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삼략』은 무경칠서의 하나로 흔히 『육도』와 함께 『육도삼략』이라고 칭해지기도 한다. 중국식 병법의 진수가 응축되어 있어 예부터 병법서의 고전으로 널리 읽혀 왔다. 『삼략』은‘정략’을 주제로 한 병법서로서‘병가’고유의 이론보다‘유가’의 인의예지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왕도와 패도를 함께 실현하되 삼황오제의 덕치를 최상의 목표로 삼는다.
병가의 목표는 당연히 전쟁에서의 승리이지만 최종, 최선의 목적은 싸우지 않고 이기는 ‘덕치강국’을 이룩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병서의 특징이 전략, 전술 위주라면 이 책의 내용은 장수를 제어하고 병사를 통솔하는 것은 물론 군주의 덕과 교화, 외교와 안국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전력이지, 전력 자체가 국가통치의 전부가 아님을 강조한 면이 돋보인다.
병가의 목표는 당연히 전쟁에서의 승리이지만 최종, 최선의 목적은 싸우지 않고 이기는 ‘덕치강국’을 이룩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병서의 특징이 전략, 전술 위주라면 이 책의 내용은 장수를 제어하고 병사를 통솔하는 것은 물론 군주의 덕과 교화, 외교와 안국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전력이지, 전력 자체가 국가통치의 전부가 아님을 강조한 면이 돋보인다.
목차
책머리에
일러두기
해제
1. 상략上略
001(上-1) 영웅심을 촉발시켜라
002(上-2) 유약강강柔弱剛强의 원리
003(上-3) 순전히 강하기만 해서는 안 된다
004(上-4) 무력으로 처리해야 하는 일들
005(上-5) 천하 영웅을 모두 망라하라
006(上-6) 예와 녹을 함께 사용하라
007(上-7) 병사들에게 고루 술맛을 보게 한 장수
008(上-8) 우물을 다 파기 전에는 목마르다 말하지 말라
009(上-9) 명령과 군대 행정
010(上-10) 장수의 임무와 병졸의 의무
011(上-11) 자신을 용서하는 마음을 미루어
012(上-12) 상벌은 사졸을 다스리는 표리
013(上-13) 장수는 나라의 운명을 쥐고 있는 자
014(上-14) 장수로서 알고 있어야 할 정보들
015(上-15) 지녀서는 안될 네 가지 결점
016(上-16) 세 가지 계책
017(上-17) 경계로 삼아야 할 네 가지 조건
018(上-18) 재물로 보상하고 상으로 칭찬하라
019(上-19) 향내나는 미끼에 물고기가 물리듯
020(上-20) 군대를 일으키기 전에 먼저 해야 할 일들
021(上-21) 천리 밖에서 식량을 조달해 오는 군대
022(上-22) 망국의 징조
023(上-23) 도둑질의 발단
024(上-24) 혼란의 근원
025(上-25) 난의 화근
026(上-26) 나라의 간신
027(上-27) 나라가 대신 허물을 뒤집어쓴다
028(上-28) 나라가 대신 손해를 본다
029(上-29) 가지와 잎이 너무 무성하면
030(上-30) 총애만으로 부귀해지는 신하
031(上-31) 백성의 마음을 얻어야
2. 중략中略
032(中-1) 삼황과 오제, 그리고 삼왕과 오패
033(中-2) 독선을 부리지 말라
034(中-3) 지혜와 용기, 탐욕과 어리석음을 교묘히 이용하라
035(中-4) 어진 이가 재물의 유혹에 걸려들지 않도록 하라
036(中-5) 군대의 길흉을 점치지 못하게 하라
037(中-6) 지혜로운 자가 못된 임금을 위해 모책을 짜면
038(中-7) 덕과 위엄을 알맞게 활용하라
039(中-8) 궤휼과 기모를 쓸 수밖에
040(中-9) 삼략의 내용과 효용
041(中-10) 병권을 거두어들이는 방법
3. 하략下略
042(下-1) 위험의 시작과 망함의 징조
043(下-2) 음악이란 무엇인가
044(下-3) 겉으로 성공했으나 실패할 수밖에 없는 정책
045(下-4) 자신부터 바르게 하고
046(下-5) 다섯 가지 덕목
047(下-6) 명령과 행정
048(下-7) 천리 밖에 있는 현인
049(下-8) 하나를 얻고 만을 잃는 정치
050(下-9) 하늘의 도리를 거역하는 정치
051(下-10) 청렴결백한 자가 찾아오도록
052(下-11) 명철한 성인군자
053(下-12) 성왕이 무력을 쓸 수밖에 없는 경우
054(下-13) 호걸이 머리를 숙여야 나라가 편하다
055(下-14) 임금이 신하 자리에 앉으면
056(下-15) 어진 이를 질투하지 말라
057(下-16) 하나의 이익을 위해 만 사람을 손해나게 해서야
부록
Ⅰ. 武經七書武經七書 「三略」解 ………… 明, 劉寅
Ⅱ. 「史記」 留侯世家 …………… 漢, 司馬遷
Ⅲ. 「太公兵法」 逸文 …………… 淸, 汪宗沂(輯佚)
Ⅳ. 「素書」 …………………………宋, 張商英(注)
일러두기
해제
1. 상략上略
001(上-1) 영웅심을 촉발시켜라
002(上-2) 유약강강柔弱剛强의 원리
003(上-3) 순전히 강하기만 해서는 안 된다
004(上-4) 무력으로 처리해야 하는 일들
005(上-5) 천하 영웅을 모두 망라하라
006(上-6) 예와 녹을 함께 사용하라
007(上-7) 병사들에게 고루 술맛을 보게 한 장수
008(上-8) 우물을 다 파기 전에는 목마르다 말하지 말라
009(上-9) 명령과 군대 행정
010(上-10) 장수의 임무와 병졸의 의무
011(上-11) 자신을 용서하는 마음을 미루어
012(上-12) 상벌은 사졸을 다스리는 표리
013(上-13) 장수는 나라의 운명을 쥐고 있는 자
014(上-14) 장수로서 알고 있어야 할 정보들
015(上-15) 지녀서는 안될 네 가지 결점
016(上-16) 세 가지 계책
017(上-17) 경계로 삼아야 할 네 가지 조건
018(上-18) 재물로 보상하고 상으로 칭찬하라
019(上-19) 향내나는 미끼에 물고기가 물리듯
020(上-20) 군대를 일으키기 전에 먼저 해야 할 일들
021(上-21) 천리 밖에서 식량을 조달해 오는 군대
022(上-22) 망국의 징조
023(上-23) 도둑질의 발단
024(上-24) 혼란의 근원
025(上-25) 난의 화근
026(上-26) 나라의 간신
027(上-27) 나라가 대신 허물을 뒤집어쓴다
028(上-28) 나라가 대신 손해를 본다
029(上-29) 가지와 잎이 너무 무성하면
030(上-30) 총애만으로 부귀해지는 신하
031(上-31) 백성의 마음을 얻어야
2. 중략中略
032(中-1) 삼황과 오제, 그리고 삼왕과 오패
033(中-2) 독선을 부리지 말라
034(中-3) 지혜와 용기, 탐욕과 어리석음을 교묘히 이용하라
035(中-4) 어진 이가 재물의 유혹에 걸려들지 않도록 하라
036(中-5) 군대의 길흉을 점치지 못하게 하라
037(中-6) 지혜로운 자가 못된 임금을 위해 모책을 짜면
038(中-7) 덕과 위엄을 알맞게 활용하라
039(中-8) 궤휼과 기모를 쓸 수밖에
040(中-9) 삼략의 내용과 효용
041(中-10) 병권을 거두어들이는 방법
3. 하략下略
042(下-1) 위험의 시작과 망함의 징조
043(下-2) 음악이란 무엇인가
044(下-3) 겉으로 성공했으나 실패할 수밖에 없는 정책
045(下-4) 자신부터 바르게 하고
046(下-5) 다섯 가지 덕목
047(下-6) 명령과 행정
048(下-7) 천리 밖에 있는 현인
049(下-8) 하나를 얻고 만을 잃는 정치
050(下-9) 하늘의 도리를 거역하는 정치
051(下-10) 청렴결백한 자가 찾아오도록
052(下-11) 명철한 성인군자
053(下-12) 성왕이 무력을 쓸 수밖에 없는 경우
054(下-13) 호걸이 머리를 숙여야 나라가 편하다
055(下-14) 임금이 신하 자리에 앉으면
056(下-15) 어진 이를 질투하지 말라
057(下-16) 하나의 이익을 위해 만 사람을 손해나게 해서야
부록
Ⅰ. 武經七書武經七書 「三略」解 ………… 明, 劉寅
Ⅱ. 「史記」 留侯世家 …………… 漢, 司馬遷
Ⅲ. 「太公兵法」 逸文 …………… 淸, 汪宗沂(輯佚)
Ⅳ. 「素書」 …………………………宋, 張商英(注)
출판사 리뷰
중국고대 병학의 최고봉 무경칠서 중 제2서
최종최선의 목적은 싸우지 않고 이기는 덕치강국!
병가 고유 이론보다 인의예지 근간으로 한 유가적 병법
장수를 제어하고 병사를 통솔하는 힘은
『삼략』은 무경칠서의 하나로 흔히 『육도』와 함께 『육도삼략』이라고 칭해지기도 한다. 중국식 병법의 진수가 응축되어 있어 예부터 병법서의 고전으로 널리 읽혀 왔다. 『삼략』은‘정략’을 주제로 한 병법서로서‘병가’고유의 이론보다‘유가’의 인의예지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왕도와 패도를 함께 실현하되 삼황오제의 덕치德治를 최상의 목표로 삼는다.
『삼략』에 대하여
『삼략三略』은 『황석공기』, 혹은 『황석공삼략』이라고도 하며 무경칠서武經七書의 하나이다. 흔히 『육도』와 함께 『육도삼략』이라고 칭해지기도 한다.
『삼략』이라는 이름은 책 전체를 '상략', '중략', '하략'으로 나누어 그 이름이 지어진 것이며, 원문이 겨우 3,800여 자에 불과하다. 비교적 짧은 문장으로 정치나 병법의 요점을 정리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옛 기록에 모두 황석공黃石公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 역사 속에 생존했던 인물로 보기는 어렵고, 아마 유방을 도와 한 제국을 건설한 유후 장량張良의 고사를 근거로 지었을 가능성이 크다.
병가의 목표는 당연히 전쟁에서의 승리이지만 최종, 최선의 목적은 싸우지 않고 이기는 ‘덕치강국德治强國’을 이룩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병서의 특징이 전략, 전술 위주라면 이 책의 내용은 장수를 제어하고 병사를 통솔하는 것은 물론 군주의 덕과 교화, 외교와 안국安國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전력이지, 전력 자체가 국가통치의 전부가 아님을 강조한 면이 돋보인다.
『삼략』에는 중국식 병법의 진수가 응축되어 있어 예부터 병법서의 고전으로 널리 읽혀 왔다. 『손자병법』 등의 다른 병서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도 있지만 병법 사상을 계승한 면에서는 전혀 손색이 없으며 나름대로 군사 철학을 잘 반영하고 있다. 『손자병법』 이후의 병서는 거의 문답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삼략』은 특이하게 『군참軍讖』과 『군세軍勢』라는 책을 인용하고 그 내용에 부가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인용된 두 책은 지금은 없으며 가상의 책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 책에는 순수한 병법이나 군사, 국방, 용병술보다는 치도와 안국, 그리고 군사를 통솔하는 정치책략이 주제를 이루고 있다. 『손자병법』이 ‘전략戰略’을 주제로 한 책이라면 이 책은 ‘정략政略’을 주제로 하고 있으며, ‘병가’ 고유의 이론보다는 ‘유가’의 인의예지를 근간으로 하고, 병가의 관자管子, 손자孫子의 모략을 응용用하였으며, 왕도와 패도를 함께 실시하되 삼황三皇, 오제五帝의 덕치를 최상의 목표로 삼는 ‘병가 중의 잡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이 책이 무경칠서에 들게 된 이유는 병가의 목표는 당연히 전쟁에서의 승리이겠지만 최종, 최선의 목적은 ‘무전이승無戰而勝’을 위한 ‘덕치강국德治强國’이라는 데에서 출발한 것이다. 즉 병서의 특징이 전술, 전략 위주라면 이 책의 내용은 장수를 제어하고 병사를 통솔하는 것은 물론 군주의 덕과 교화, 외교와 안국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전력이지, 전력 자체가 국가통치의 전부가 아님을 강조한 면이 돋보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전쟁에 승리하고 나서의 내부 뒤처리와 군권의 회수, 작록과 봉지를 통한 대우는 왕권 상실의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책략이기도 하지만, 장수의 입장에서도 전공보신全功保身, 즉 이제껏 세운 공을 보전하면서 자신을 안전하게 지키는 호혜수단이라는 논리를 제시한 점은 매우 특이하다 할 수 있다.
최종최선의 목적은 싸우지 않고 이기는 덕치강국!
병가 고유 이론보다 인의예지 근간으로 한 유가적 병법
장수를 제어하고 병사를 통솔하는 힘은
『삼략』은 무경칠서의 하나로 흔히 『육도』와 함께 『육도삼략』이라고 칭해지기도 한다. 중국식 병법의 진수가 응축되어 있어 예부터 병법서의 고전으로 널리 읽혀 왔다. 『삼략』은‘정략’을 주제로 한 병법서로서‘병가’고유의 이론보다‘유가’의 인의예지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왕도와 패도를 함께 실현하되 삼황오제의 덕치德治를 최상의 목표로 삼는다.
『삼략』에 대하여
『삼략三略』은 『황석공기』, 혹은 『황석공삼략』이라고도 하며 무경칠서武經七書의 하나이다. 흔히 『육도』와 함께 『육도삼략』이라고 칭해지기도 한다.
『삼략』이라는 이름은 책 전체를 '상략', '중략', '하략'으로 나누어 그 이름이 지어진 것이며, 원문이 겨우 3,800여 자에 불과하다. 비교적 짧은 문장으로 정치나 병법의 요점을 정리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옛 기록에 모두 황석공黃石公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 역사 속에 생존했던 인물로 보기는 어렵고, 아마 유방을 도와 한 제국을 건설한 유후 장량張良의 고사를 근거로 지었을 가능성이 크다.
병가의 목표는 당연히 전쟁에서의 승리이지만 최종, 최선의 목적은 싸우지 않고 이기는 ‘덕치강국德治强國’을 이룩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병서의 특징이 전략, 전술 위주라면 이 책의 내용은 장수를 제어하고 병사를 통솔하는 것은 물론 군주의 덕과 교화, 외교와 안국安國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전력이지, 전력 자체가 국가통치의 전부가 아님을 강조한 면이 돋보인다.
『삼략』에는 중국식 병법의 진수가 응축되어 있어 예부터 병법서의 고전으로 널리 읽혀 왔다. 『손자병법』 등의 다른 병서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도 있지만 병법 사상을 계승한 면에서는 전혀 손색이 없으며 나름대로 군사 철학을 잘 반영하고 있다. 『손자병법』 이후의 병서는 거의 문답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삼략』은 특이하게 『군참軍讖』과 『군세軍勢』라는 책을 인용하고 그 내용에 부가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인용된 두 책은 지금은 없으며 가상의 책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 책에는 순수한 병법이나 군사, 국방, 용병술보다는 치도와 안국, 그리고 군사를 통솔하는 정치책략이 주제를 이루고 있다. 『손자병법』이 ‘전략戰略’을 주제로 한 책이라면 이 책은 ‘정략政略’을 주제로 하고 있으며, ‘병가’ 고유의 이론보다는 ‘유가’의 인의예지를 근간으로 하고, 병가의 관자管子, 손자孫子의 모략을 응용用하였으며, 왕도와 패도를 함께 실시하되 삼황三皇, 오제五帝의 덕치를 최상의 목표로 삼는 ‘병가 중의 잡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이 책이 무경칠서에 들게 된 이유는 병가의 목표는 당연히 전쟁에서의 승리이겠지만 최종, 최선의 목적은 ‘무전이승無戰而勝’을 위한 ‘덕치강국德治强國’이라는 데에서 출발한 것이다. 즉 병서의 특징이 전술, 전략 위주라면 이 책의 내용은 장수를 제어하고 병사를 통솔하는 것은 물론 군주의 덕과 교화, 외교와 안국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전력이지, 전력 자체가 국가통치의 전부가 아님을 강조한 면이 돋보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전쟁에 승리하고 나서의 내부 뒤처리와 군권의 회수, 작록과 봉지를 통한 대우는 왕권 상실의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책략이기도 하지만, 장수의 입장에서도 전공보신全功保身, 즉 이제껏 세운 공을 보전하면서 자신을 안전하게 지키는 호혜수단이라는 논리를 제시한 점은 매우 특이하다 할 수 있다.
'52.동양철학의 이해 (독서>책소개) > 1.동양철학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경십서 : 중국의 모든 지혜를 담은 10대 병법서 (0) | 2021.12.19 |
---|---|
도설천하 삼십육계 : “그들의 전략을 알아내라!”“그들의 전술은 정말 탁월했다! (0) | 2021.12.19 |
육도.삼략 (강태공) : 강태공이 지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병법서 (0) | 2021.12.19 |
육도 : 전쟁의 실제 이론과 천하경략의 대도 (0) | 2021.12.19 |
오자 : ≪오자吳子≫-≪손무자孫武子≫와 쌍벽을 이루는 실전적實戰的 병서兵書 (0) | 2021.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