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60쇄 발행, 누적 판매 17만 부
2010년 한국 사회를 강타한 『피로사회』의 한병철 교수
10여 년 만에 새로운 화두를 던지는 문제작 『서사의 위기』 출간!
스토리 중독 사회는 어떻게 도래했는가!
이슈만 좇는 깊은 허무의 시대에 경종을 울리다
세계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살아 있는 철학자
미국, 중국, 프랑스 등 11개국 번역 출간
『피로사회』로 한국 사회를 뜨겁게 달궜던 재독 철학자 한병철이, 이번에는 빠르게 나타났다 사라지는 이슈만 좇느라 정작 자기의 생각으로부터 멀어져 버린 스토리 중독 사회를 고발한다.
피로사회』 이후 10여 년 만에 새로운 화두를 던지는 이 책의 핵심 키워드는 ‘서사’와 ‘스토리’다. 나만의 생각과 맥락이 서사라면, 반짝하고 사라져 버리는 뉴스와 정보들은 스토리다.
한병철은 우리가 억압도, 저항도 없는 스마트한 지배체계에서 자기 삶을 SNS에 게시하며 정보화하도록 조종당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아름다운 꽃을 봐도 감동을 온전히 느끼며 내면으로 파고드는 것이 아니라 재빨리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어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올리는 데 그치며 자신만의 서사를 만들지 못한다는 것이다.
고유한 이야기를 잃은 사회, 내 생각과 느낌을 말하지 못하고 입력한 정보를 앵무새처럼 내뱉는 사회의 끝은 서사 없는 ‘텅 빈 삶’이다.
목차
역자 서문
이야기에서 정보로
경험의 빈곤
설명되는 삶
벌거벗은 삶
세계의 탈신비화
충격에서 ‘좋아요’로
이야기로서의 이론
치유의 스토리텔링
이야기 공동체
스토리셀링
저자 소개
저 : 한병철 (Han Byung-Chul)
1959년 서울 출생. 고려대학교에서 금속공학을 전공한 뒤 독일로 건너가 브라이스가우의 프라이부르크대학교와 뮌헨대학교에서 철학, 독일 문학, 가톨릭 신학을 공부했다.
베를린예술대학교 철학·문화학 교수를 지냈다.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킨 그의 대표작 『피로사회』는 2012년 한국에도 소개되어 주요 언론 매체의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는 등 한국 사회를 꿰뚫는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이후 『투명사회』, 『권력...
책 속으로
스토리는 서사가 아니다. 스토리, 즉 정보는 끊임없이 등장하는 다음 스토리로 대체되어 사라진다.
반면 서사는 나만의 맥락과 이야기, 삶 그 자체다.
나의 저 먼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기에 방향성을 띤다.
곧 사라져 버릴 정보에 휩쓸려 자신만의 이야기를 잃은 사회, 내 생각과 느낌과 감정을 말하지 못하고 입력한 정보를 앵무새처럼 내뱉는 사회의 끝은 서사 없는 ‘텅 빈 삶’이다.
--- p.7, 「역자 서문」 중에서
프랑스 일간지 《르 피가로》를 창간한 이폴리트 드 빌메상(Hippolyte de Villemessant)은 정보의 본질을 다음의 한 문장으로 정리했다.
“우리 독자들은 마드리드에서 일어난 혁명보다 파리 라틴 숙소에서 일어난 지붕 화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인다.
”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은 이를 더욱 구체화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더 이상 멀리서 오는 지식이 아닌, 바로 다음에 일어날 일의 단서를 제공하는 정보만이 공감을 얻는다.
” 신문 독자들의 관심은 코앞에 놓인 것 이상을 벗어나지 않는다.
그들의 관심은 호기심거리로 축소된다.
근대의 신문 독자들은 시선을 멀리 두고 머무르는 대신, 하나의 뉴스거리에서 다른 뉴스거리로 관심을 이동시킬 뿐이다.
--- p.13, 「이야기에서 정보로」 중에서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 같은 디지털 플랫폼의 ‘스토리’도 진정한 의미에서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들은 어떠한 서사적 길이도 보이지 않는다.
일련의 순간 포착일 뿐이며 아무것도 이야기하지 않는다.
사실상 이들은 빠르게 사라지는 시각적 정보에 불과하다.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인스타그램의 광고 슬로건은 이렇다. “일상의 소중한 순간을 스토리로 올려보세요.
스토리는 보통 재미있고 가벼운 내용을 담고 있으며 24시간 동안만 지속됩니다.
” 시간제한은 특별한 심리적 효과를 일으킨다.
수시로 변하는 듯한 느낌을 들게 해 더 많은 소통을 향한 미묘한 강박을 만든다.
--- p.46, 「설명되는 삶」 중에서
디지털화된 후기 근대에 우리는 끊임없이 게시하고 ‘좋아요’를 누르고 공유하면서 벌거벗음, 공허해진 삶의 의미를 모르는 척한다.
소통 소음과 정보 소음은 삶이 불안한 공허를 드러내지 못하게 만든다.
오늘날의 위기는 ‘사느냐, 이야기하느냐’가 아닌 ‘사느냐, 게시하느냐’가 된 데 있다
. 셀카 중독마저도 나르시시즘 때문이 아니다.
내면의 공허가 셀카 중독으로 이어진 것이다.
나에게는 안정적 정체성을 부여하는 의미 제공이 결여되어 있다.
내면의 공허에 직면한 ‘나’는 스스로를 영구히 생산해 낸다.
셀카는 텅 빈 자기의 복제다.
--- p.64-65, 「벌거벗은 삶」 중에서
프로이트도 고통을 개인의 이야기 속에 나타나는 막힘을 드러내는 증상으로 이해했다.
막힘이 있는 사람은 자신의 이야기를 이어나갈 수 없다.
심리적 장애는 막혀버린 이야기의 표출이다.
치유는 환자들을 이야기의 막힘으로부터 자유롭게 해주고, 이야기할 수 없는 사람들이 이야기를 말로써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과정에서 일어난다.
환자는 스스로 자유롭게 이야기할 때 치유된다.
--- p.114, 「치유의 스토리텔링」 중에서
이야기는 사회적 응집성을 만든다. 이야기는 의미를 제공하며, 공동체를 형성하는 가치를 전달한다.
이들은 체제를 만드는 서사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신자유주의 체제의 기초가 되는 서사는 공동체 형성 자체를 방해한다.
신자유주의적 성과 서사는 모든 사람을 스스로 자기 자신의 기업가가 되게 한다.
모두가 다른 사람과의 경쟁 속에 존재한다.
성과 서사는 사회적 응집성, 즉 우리를 만들지 않는다.
오히려 연대뿐 아니라 공감까지 해체한다.
자기 최적화, 자기실현과 같은 신자유주의적 서사 또는 진정성은 사람들을 고립시킴으로써 사회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자기 자신에 대한 숭배를 좋아하고 스스로가 지도자인 곳, 모두가 스스로를 생산하고 스스로를 공연하는 곳에는 안정적인 공동체가 형성되지 않는다.
--- p.126, 「이야기 공동체」 중에서
삶은 이야기다. 서사적 동물(animal narrans)인 인간은 새로운 삶의 형식들을 서사적으로 실현시킨다는 점에서 동물과 구별된다.
이야기에는 새 시작의 힘이 있다.
세상을 변화시키는 모든 행위는 이야기를 전제한다.
이와 반대로 스토리텔링은 오로지 한 가지 삶의 형식, 즉 소비주의적 삶의 형식만을 전제한다.
스토리셀링으로서의 스토리텔링은 다른 삶의 형식을 그려낼 수 없다.
스토리텔링의 세상에서는 모든 것이 소비로 환원되기 때문이다.
우리로 하여금 다른 이야기, 다른 삶의 형식, 다른 지각과 현실에는 눈멀게 한다.
바로 여기에 스토리텔링 시대 서사의 위기가 있다.
--- p.136-137, 「스토리셀링」 중에서
출판사 리뷰
“왜 우리 삶은 불안하고 공허한가”
스토리에 서사를 빼앗긴 현시대에 대한 통렬한 비판
『서사의 위기』 국내 출간!
오늘날 우리는 혼자 있을 때도, 다른 사람을 만나 대화할 때도 쉴 새 없이 스마트폰을 들여다본다.
실시간 뉴스를 확인하고 유튜브와 SNS로 짧은 영상과 사진을 읽어 들인다.
길고 느린 호흡으로 내면의 이야기에 집중하는 시간은 사실상 없다.
온종일 자극적인 스토리를 소비하느라 바쁘다.
세계적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세계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살아 있는 철학자”(스페인 대표 일간지 〈엘 파이스〉)인 한병철은 신작 『서사의 위기』에서 스토리에 자기만의 고유한 이야기를 빼앗긴 현시대를 ‘서사의 위기’라고 진단한다.
반짝하고 사라질 스토리는
그 어떤 삶의 방향도, 의미도 제시하지 못하기에 서사의 위기는 삶의 위기로 직결된다.
저자에 따르면 인간은 한 순간에서 다음 순간으로 이동하며 사는 존재가 아니다.
탄생과 죽음 사이의 삶 전체를 연결하며 자기만의 맥락으로 나아갈 때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나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이야기만이 인생에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지금 이 순간’만 중요하게 만드는 스토리에 중독될수록 깊은 허무에 빠지는 이유다.
‘서사의 위기’는 한국 사회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겪고 있는 현시대의 문제다.
이 책을 먼저 읽은 해외 독자들은 “훌륭하고 정확하며 거의 완벽한 책”, “우리 시대의 재앙을 파악하는 동시에 해결책을 제시한다”
“현재 우리 삶의 일부여서 못 보던 문제들을 예리하게 짚어내어 보게 해준다”라고 극찬하며 시대를 꿰뚫는 한병철 철학의 예리함을 반증하고 있다.
『서사의 위기』에서 한병철은 철학자 발터 벤야민, 한나 아렌트, 테오도르 아도르노부터 작가 게오르크 뷔히너, 베르톨트 브레히트, 폴 마르, 미하엘 엔데까지 다채롭게 인용하며 서사의 의미를 해석한다.
나아가 서사의 회복만이 예측 불가능한 세계에서 불안에 떨지 않고 사는 방법이라고 강조한다.
남들 다 하는 대로 공허하게 끌려가는 게 아니라 자신만의 맥락으로 고유한 인생, 다른 이야기를 만드는 삶이다. 한병철 특유의 깊고 명료한 철학적 사유는, 인생의 의미를 찾지 못해 방황하는 독자들이 내면의 서사를 회복해 삶의 가치를 온전히 음미하도록 이끈다.
“스토리텔링이 아니라 스토리셀링이다!”
소비자로 전락해 버린 인간 존재를 사유하다
“스토리텔링은 최근 매우 인기다.
인기가 너무 많으니 마치 우리가 다시 이야기를 더 많이 하고 있는 것만 같다.
그러나 스토리텔링은 이야기의 귀환이 결코 아니다.
오히려 이야기를 도구화하고 상업화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자기 자체로는 가치 없는 사물을 가치 있는 재화로 변화시킨다.”
_『서사의 위기』 133쪽
자본주의 사회에서 스토리에 중독된 현대인은 삶의 주체가 아니라 상품의 소비자로 전락한다.
기업에서는 그 자체로 가치 없는 사물에 스토리를 부여해 우리가 ‘상품’을 구매하도록 자극하기 때문이다.
한병철 저자는 이와 같은 현상에 ‘스토리셀링(Storyselling)’이라고 이름 붙인다.
문제는 이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저자는 현대인이 억압도, 저항도 없는 스마트한 지배체계에서 자기 삶을 SNS에 게시하고 공유하며 스토리텔링하도록 조종당하고 있다고 짚어낸다.
아름다운 꽃을 봐도 감동을 온전히 느끼며 내면으로 파고드는 것이 아니라 재빨리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어 SNS에 올리며 자기 자신을 정보화하고 다른 사람의 반응을 살피는 것이다.
그렇게 우리는 스스로 스토리셀링하며, 언제든 소비되고 사라져도 상관없는 정보로 한없이 전락하고 있다.
의미 없이 이슈에서 이슈로 이동하며 업데이트 강박에 시달리는 정보 사냥꾼의 삶은 공허하다.
경험과 생각들이 차곡차곡 쌓이지 못하고 정보로 그저 나열되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며 공감하기보다 새로운 정보를 공유하는 데만 집중하기에, 인간관계도 공동체 대신 커뮤니티를 이루는 데 그친다. 자기만의 역사를 잃고 우연성에 휩싸인 채 폭풍우 한가운데서 부유한다.
깊은 허무를 치유하는 유일한 힘
“정보의 나열을 뛰어넘는 진실한 이야기만이
삶의 의미를 찾아줄 것이다”
어떻게 하면 서사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한병철 저자는 미하엘 엔데의 소설 『모모』를 예로 들며 ‘경청’을 제안한다.
소설에서 주인공 모모는 상대방의 말을 사려 깊게 들어줌으로써 스스로 이야기하도록 이끈다.
이를 통해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기 자신의 소중함을 깨닫고 심지어 사랑받는다는 느낌까지 받게 한다.
오로지 다른 사람의 말을 잘 들어주는 것만으로 서사를 회복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회복된 서사는 아픔을 치유한다. 한병철은 발터 벤야민과 한나 아렌트의 말을 인용하며 치유의 힘을 다시 강조한다.
“환자의 병은 의사에게 증상을 이야기하는 데서 치유가 시작”되며(발터 벤야민),
“모든 슬픔은 이야기에 담거나 이야기로 해낼 수 있다면 견딜 수 있다”(한나 아렌트).
안타깝게도 현대인에게는 이야기를 경청할 시간과 인내심이 없다.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빠르게 흡수해 결과를 내야 하는 효율의 세계는, 길고 느리게 펼쳐지는 서사의 시간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서사 없는 삶에 행복은 없다.
오늘은 그저 어제에 이어지는 날이며 인생을 의미 있게 하는 어떠한 서사도 일어나지 않는 생존의 연속일 뿐이다.
누구도 이런 삶을 원하지 않는다.
현재 우리가 어떤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지 정확하게 직시하고 싶다면, 나아가 삶의 새로운 이야기를 시작하고 싶다면 이 책을 만나보자.
삶의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사유의 시간이 될 것이다.
“삶은 이야기다.
서사적 동물인 인간은 새로운 삶의 형식들을 서사적으로 실현시킨다는 점에서 동물과 구별된다. 이야기에는 새 시작의 힘이 있다.
세상을 변화시키는 모든 행위는 이야기를 전제한다.”
_『서사의 위기』 136~137쪽
세계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살아 있는 독일 철학자는 한국인, 한병철이다.
_스페인 대표 일간지 〈엘 파이스〉
한병철은 우리 시대의 상처를 지적한다.
정보화된 사회는 사람들을 소외시키고 대상화하며 인류의 오래된 가치를 파괴한다. 놀랍게도 그는 이 책에서 재앙을 파악하는 동시에 해결책을 제시한다.
_독일 아마존 독자 Fit*************
현대인은 이야기를 전달하는 능력을 상실했다. 주변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기보다 스마트폰에만 집중한다.
공동체를 만드는 서사는 사라졌다. 이 책에는 이야기가 사라진 우리 사회의 모습이 담겨 있다.
_독일 아마존 독자 Chr************
대단한 철학자. 정확하고 간결하다.
_독일 아마존 독자 S**
훌륭하고 정확하며 거의 완벽한 책이다. 한병철은 다시 한번 현대 사회의 문제에 정곡을 찌른다.
벤야민의 서사 개념을 근대 후기에 맞게 훌륭하게 발전시킨 그의 철학이 놀랍다.
_스페인 아마존 독자 Ni***** ********
현재 우리 삶의 일부여서 못 보던 문제들을 예리하게 짚어내어 보게 해주는 책.
_독일 아마존 독자 Dr***
* 출처 :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2477521>
'54.인문교양 (독서>책소개) > 1.인문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욕망 질문 (2024) - 프로젝트 라이프 (2) | 2024.12.12 |
---|---|
흔들림 없이 나아가는 삶의 태도 (2024) (0) | 2024.12.07 |
무기력 디톡스 (2024) - 지친 마음에 시동을 거는 마인드 부스팅 수업 (0) | 2024.11.21 |
인생의 의미 (2024) - 삶의 마지막 여정에서 찾은 가슴 벅찬 7가지 깨달음 (3) | 2024.11.21 |
최진석의 대한민국 읽기 (2024) (2) | 2024.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