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비극적인 삶을 살았던 조선의 왕 단종·연산군·광해군·경종·영조·사도세자는 모두 정비가 아닌 후궁의 아들이었다. 이 책은 궁궐 안 깊숙이 감춰진 후궁들의 삶을 통해 잃어버린 조선의 역사를 복원하겠다는 취지하에서 쓰여졌다. 첩의 자식이라는 꼬리표는 정통성 논란을 불러일으키며 최고 권력자의 내면에 연민과 콤플렉스를 남긴다. 권력의 소용돌이에 휩쓸린 어머니와 아들의 비통한 사연이 책 속에서 생생하게 그려졌다. 역사적으로 소외되었던 여성들의 이야기를 본격적으로 다룬 책으로,'문화유산해설사'라는 저자 최선경 님의 이력도 매우 독특하다.
목차
첫번째 이야기: 대목장이 되기까지
다시 우뚝 속은 흥례문
중요무형문화재 제74호 대목장 기능 보유자
열일곱에 들어선 목수의 길
스승 이광규 선생과의 운명적인 만남
본격적인 대목 수업
스물아홉 살의 부편수
도편수가 되다
두번째 이야기: 21세기 천년 건축으로 다시 태어나다
궁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정궁 경복궁/민족 정신의 회복, 창경궁/자연과 인간이 만들어낸 완전한 건축, 창덕궁/정치적.경제적 현안들로 둘러싸인 덕수궁
성곽
우리나라 성문의 대표격, 숭례문/조선 시대 성곽의 꽃, 화성
사찰
자연과의 조화를 꾀하는 불국사/최고의 장인들이 만들어 낸 역작 구인사 조사전/자연과의 한마음,현정사/세상에서 가장 비싼 점심의 대가,석윤서원
한옥
애정과 관심이 빚어낸 호암장과 승지원/전통 건축의 모델, 하회마을/ 전통적인 한옥 기법 그대로의 총리 공관 삼청당
/일제의 잔재가 사라진 청와대 상춘재/ 우여곡절 끝에 새롭게 태오난 한국의 집/스러져 간 역사의 재탄생,경주 안압지 임해전
위엄과 당담함의 대통령 관저/한옥의 기품이 전해지는 유관순 추모각
세번째 이야기: 나의 소나무 이야기
우리 소나무
목재 선별/벌목 과 운반/목재 보관/ 나무 다루는 법
네번째 이야기: 전통을 잇는다 맥을 잇는다
고건축에 대한 나의 애정
이 시대의 장인 정신
고건축 문화의 부흥기를 맞이하여
흥례문 사건
앞으로의 바람과 계획
약력
다시 우뚝 속은 흥례문
중요무형문화재 제74호 대목장 기능 보유자
열일곱에 들어선 목수의 길
스승 이광규 선생과의 운명적인 만남
본격적인 대목 수업
스물아홉 살의 부편수
도편수가 되다
두번째 이야기: 21세기 천년 건축으로 다시 태어나다
궁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정궁 경복궁/민족 정신의 회복, 창경궁/자연과 인간이 만들어낸 완전한 건축, 창덕궁/정치적.경제적 현안들로 둘러싸인 덕수궁
성곽
우리나라 성문의 대표격, 숭례문/조선 시대 성곽의 꽃, 화성
사찰
자연과의 조화를 꾀하는 불국사/최고의 장인들이 만들어 낸 역작 구인사 조사전/자연과의 한마음,현정사/세상에서 가장 비싼 점심의 대가,석윤서원
한옥
애정과 관심이 빚어낸 호암장과 승지원/전통 건축의 모델, 하회마을/ 전통적인 한옥 기법 그대로의 총리 공관 삼청당
/일제의 잔재가 사라진 청와대 상춘재/ 우여곡절 끝에 새롭게 태오난 한국의 집/스러져 간 역사의 재탄생,경주 안압지 임해전
위엄과 당담함의 대통령 관저/한옥의 기품이 전해지는 유관순 추모각
세번째 이야기: 나의 소나무 이야기
우리 소나무
목재 선별/벌목 과 운반/목재 보관/ 나무 다루는 법
네번째 이야기: 전통을 잇는다 맥을 잇는다
고건축에 대한 나의 애정
이 시대의 장인 정신
고건축 문화의 부흥기를 맞이하여
흥례문 사건
앞으로의 바람과 계획
약력
'34.한국역사의 이해 (독서>책소개) > 8.문화유산.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의 성곽 (0) | 2021.12.01 |
---|---|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0) | 2021.11.29 |
사라진 비문을 찿아서 (0) | 2021.11.27 |
신의 정원 조선왕릉 (0) | 2021.11.27 |
궁궐 그날의 역사 (0) | 2021.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