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법계도法界圖' 해설을 통해 화엄사상의 초기 면모를 보여주는 균여의 가장 이른 시기 저술
이 책은 고려 균여(均如, 923~973)가 한국 화엄학의 시조인 의상(義湘, 625~702)의 '법계도法界圖'의 내용을 해설하여 기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법계도원통기’로 약칭된다. '법계도'에 대한 체계적인 해설서로 의상의 화엄사상이 통일신라와 고려 초기의 불교사상가들에게 어떻게 이해되었는지 보여준다.
균여는 '법계도'의 도시圖詩와 기記를 지은 이를 밝히는 대목에서 지엄智儼이 도시를 지었다는 설과 의상이 이 두 가지를 모두 지었다는 설을 소개한 뒤, 최치원의 입장을 옹호하며 후자의 설을 지지하고 있다. 아울러 이 책은 균여의 저술 가운데 시기적으로 가장 앞서는 문헌으로서 그의 화엄사상의 초기 면모를 잘 보여준다. 이 책에는 의상계는 물론 의상계가 아닌 승려들의 견해도 인용되고 있어서 '법계도'의 내용에 대한 당시 불교계의 다양한 이해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고려 균여(均如, 923~973)가 한국 화엄학의 시조인 의상(義湘, 625~702)의 '법계도法界圖'의 내용을 해설하여 기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법계도원통기’로 약칭된다. '법계도'에 대한 체계적인 해설서로 의상의 화엄사상이 통일신라와 고려 초기의 불교사상가들에게 어떻게 이해되었는지 보여준다.
균여는 '법계도'의 도시圖詩와 기記를 지은 이를 밝히는 대목에서 지엄智儼이 도시를 지었다는 설과 의상이 이 두 가지를 모두 지었다는 설을 소개한 뒤, 최치원의 입장을 옹호하며 후자의 설을 지지하고 있다. 아울러 이 책은 균여의 저술 가운데 시기적으로 가장 앞서는 문헌으로서 그의 화엄사상의 초기 면모를 잘 보여준다. 이 책에는 의상계는 물론 의상계가 아닌 승려들의 견해도 인용되고 있어서 '법계도'의 내용에 대한 당시 불교계의 다양한 이해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한글본 한국불교전서를 펴내며
일승법계도원통기一乘法界圖圓通記 해제
일러두기
제1장 서론 : 작자와 제목 해설
제2장 본론 : 본문 내용 해설
1. 「서분」에 대한 해설
2. 「정종분」에 대한 해설
1) 「법계도인」에 대한 해설
(1) 도인의 형태에 대한 해설
(2) 도인의 반시槃詩 내용에 대한 해설
(3) 반시를 읽는 방법에 대한 해설
2) 「법계도인」을 설명한 부분에 대한 해설
(1) ‘총석인의摠釋印意’에 대한 해설
(2) ‘별해인상別解印相’에 대한 해설
① 도인 전체적 모습(印文相) 설명에 대한 해설
② 도인의 글자 모습(字相) 설명에 대한 해설 (이상 上卷)
③ 도인의 내용 설명(釋文意)에 대한 해설
가. 도인의 반시槃詩 내용 설명에 대한 해설
가) 자리행自利行 단락의 설명에 대한 해설
나) 이타행利他行 단락의 설명에 대한 해설
다) 수행방편修行方便과 득익得益 단락의 설명에 대한 해설
(가) 수행방편 단락의 설명에 대한 해설
(나) 득익 단락의 설명에 대한 해설
㉮ 득익 단락에 대한 전체적 설명에 대한 해설
(이상 中卷) (전하지 않음)
㉯ 득익得益 단락의 문답 부분에 대한 해설
나. 연기다라니의 대의大義 설명에 대한 해설
가) 연기다라니의 뜻에 대한 직접적 설명에 대한 해설
(가) 수전법數錢法 설명에 대한 해설
㉮ 수전법數錢法의 개요 설명에 대한 해설
㉯ 중문中門과 즉문卽門의 설명에 대한 해설
(나) 보법普法의 설명에 대한 해설
나) 일승一乘과 삼승三乘의 다라니의 차이 설명에 대한 해설
다) 관련 문헌들에 대한 해설
3) 이 책의 제목과 의거하는 경론에 대한 해설
4) 보충 설명을 위한 문답들에 대한 해설
3. 「유통분」에 대한 해설
(이상 下卷)
간행 발문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일승법계도원통기一乘法界圖圓通記 해제
일러두기
제1장 서론 : 작자와 제목 해설
제2장 본론 : 본문 내용 해설
1. 「서분」에 대한 해설
2. 「정종분」에 대한 해설
1) 「법계도인」에 대한 해설
(1) 도인의 형태에 대한 해설
(2) 도인의 반시槃詩 내용에 대한 해설
(3) 반시를 읽는 방법에 대한 해설
2) 「법계도인」을 설명한 부분에 대한 해설
(1) ‘총석인의摠釋印意’에 대한 해설
(2) ‘별해인상別解印相’에 대한 해설
① 도인 전체적 모습(印文相) 설명에 대한 해설
② 도인의 글자 모습(字相) 설명에 대한 해설 (이상 上卷)
③ 도인의 내용 설명(釋文意)에 대한 해설
가. 도인의 반시槃詩 내용 설명에 대한 해설
가) 자리행自利行 단락의 설명에 대한 해설
나) 이타행利他行 단락의 설명에 대한 해설
다) 수행방편修行方便과 득익得益 단락의 설명에 대한 해설
(가) 수행방편 단락의 설명에 대한 해설
(나) 득익 단락의 설명에 대한 해설
㉮ 득익 단락에 대한 전체적 설명에 대한 해설
(이상 中卷) (전하지 않음)
㉯ 득익得益 단락의 문답 부분에 대한 해설
나. 연기다라니의 대의大義 설명에 대한 해설
가) 연기다라니의 뜻에 대한 직접적 설명에 대한 해설
(가) 수전법數錢法 설명에 대한 해설
㉮ 수전법數錢法의 개요 설명에 대한 해설
㉯ 중문中門과 즉문卽門의 설명에 대한 해설
(나) 보법普法의 설명에 대한 해설
나) 일승一乘과 삼승三乘의 다라니의 차이 설명에 대한 해설
다) 관련 문헌들에 대한 해설
3) 이 책의 제목과 의거하는 경론에 대한 해설
4) 보충 설명을 위한 문답들에 대한 해설
3. 「유통분」에 대한 해설
(이상 下卷)
간행 발문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책 속으로
'일승법계도원통기'는 내용상 '제일정조자(第一定造者)' '제이석제목(第二釋題目)' '제삼입문해석(第三入文解釋)'의 세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의 '정조자'는 '법계도'의 작자를 밝히는 부분인데, 여기에서는 먼저 기존의 설로서 도시(圖詩)는 지엄이 짓고 그 시의 설명문인 기(記) 부분만 의상이 지었다는 설과 도시와 기 모두 의상이 지었다는 설을 제시하고 있다. 균여는 후자의 견해를 지지하여 의상이 시와 기를 모두 지었다고 주장하는데, 그 근거로는 '법계도'의 서문에서 ‘이치에 의거하고 가르침에 근거하여 간략히 반시를 지었다(依理據敎 略制槃詩)’라고 하여 기의 작자인 의상이 스스로 반시 즉 도시를 지었음을 밝히고 있고, 지엄의 행장에 이 도시를 지었다는 언급이 없다는 것을 들고 있다.
두 번째의 '석제목'은 '법계도'의 제목을 설명한 것인데 균여는 ‘일승법계도합시일인오십사각이백일십자(一乘法界圖合詩一印五十四角二百一十字)’ 전체를 제목으로 간주하고 그 중 ‘일승법계도합시일인’을 정제(正題), ‘오십사각이백일십자’를 제각(題脚)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세 번째의 '입문해석'은 '법계도'의 본문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이다. 전통적인 불교학의 단락구분에 따라 본문을 ‘서분’, ‘정종분’, ‘유통분’으로 나누었다. ‘정종분’의 도시에 대한 해석에서는 30구를 의상의 구분에 따라 ‘자리행[自利行, 증분(證分)과 연기분緣起分)]’ ‘이타행(利他行)’ ‘수행방편급이익(修行方便及利益)’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일승법계도원통기'는 한국 화엄학의 시조인 의상의 '법계도'에 대한 가장 체계적인 해설서로서, 의상의 화엄사상이 통일신라와 고려초기의 불교 사상가들에게 어떻게 이해되고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헌이다. 신라와 고려초기 화엄사상가들의 '법계도'에 대한 이해는 고려후기에 편찬된 '법계도기총수록'에도 정리되어 있지만, 인용되고 있는 승려들의 사상적 폭에 있어서는 '법계도원통기'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즉 '법계도기총수록'에는 의상의 사상을 직접 계승한 직계 승려들의 견해만 인용되고 있는데 반하여 '법계도원통기'에는 의상계는 물론 의상계가 아닌 승려들의 견해도 인용되고 있어서 '법계도'의 내용에 대한 당시 불교계의 다양한 이해 방식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법계도기총수록'의 경우 기존의 '법계도' 해설서인 '대기'·'법기'·'진기' 등으로부터 중요한 내용만을 발췌하여 정리하고 있는 것과 달리'법계도원통기'는 '법계도'의 내용 전체에 대해 축자적(逐字的) 설명을 하면서 여러 다양한 견해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런 점에서 보다 더 자세한 '법계도' 해설서로 볼 수 있다. 다만 전체 3권 중에서 중권이 전하지 않으므로 그 온전한 모습을 이해하는 데에는 적지 않은 한계가 있다.
'일승법계도원통기'는 이러한 '법계도'에 대한 해설서로서의 가치 이외에 균여의 화엄사상, 특히 그의 초기 사상의 내용을 보여주는 자료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문헌이다. 이 책은 현존하는 균여의 여러 저술 중에서 시기적으로 가장 앞설 뿐 아니라 사상적으로도 이후의 저서들과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은 균여의 화엄학 이론에 대한 이해 중 일부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균여의 저서들은 기본적으로 공통된 사상 내용을 제시하고 있지만 일부 내용에 있어서는 저서들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 '법계도원통기'에는 다른 저술과 차이가 나는 내용이 여럿 보이며 그것은 이 책이 다른 저서들에 비하여 시기적으로 앞서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의 내용을 균여의 다른 저서들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그의 화엄학 이론의 기본 구조를 잘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그의 화엄학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그의 화엄사상이 어떻게 형성되어 갔는지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의 '정조자'는 '법계도'의 작자를 밝히는 부분인데, 여기에서는 먼저 기존의 설로서 도시(圖詩)는 지엄이 짓고 그 시의 설명문인 기(記) 부분만 의상이 지었다는 설과 도시와 기 모두 의상이 지었다는 설을 제시하고 있다. 균여는 후자의 견해를 지지하여 의상이 시와 기를 모두 지었다고 주장하는데, 그 근거로는 '법계도'의 서문에서 ‘이치에 의거하고 가르침에 근거하여 간략히 반시를 지었다(依理據敎 略制槃詩)’라고 하여 기의 작자인 의상이 스스로 반시 즉 도시를 지었음을 밝히고 있고, 지엄의 행장에 이 도시를 지었다는 언급이 없다는 것을 들고 있다.
두 번째의 '석제목'은 '법계도'의 제목을 설명한 것인데 균여는 ‘일승법계도합시일인오십사각이백일십자(一乘法界圖合詩一印五十四角二百一十字)’ 전체를 제목으로 간주하고 그 중 ‘일승법계도합시일인’을 정제(正題), ‘오십사각이백일십자’를 제각(題脚)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세 번째의 '입문해석'은 '법계도'의 본문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이다. 전통적인 불교학의 단락구분에 따라 본문을 ‘서분’, ‘정종분’, ‘유통분’으로 나누었다. ‘정종분’의 도시에 대한 해석에서는 30구를 의상의 구분에 따라 ‘자리행[自利行, 증분(證分)과 연기분緣起分)]’ ‘이타행(利他行)’ ‘수행방편급이익(修行方便及利益)’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일승법계도원통기'는 한국 화엄학의 시조인 의상의 '법계도'에 대한 가장 체계적인 해설서로서, 의상의 화엄사상이 통일신라와 고려초기의 불교 사상가들에게 어떻게 이해되고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헌이다. 신라와 고려초기 화엄사상가들의 '법계도'에 대한 이해는 고려후기에 편찬된 '법계도기총수록'에도 정리되어 있지만, 인용되고 있는 승려들의 사상적 폭에 있어서는 '법계도원통기'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즉 '법계도기총수록'에는 의상의 사상을 직접 계승한 직계 승려들의 견해만 인용되고 있는데 반하여 '법계도원통기'에는 의상계는 물론 의상계가 아닌 승려들의 견해도 인용되고 있어서 '법계도'의 내용에 대한 당시 불교계의 다양한 이해 방식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법계도기총수록'의 경우 기존의 '법계도' 해설서인 '대기'·'법기'·'진기' 등으로부터 중요한 내용만을 발췌하여 정리하고 있는 것과 달리'법계도원통기'는 '법계도'의 내용 전체에 대해 축자적(逐字的) 설명을 하면서 여러 다양한 견해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런 점에서 보다 더 자세한 '법계도' 해설서로 볼 수 있다. 다만 전체 3권 중에서 중권이 전하지 않으므로 그 온전한 모습을 이해하는 데에는 적지 않은 한계가 있다.
'일승법계도원통기'는 이러한 '법계도'에 대한 해설서로서의 가치 이외에 균여의 화엄사상, 특히 그의 초기 사상의 내용을 보여주는 자료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문헌이다. 이 책은 현존하는 균여의 여러 저술 중에서 시기적으로 가장 앞설 뿐 아니라 사상적으로도 이후의 저서들과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은 균여의 화엄학 이론에 대한 이해 중 일부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균여의 저서들은 기본적으로 공통된 사상 내용을 제시하고 있지만 일부 내용에 있어서는 저서들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 '법계도원통기'에는 다른 저술과 차이가 나는 내용이 여럿 보이며 그것은 이 책이 다른 저서들에 비하여 시기적으로 앞서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의 내용을 균여의 다른 저서들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그의 화엄학 이론의 기본 구조를 잘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그의 화엄학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그의 화엄사상이 어떻게 형성되어 갔는지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본문 중에서
관련 자료
'한글본 한국불교전서'는 한문으로 된 '한국불교전서'에 실린 총323편의 불교문헌 전체를 알기 쉬운 우리말로 완역하여 출판한다.
'한국불교전서'는 고려 대각국사 의천이 집성한 '속장경續藏經' 간행 이후 우리나라의 불교전적을 집대성한 것으로 동국대학교출판부가 1989년에 전 10책을 간행하였고, 이후에 4책의 보유편이 나왔다. 현재 사기私記, 사지寺誌 등을 정리하는 후속작업이 계속 추진되고 있다.
'한글본 한국불교전서'는 2007년부터 불교학자들과 함께 문·사·철을 망라한 번역·연구자들을 다양하게 참여시켜 증의, 교감, 주석, 해제 등 학술적 완성도를 높인 번역 작업을 통해 출간되고 있다.
'한국불교전서'는 고려 대각국사 의천이 집성한 '속장경續藏經' 간행 이후 우리나라의 불교전적을 집대성한 것으로 동국대학교출판부가 1989년에 전 10책을 간행하였고, 이후에 4책의 보유편이 나왔다. 현재 사기私記, 사지寺誌 등을 정리하는 후속작업이 계속 추진되고 있다.
'한글본 한국불교전서'는 2007년부터 불교학자들과 함께 문·사·철을 망라한 번역·연구자들을 다양하게 참여시켜 증의, 교감, 주석, 해제 등 학술적 완성도를 높인 번역 작업을 통해 출간되고 있다.
출판사 리뷰
'일승법계도원통기(一乘法界圖圓通記)'는 958년 7월에 균여가 개경의 마하갑사(摩訶岬寺)에서 '법계도'에 대하여 강의한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서 여러 차례의 편집 과정을 거쳐 1287년에 현재와 같은 형태로 완성되었다. '법계도'는 의상이 스승인 지엄(智儼)의 가르침에 입각하여 화엄 사상을 7언(言) 30구(句)의 시(詩)로 압축하여 표현하고 이를 여러 번의 굴곡을 거쳐 처음과 끝이 이어지게 하는 반시(槃詩)의 형태로 배치한 후 그에 대해 스스로 그 내용을 설명하는 내용을 붙여서 1卷의 책으로 만든 것이다. 원래는 반시 부분만을 ‘법계도’라고 하고 설명 부분은 ‘기(記)’라고 하며, 양자를 합하여 '법계도기'라고 하지만 일반적으로 도(圖)와 기(記)를 합하여 '법계도'라고 부른다. 제목 중의 원통(圓通)은 균여의 법호인 원통수좌(圓通首座)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원통기(圓通記)는 ‘원통수좌 균여의 강의를 기록한 글’이라는 뜻이다. 본래는 상?중?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현재는 중권은 전하지 않고 상권과 하권 두 권만 전하고 있다.
'일승법계도원통기'는 현존하는 균여의 저술 중에서 유일하게 목판이 전하지 않는 문헌이다. 본래는 1287년에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던 것으로 확인되지만 현재는 목판본을 옮겨 적은 후대의 필사본만이 전해지고 있다. 현재 전해지는 '일승법계도원통기'의 저본이 되는 1287년의 목판본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은 이 책의 발문에 자세히 정리되어 있다. 현존하는 균여의 저술 중에서 유일하게 불완전하게 전해지는 책이다. 현재까지 동국대학교소장본과 규장각소장본, '균여대사화엄학전서(均如大師華嚴學全書' 수록본 등이 알려져 있는데 내용상의 차이는 거의 없다. '한국불교전서'에서는 동국대학교소장본을 저본으로 하고 나머지 필사본들을 대조하여 교감하였다.
'일승법계도원통기'는 현존하는 균여의 저술 중에서 유일하게 목판이 전하지 않는 문헌이다. 본래는 1287년에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던 것으로 확인되지만 현재는 목판본을 옮겨 적은 후대의 필사본만이 전해지고 있다. 현재 전해지는 '일승법계도원통기'의 저본이 되는 1287년의 목판본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은 이 책의 발문에 자세히 정리되어 있다. 현존하는 균여의 저술 중에서 유일하게 불완전하게 전해지는 책이다. 현재까지 동국대학교소장본과 규장각소장본, '균여대사화엄학전서(均如大師華嚴學全書' 수록본 등이 알려져 있는데 내용상의 차이는 거의 없다. '한국불교전서'에서는 동국대학교소장본을 저본으로 하고 나머지 필사본들을 대조하여 교감하였다.
'49.불교의 이해 (독서>책소개) > 1.불교입문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조국사 지눌의 생애와 사상 (0) | 2021.12.21 |
---|---|
일꾼 의천 : 왕자의 권세도, 깨닭음조차도 버리고 일을 선택했던 왕자 승통 (고려시대) (0) | 2021.12.21 |
의상대사 구법 건축 순례행기 (0) | 2021.12.21 |
길에서, 원효를 만나다 : 1300년 전 원효의 꿈을 쫒아 떠난 기행 에세이 (0) | 2021.12.21 |
원효의 금강삼매경론 (0) | 2021.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