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분명, 끝은 새로운 시작이다
지난 18대 대선에서 범야권 단일후보로 나섰던 민주당 문재인 의원의 대선 평가 보고서. 2012년의 대선에 대한 성찰과 복기를 바탕으로, 2017년의 대선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무엇을 준비할 것인지를 정리했다. 책에서 문재인은 대선 이후 개인적으로 힘겨웠던 심경, 자신보다 더 힘들어 했던 국민들에 대한 미안함 그리고 대선 이후 박근혜 정부에 의해 전개되고 있는 정국에 대한 평가와 소회를 때로는 냉정하게 때로는 격정적으로 토로하고 있다. 그는 먼저 현 정권은 민주주의, 국민 통합, 경제민주화, 복지 공약, 역사관 등 거의 모든 면에서 절망적인 퇴행을 보이고 있다고 우려한다.
이 책은 이처럼 정치 비판서이자, 동시에 ‘이기기 위한 대선’을 준비하기 위한 후보 자신의 반성적 ‘대선 평가서’이기도 하다. 자신과 자신과 민주당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통해, 앞으로 주어질 과제와 도전을 준비하는 새로운 시작을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범야권 통합운동과 국회의원 선거를 거쳐 대선에 이르기까지, 그 숨 가쁘고 험난했던 시절을 복기하며, 당시 느꼈던 고뇌와 아쉬움, '단일화의 그늘' 등 후보 자신이 아니면 말하기 어려운 감정들도 솔직하게 밝히고 있다.
이어서 대선 평가를 통해 후보 자신만이 아는 '승부의 호흡'까지 글로 담았다. 그는 지난 대선 패배의 양상을 '평소의 준비 부족, 실력 부족', '사악한 종북' 프레임, 떨쳐내지 못한 '우리 안의 근본주의' 등 다각도로 분석했다. 그리고 앞으로 민주 진영은 앞으로 국가, 애국, 안보, 성장의 담론을 더 적극적으로 끌어안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서 패배가 주는 가르침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혁신으로 희망과 믿음을 만든다면, 끝은 새로운 시작이 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지난 18대 대선에서 범야권 단일후보로 나섰던 민주당 문재인 의원의 대선 평가 보고서. 2012년의 대선에 대한 성찰과 복기를 바탕으로, 2017년의 대선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무엇을 준비할 것인지를 정리했다. 책에서 문재인은 대선 이후 개인적으로 힘겨웠던 심경, 자신보다 더 힘들어 했던 국민들에 대한 미안함 그리고 대선 이후 박근혜 정부에 의해 전개되고 있는 정국에 대한 평가와 소회를 때로는 냉정하게 때로는 격정적으로 토로하고 있다. 그는 먼저 현 정권은 민주주의, 국민 통합, 경제민주화, 복지 공약, 역사관 등 거의 모든 면에서 절망적인 퇴행을 보이고 있다고 우려한다.
이 책은 이처럼 정치 비판서이자, 동시에 ‘이기기 위한 대선’을 준비하기 위한 후보 자신의 반성적 ‘대선 평가서’이기도 하다. 자신과 자신과 민주당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통해, 앞으로 주어질 과제와 도전을 준비하는 새로운 시작을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범야권 통합운동과 국회의원 선거를 거쳐 대선에 이르기까지, 그 숨 가쁘고 험난했던 시절을 복기하며, 당시 느꼈던 고뇌와 아쉬움, '단일화의 그늘' 등 후보 자신이 아니면 말하기 어려운 감정들도 솔직하게 밝히고 있다.
이어서 대선 평가를 통해 후보 자신만이 아는 '승부의 호흡'까지 글로 담았다. 그는 지난 대선 패배의 양상을 '평소의 준비 부족, 실력 부족', '사악한 종북' 프레임, 떨쳐내지 못한 '우리 안의 근본주의' 등 다각도로 분석했다. 그리고 앞으로 민주 진영은 앞으로 국가, 애국, 안보, 성장의 담론을 더 적극적으로 끌어안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서 패배가 주는 가르침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혁신으로 희망과 믿음을 만든다면, 끝은 새로운 시작이 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목차
서문 다시 희망을 세우며
1부 폐허에서 피어나는 희망 - 지금 우리는 어디에 서 있는가
레미제라블 ㅣ이길 수도 있었던 선거 ㅣ더 멀어진 국민 통합
잘못 끼운 첫 단추 ㅣ부디 성공을 기원했건만
다시 정국 한가운데로 ㅣ증오와 적의(敵意)의 끝은
또다시 퇴행과 역류… ㅣ그날 이후 ㅣ나보다 아팠을 사람들
한없이 가라앉았던 시간 ㅣ패배 못지않은 고통 ㅣ제 탓입니다
놓아야 할 것과 지켜야 할 것 ㅣ‘부정(否定)’ ‘불복’의 마음들을 보며
“일어나세요…” ㅣ평생 떠안게 된 빚
2부 피, 땀, 눈물이 지나간 자리 - 《운명》에서 대선까지의 기억과 기록
운명이 되어 버린 책, 《운명》 ㅣ하나, 하나, 하나
야권 통합의 거름이 된 분들 ㅣ‘광야’의 그 사람
인연과 인연의 교차 ㅣ또 떠나보내다 ㅣ바람이 다르다
가장 원시적인 선거운동 ㅣ‘보이지 않는 손’ ㅣ기대와 실망 사이
총선 후폭풍, 그 우울한 초상 ㅣ국화 한 송이, 그의 무덤 앞에
결심 ㅣ불비불명(不飛不鳴) ㅣ상반된 두 개의 드라마
승자도 아프고 패자도 아프고 ㅣ안타까운 선택
용광로에 불을 지피며 ㅣ그래, 시민이 있다
달랐던 길, 같아야 할 길 ㅣ‘후보는 무장 해제하라’
‘노무현 대 박정희’ ㅣ오직 국민에게만 빚지겠습니다.
“깨끗하게 이겨야, 이기는 겁니다” ㅣ가족들이 겪은 고통
긴박했던 그날 밤 ㅣ실기(失期)에 대한 아쉬움 ㅣ단일화의 그늘
아름답게 손잡는 방법 ㅣ참 기괴한 TV토론
이해찬·정세균, 두 분의 헌신 ㅣ선거판에 뛰어든 권력기관
대통령의 정직성 그리고 정통성 ㅣ선거에서 만난 ‘이 땅의 사람들’
그들에게 길을 묻다
3부 아픔은 견디는 것이다 - 무엇이 부족했는가
이기기 위한 대선 평가 ㅣ미국 공화당의 다른 성찰
사악한 주술(呪術), ‘종북’ ㅣ뭐 하나 꿀릴 게 없었건만
강고한 지역주의의 벽 ㅣ세대별로 품지 못한 패착
‘내 친구 세대’의 절망 ㅣ기울어진 운동장
상상도 못한 범죄 행태 ㅣ분열의 프레임 ‘친노-비노’
우리 안의 근본주의 ㅣ권력의지와 ‘선한 의지’
후보의 결단력이라는 것
4부 끝이 시작이다 -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패배가 주는 가르침 ㅣ진보-보수를 뛰어넘어
유연함과 강함의 조화 ㅣ북한을 대하는 새로운 발상
대륙경제로 가는 비전 ㅣNLL 지키기
평화를 여는 더 좋은 방법 ㅣ새 정치와 정당 혁신의 길
다시 시민 속으로 ㅣ지역주의 정치 구도를 넘으려면
대의성을 높이는 선거제 개혁 ㅣ힘을 모을 수 있는 경선의 지혜
온전히 하나가 되기 위해 ㅣ왜 민주당인가 ㅣ 역사는 진보한다는 믿음
1부 폐허에서 피어나는 희망 - 지금 우리는 어디에 서 있는가
레미제라블 ㅣ이길 수도 있었던 선거 ㅣ더 멀어진 국민 통합
잘못 끼운 첫 단추 ㅣ부디 성공을 기원했건만
다시 정국 한가운데로 ㅣ증오와 적의(敵意)의 끝은
또다시 퇴행과 역류… ㅣ그날 이후 ㅣ나보다 아팠을 사람들
한없이 가라앉았던 시간 ㅣ패배 못지않은 고통 ㅣ제 탓입니다
놓아야 할 것과 지켜야 할 것 ㅣ‘부정(否定)’ ‘불복’의 마음들을 보며
“일어나세요…” ㅣ평생 떠안게 된 빚
2부 피, 땀, 눈물이 지나간 자리 - 《운명》에서 대선까지의 기억과 기록
운명이 되어 버린 책, 《운명》 ㅣ하나, 하나, 하나
야권 통합의 거름이 된 분들 ㅣ‘광야’의 그 사람
인연과 인연의 교차 ㅣ또 떠나보내다 ㅣ바람이 다르다
가장 원시적인 선거운동 ㅣ‘보이지 않는 손’ ㅣ기대와 실망 사이
총선 후폭풍, 그 우울한 초상 ㅣ국화 한 송이, 그의 무덤 앞에
결심 ㅣ불비불명(不飛不鳴) ㅣ상반된 두 개의 드라마
승자도 아프고 패자도 아프고 ㅣ안타까운 선택
용광로에 불을 지피며 ㅣ그래, 시민이 있다
달랐던 길, 같아야 할 길 ㅣ‘후보는 무장 해제하라’
‘노무현 대 박정희’ ㅣ오직 국민에게만 빚지겠습니다.
“깨끗하게 이겨야, 이기는 겁니다” ㅣ가족들이 겪은 고통
긴박했던 그날 밤 ㅣ실기(失期)에 대한 아쉬움 ㅣ단일화의 그늘
아름답게 손잡는 방법 ㅣ참 기괴한 TV토론
이해찬·정세균, 두 분의 헌신 ㅣ선거판에 뛰어든 권력기관
대통령의 정직성 그리고 정통성 ㅣ선거에서 만난 ‘이 땅의 사람들’
그들에게 길을 묻다
3부 아픔은 견디는 것이다 - 무엇이 부족했는가
이기기 위한 대선 평가 ㅣ미국 공화당의 다른 성찰
사악한 주술(呪術), ‘종북’ ㅣ뭐 하나 꿀릴 게 없었건만
강고한 지역주의의 벽 ㅣ세대별로 품지 못한 패착
‘내 친구 세대’의 절망 ㅣ기울어진 운동장
상상도 못한 범죄 행태 ㅣ분열의 프레임 ‘친노-비노’
우리 안의 근본주의 ㅣ권력의지와 ‘선한 의지’
후보의 결단력이라는 것
4부 끝이 시작이다 -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패배가 주는 가르침 ㅣ진보-보수를 뛰어넘어
유연함과 강함의 조화 ㅣ북한을 대하는 새로운 발상
대륙경제로 가는 비전 ㅣNLL 지키기
평화를 여는 더 좋은 방법 ㅣ새 정치와 정당 혁신의 길
다시 시민 속으로 ㅣ지역주의 정치 구도를 넘으려면
대의성을 높이는 선거제 개혁 ㅣ힘을 모을 수 있는 경선의 지혜
온전히 하나가 되기 위해 ㅣ왜 민주당인가 ㅣ 역사는 진보한다는 믿음
저자 소개
출판사 리뷰
많은 분이 힘들어 합니다. 요즘 정치를 보면서 절망감과 무력감을 느낄 만도 합니다. 힘을 가진 측이 마음대로 세상을 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한쪽은 칼자루를 쥐고 있고, 한쪽은 칼날을 쥔 채 옴짝달싹 못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끝나지 않는 것이 세상입니다. 무도한 힘은 결국 심판받기 마련입니다. (…)
저와 민주당은 지난 대선에서 실패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으로 끝나지 않는 법입니다. 저와 민주당이 다시 희망과 믿음을 만들어 나가고 싶습니다. 필요한 것은 희망입니다. 그래도 역사는 진보한다는 믿음입니다. 끝이 다시 시작입니다.
분명, 끝은 새로운 시작이다
2012년 12월 19일로부터 1년,《문재인의 운명》이 출간된 지 2년 6개월. 대선 이후 침잠의 시간을 보낸 문재인이 《1219 끝이 시작이다》로 말문을 열었다.
대선 후보가 일 년 만에 자기반성과 성찰을 담은 책을 낸 일은 이례적이다. 반성은 통렬하고, 성찰은 깊다. 2017년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담았다. 현 정부에 대한 비판도 거침없다.
퇴행 또 퇴행
책에서 문재인은 대선 이후 개인적으로 힘겨웠던 심경, 자신보다 더 힘들어 했던 국민들에 대한 미안함 그리고 대선 이후 박근혜 정부에 의해 전개되고 있는 정국에 대한 평가와 소회를 때로는 냉정하게 때로는 격정적으로 토로하고 있다.
“공안정치를 이끄는 무서운 대통령”을 지켜봐야 하는 현실 앞에서, “관권 선거”를 넘어 “사실 규명을 방해하면서 진실을 은폐하는” 집권 세력을 마주하면서, 대선 후보였던 문재인의 소회는 그래서 더 남다르고 절실하다.
저자는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진심으로 바랐지만 민주주의, 국민 통합, 경제민주화, 복지 공약, 역사관 등 거의 모든 면에서 이명박 정부의 퇴행보다 더 절망적인 퇴행을 보이고 있다고 우려한다. 국정원 불법 대선공작과 사실 규명을 막기 위해 공공연하게 저지르고 있는 사법 방해 행위들에 대해서는 “과거 독재정권들도 하지 못했던 사상 초유의 일”이라며, 어떻게 하든지 진실을 덮으려고 하는 박근혜 정부의 대응이 오히려 정통성에 대한 공격을 자초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바야흐로 지난 정권의 잘못이 현 정권의 더 큰 잘못으로 확대되고 있는 현실을 저자는 다음과 같이 개탄한다.
“지난 대선이 공정하지 않았다고 생각”하지만 "국정원 대선 개입을 규탄해 온 대다수 국민들의 목적은 ‘선거 다시 하자’는 데 있지 않았”다. "현실적으로도 선거를 무효화하는 것은 가능한 일”이 아니다. “국민들이 요구한 것은 대통령과 정부 여당의 진정성 있는 태도”였다. “제(문재인)가 취해 온 입장”도 같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은 그러지 않”고 “오히려 거꾸로” 가고 있다. “대선 불복을 키우는 것은 촛불이 아니라, 대통령과 여당의 태도임을 직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71-72쪽, 〈부정, 불복의 마음들을 보며〉에서)
처음 말하는 대선에 관한 소회
《1219 끝이 시작이다》는 이처럼 박근혜 정부에 대한 정치인 문재인의 정치 비판서이면서, 동시에 ‘이기기 위한 대선’을 준비하기 위한 후보 자신의 반성적 ‘대선 평가서’이기도 하다. 저자 자신과 민주당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통해, 앞으로 주어질 과제와 도전을 준비하는 새로운 시작의 책이기도 하다. “끝이 시작”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저자가 자신에게 ‘운명’이 되어 버린 책 《문재인의 운명》을 시작으로, 범야권 통합운동과 국회의원 선거를 거쳐 대선에 이르기까지, 그 숨 가쁘고 험난했던 시절을 복기하는 것은 이를 위해 꼭 필요한 준비 과정이다.
스스로 “결단력이 부족했다고 느끼는 대목”이 많았다며 고뇌와 아쉬움을 표하는 대목, 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 협상 과정에서 최종 협상 시한에 대한 판단이 양측이 달랐던 점, 후보 당사자들이 협상을 직접 진행하면서 생기는 ‘단일화의 그늘’ 등에 대한 생각은, 책에서 처음으로 밝히는 저자의 솔직한 육성이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현실정치 논리에 밀려 떠나보내야 했던 민주당 지도부에 대한 미안함, 실무 참모들이 ‘친노’라는 이유만으로 사퇴해야만 했을 때의 안타까움, 헌신했으나 정치적인 이유로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한 동지들에 대한 미안함 등 후보 자신이 아니면 말하기 어려운 감정들을 솔직하게 밝히고 있다.
‘평소의 준비 부족’이 패인
저자가 이 책을 쓴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후보 자신에 의한’ 대선 평가이다. 대선 이후 수많은 평가가 있어 왔지만, 정작 “대국자” 자신의 평가서는 없었다는 점이다. 비록 대국자 자신의 평가가 “일반적이지 않고, 주관적일지라도” 후보 자신만이 알 수 있는 “승부의 호흡”이 있기 때문이다.
모름지기 대선 평가서는 “지지를 확장시켜 준 요인과 그렇지 못한 요인”을 고루 살펴야 하는데, 그간의 대선 평가서는 그렇지 못했다는 것이 대선 후보였던 저자의 평가다. 그런 점에서 미국 공화당의 대선 평가보고서는 좋은 예의 하나이기도 하다.
지난 대선 패배의 가장 큰 이유는 무엇보다 “평소의 준비 부족, 실력 부족”이다. 그것은 후보 자신을 향한 자기비판이기도 하고, 민주당에 대한 가감 없는 평가이기도 하다. 그리고 여기에 NLL과 대화록 사건으로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사악한 종북” 프레임, 정보기관과 군이 동원된 관건 선거가 위력을 발휘한 것 역시 주요 패인이다. 저자는 이를 “대선에서 가장 강력하게 영향력을 행사한 것이 ‘종북’ 프레임”이지만, 이 같은 종북 프레임이 “다시는 이 땅의 선거에서 발붙일 수 없게 평소부터 단호히 대응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또 여전히 “강고한 지역주의의 벽”과 “세대별로 품지 못한 전략”, 보수와 진보로 나뉜 이른바 “기울어진 운동장”의 문제들도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대목들이다.
떨쳐 내지 못한 ‘우리 안의 근본주의’
특히 패배 원인 중 하나로 새롭게 지적하고 있는 것은 “우리 안의 근본주의”이다. 민주 진영이 민주, 인권, 평화, 연대, 환경, 생명, 사람 등 좋은 가치와 철학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좀 더 유연하고 좀 더 실질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지지 못하게 한 ‘근본주의’가 우리 안에 있다는 것이다.
“민주 진영은 담론에서, 그동안 ‘국가’나 ‘애국’이라는 가치에 관심을 덜 가졌던 게 사실입니다. 그로 인해 국가공동체의 공동선을 위해 더 많은 헌신과 희생을 치러 왔음에도 불구하고, ‘국가’나 ‘애국’이라는 가치를, 실상과 다르게 보수 세력의 전유물처럼 내줬습니다.” -245쪽에서
저자는 민주 진영은 앞으로 국가, 애국, 안보, 성장의 담론을 더 적극적으로 끌어안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실로 보나 역사적 성과로 보나 민주 진영이 “뭐 하나 꿇릴 게 없기” 때문이다.
저자가 이렇게 객관적 패인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은, 결코 자신의 책임을 작게 생각해서가 아니다.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이 지지를 확장시켜 준 요인이었고 무엇이 한계였는지, 상식의 눈”으로 냉정하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책의 제목처럼, 희망을 가진 사람에게,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에게 끝은 단순히 끝이 아니라 “끝이 시작”일 수 있을 것이다.
‘성장과 안보에서도 유능한 진보’ ‘더 정의롭고 따뜻한 성장’ ‘근본주의적 사고를 넘는 유연함’ ‘시민이 참여하는 정당 민주제’ ‘평화에 대한 새롭고도 확고한 인식‘ ’새 정치에 대한 혁신과 실천’ 등이 그 과제일 것이다.
패배가 주는 가르침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강함과 유연함을 두루 갖추고, 정치와 정당을 근본적으로 혁신하고, 다시 “시민 속으로” 들어간다면, 그 끝은 분명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일 것이다.
“저와 민주당은 지난 대선에서 실패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으로 끝나지 않는 법입니다. 저와 민주당이 다시 희망과 믿음을 만들어 나가고 싶습니다. 필요한 것은 희망입니다. 그래도 역사는 진보한다는 믿음입니다. 끝이 다시 시작입니다” -문재인
저와 민주당은 지난 대선에서 실패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으로 끝나지 않는 법입니다. 저와 민주당이 다시 희망과 믿음을 만들어 나가고 싶습니다. 필요한 것은 희망입니다. 그래도 역사는 진보한다는 믿음입니다. 끝이 다시 시작입니다.
분명, 끝은 새로운 시작이다
2012년 12월 19일로부터 1년,《문재인의 운명》이 출간된 지 2년 6개월. 대선 이후 침잠의 시간을 보낸 문재인이 《1219 끝이 시작이다》로 말문을 열었다.
대선 후보가 일 년 만에 자기반성과 성찰을 담은 책을 낸 일은 이례적이다. 반성은 통렬하고, 성찰은 깊다. 2017년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담았다. 현 정부에 대한 비판도 거침없다.
퇴행 또 퇴행
책에서 문재인은 대선 이후 개인적으로 힘겨웠던 심경, 자신보다 더 힘들어 했던 국민들에 대한 미안함 그리고 대선 이후 박근혜 정부에 의해 전개되고 있는 정국에 대한 평가와 소회를 때로는 냉정하게 때로는 격정적으로 토로하고 있다.
“공안정치를 이끄는 무서운 대통령”을 지켜봐야 하는 현실 앞에서, “관권 선거”를 넘어 “사실 규명을 방해하면서 진실을 은폐하는” 집권 세력을 마주하면서, 대선 후보였던 문재인의 소회는 그래서 더 남다르고 절실하다.
저자는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진심으로 바랐지만 민주주의, 국민 통합, 경제민주화, 복지 공약, 역사관 등 거의 모든 면에서 이명박 정부의 퇴행보다 더 절망적인 퇴행을 보이고 있다고 우려한다. 국정원 불법 대선공작과 사실 규명을 막기 위해 공공연하게 저지르고 있는 사법 방해 행위들에 대해서는 “과거 독재정권들도 하지 못했던 사상 초유의 일”이라며, 어떻게 하든지 진실을 덮으려고 하는 박근혜 정부의 대응이 오히려 정통성에 대한 공격을 자초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바야흐로 지난 정권의 잘못이 현 정권의 더 큰 잘못으로 확대되고 있는 현실을 저자는 다음과 같이 개탄한다.
“지난 대선이 공정하지 않았다고 생각”하지만 "국정원 대선 개입을 규탄해 온 대다수 국민들의 목적은 ‘선거 다시 하자’는 데 있지 않았”다. "현실적으로도 선거를 무효화하는 것은 가능한 일”이 아니다. “국민들이 요구한 것은 대통령과 정부 여당의 진정성 있는 태도”였다. “제(문재인)가 취해 온 입장”도 같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은 그러지 않”고 “오히려 거꾸로” 가고 있다. “대선 불복을 키우는 것은 촛불이 아니라, 대통령과 여당의 태도임을 직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71-72쪽, 〈부정, 불복의 마음들을 보며〉에서)
처음 말하는 대선에 관한 소회
《1219 끝이 시작이다》는 이처럼 박근혜 정부에 대한 정치인 문재인의 정치 비판서이면서, 동시에 ‘이기기 위한 대선’을 준비하기 위한 후보 자신의 반성적 ‘대선 평가서’이기도 하다. 저자 자신과 민주당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통해, 앞으로 주어질 과제와 도전을 준비하는 새로운 시작의 책이기도 하다. “끝이 시작”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저자가 자신에게 ‘운명’이 되어 버린 책 《문재인의 운명》을 시작으로, 범야권 통합운동과 국회의원 선거를 거쳐 대선에 이르기까지, 그 숨 가쁘고 험난했던 시절을 복기하는 것은 이를 위해 꼭 필요한 준비 과정이다.
스스로 “결단력이 부족했다고 느끼는 대목”이 많았다며 고뇌와 아쉬움을 표하는 대목, 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 협상 과정에서 최종 협상 시한에 대한 판단이 양측이 달랐던 점, 후보 당사자들이 협상을 직접 진행하면서 생기는 ‘단일화의 그늘’ 등에 대한 생각은, 책에서 처음으로 밝히는 저자의 솔직한 육성이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현실정치 논리에 밀려 떠나보내야 했던 민주당 지도부에 대한 미안함, 실무 참모들이 ‘친노’라는 이유만으로 사퇴해야만 했을 때의 안타까움, 헌신했으나 정치적인 이유로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한 동지들에 대한 미안함 등 후보 자신이 아니면 말하기 어려운 감정들을 솔직하게 밝히고 있다.
‘평소의 준비 부족’이 패인
저자가 이 책을 쓴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후보 자신에 의한’ 대선 평가이다. 대선 이후 수많은 평가가 있어 왔지만, 정작 “대국자” 자신의 평가서는 없었다는 점이다. 비록 대국자 자신의 평가가 “일반적이지 않고, 주관적일지라도” 후보 자신만이 알 수 있는 “승부의 호흡”이 있기 때문이다.
모름지기 대선 평가서는 “지지를 확장시켜 준 요인과 그렇지 못한 요인”을 고루 살펴야 하는데, 그간의 대선 평가서는 그렇지 못했다는 것이 대선 후보였던 저자의 평가다. 그런 점에서 미국 공화당의 대선 평가보고서는 좋은 예의 하나이기도 하다.
지난 대선 패배의 가장 큰 이유는 무엇보다 “평소의 준비 부족, 실력 부족”이다. 그것은 후보 자신을 향한 자기비판이기도 하고, 민주당에 대한 가감 없는 평가이기도 하다. 그리고 여기에 NLL과 대화록 사건으로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사악한 종북” 프레임, 정보기관과 군이 동원된 관건 선거가 위력을 발휘한 것 역시 주요 패인이다. 저자는 이를 “대선에서 가장 강력하게 영향력을 행사한 것이 ‘종북’ 프레임”이지만, 이 같은 종북 프레임이 “다시는 이 땅의 선거에서 발붙일 수 없게 평소부터 단호히 대응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또 여전히 “강고한 지역주의의 벽”과 “세대별로 품지 못한 전략”, 보수와 진보로 나뉜 이른바 “기울어진 운동장”의 문제들도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대목들이다.
떨쳐 내지 못한 ‘우리 안의 근본주의’
특히 패배 원인 중 하나로 새롭게 지적하고 있는 것은 “우리 안의 근본주의”이다. 민주 진영이 민주, 인권, 평화, 연대, 환경, 생명, 사람 등 좋은 가치와 철학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좀 더 유연하고 좀 더 실질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지지 못하게 한 ‘근본주의’가 우리 안에 있다는 것이다.
“민주 진영은 담론에서, 그동안 ‘국가’나 ‘애국’이라는 가치에 관심을 덜 가졌던 게 사실입니다. 그로 인해 국가공동체의 공동선을 위해 더 많은 헌신과 희생을 치러 왔음에도 불구하고, ‘국가’나 ‘애국’이라는 가치를, 실상과 다르게 보수 세력의 전유물처럼 내줬습니다.” -245쪽에서
저자는 민주 진영은 앞으로 국가, 애국, 안보, 성장의 담론을 더 적극적으로 끌어안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실로 보나 역사적 성과로 보나 민주 진영이 “뭐 하나 꿇릴 게 없기” 때문이다.
저자가 이렇게 객관적 패인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은, 결코 자신의 책임을 작게 생각해서가 아니다.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이 지지를 확장시켜 준 요인이었고 무엇이 한계였는지, 상식의 눈”으로 냉정하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책의 제목처럼, 희망을 가진 사람에게,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에게 끝은 단순히 끝이 아니라 “끝이 시작”일 수 있을 것이다.
‘성장과 안보에서도 유능한 진보’ ‘더 정의롭고 따뜻한 성장’ ‘근본주의적 사고를 넘는 유연함’ ‘시민이 참여하는 정당 민주제’ ‘평화에 대한 새롭고도 확고한 인식‘ ’새 정치에 대한 혁신과 실천’ 등이 그 과제일 것이다.
패배가 주는 가르침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강함과 유연함을 두루 갖추고, 정치와 정당을 근본적으로 혁신하고, 다시 “시민 속으로” 들어간다면, 그 끝은 분명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일 것이다.
“저와 민주당은 지난 대선에서 실패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으로 끝나지 않는 법입니다. 저와 민주당이 다시 희망과 믿음을 만들어 나가고 싶습니다. 필요한 것은 희망입니다. 그래도 역사는 진보한다는 믿음입니다. 끝이 다시 시작입니다” -문재인
'37.대한민국 현대사 (독서>책소개) > 5.대한민국대통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중 패권전쟁과 문재인의 운명 (2019) - 미중 신냉전시대와 한반도 자유통일 국가전략 (0) | 2023.06.09 |
---|---|
문재인의 서재 (2017) - 문재인, 책 속에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묻다! (0) | 2023.06.09 |
위대한 국민의 나라 (2022) - 문재인정부 5년의 기록 (0) | 2023.06.09 |
사람이 먼저다 (2012) - 문재인의 힘 (0) | 2023.06.09 |
왕따의 정치학 (2017) - 왜 진보 언론조차 노무현·문재인을 공격하는가? (0) | 2023.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