의 구술을 중심으로 -

1. 베트남 전장(戰場)으로 가는 길
2. 전투부대의 일상생활
3. 일상의 이탈: 휴양과 휴가, 위문공연
4. 맺음말: 전후방 없는 전장에서의 일상생활

제04장 주월한국군의 대민관계- 참전 군인들의 구술 증언을 중심으로 -

1. 파월 훈련 기간 대민관계 관련 교육
2. 민사작전의 조직 체계와 내용
3. 한국군과 베트남 민간 사회의 충돌
4. 맺음말

제Ⅳ부 한국군과 정치·사회 변동

제01장 구술로 본 1973년 ‘윤필용 사건’과 하나회

1. 5·16군사정변과 육사생도 시가행진
2. 1963년‘정규육사출신 반혁명사건’과 하나회 결성
3. 1973년‘윤필용 사건’과 하나회 노출
4. 맺음말

제02장 구술을 통해 본 1970년대 한국군의 자주 국방

1. 모방설계한 자주국방: 국방과학연구소 설립과 번개 사업 추진
2. 자주국방의 딜레마: 미사일 개발과 한미갈등
3. 1970년대 국방과학연구소가 주도한 자주국방이 남긴 것
4. 맺음말

제03장 한국군의 초기 서독 군사유학 경험과 그 영향

1. 한국군의 서독 군사유학의 유형 및 경험
2. 서독 군사유학이 한국군에 미친 영향
3. 맺음말

제04장 1950-1970년대 한국군의 도미 군사유학 시행-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

1. 1950년대 초중반 한국군 증강과 지휘관 양성을 위한 대규모 도미유학
2. 1950년대 후반~1960년대 한국군 병과 확장과 군사유학
3. 맺음말

〈부록 1〉 구술자 명단
〈부록 2〉 연구참여자 명단
 

저자 소개 

저 : 정용욱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주요 논저로 〈웨드마이어 장군 전상서: 네 지식인이 논한 1947년 8월의 시국과 그 타개책〉, 〈냉전의 평화, 분단의 평화〉, 《미군정 자료 연구》,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 《탈냉전과 미국의 신세계질서》(역서), 《강압의 과학》(역서) 등이 있다.

저 : 노영기

 
전남 영광에서 태어나 광주에서 초·중·고·대학을 마치고 서울로 올라와 대학원에서 한국현대사를 공부했다. 조선대, 성균관대, 충남대, 서울대에서 강의했으며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을 지냈다. 조선대학교 기초교육대학에 교수 재직하고 있다. ‘왜 국민의 군대가 국민들에게 총을 쏘았을까?’라는 질문을 안고서 한국현대사 공부를 시작했다.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조사위원회에서 2007년까지 조사관으로 활동하며...

저 : 오제연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보수주의자의 삶과 죽음』(공저) 『6월 민주항쟁: 전개와 의의』(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