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불교의 이해 (독서>책소개)/2.한국불교사찰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동방박사님 2022. 2. 23. 09:09
728x90

책소개

조선시대는 숭유억불의 시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황은 좀 더 복잡하다. 불교는 시대와 공조를 통해 존립과 계승을 모색했고 한국불교의 유무형적 자산과 원형은 조선후기에 형성되었다. 저자는 불교사 연구가 식민지기 이후의 부정론과 단절적 인식에서 탈피하여 역사적 실상을 연속적 관점에서 규명해야 하며 조선이라는 시공간적 조건과 불교전통의 내적흐름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임제법통과 화엄교햑의 이중구조를 중심으로 조선후기 불교사를 연구한 것이다.

목차

머리말

서론

제1부 불교사의 전개와 불교의 존립기반
1장 불교시책의 전개 양상과 특징
2장 불교의 존립기반과 사원경제
3장 불교신앙의 유형ㄱ와 시대적 특성

제2부 불교 계파와 법통의 성립
1장 청허계의 성립과 편양파의 융성
2장 부휴계의 특성과 정체성
3장 불교 법통의 성립과 역사적 의미

제3부 불교의 사상적 지향과 교학 전통
1장 17세기 선교겸수의 방향과 수행체계의 정립
2장 18세기 강학의 성행과 화엄교학의 중시
3장 19세기 선 논쟁의 전개와 불교사적 함의

제4부 조선시대 불교의 시대성 추구
1장 유불의 대립과 불교의 공존 모색
2장 심성 인식의 역사적 전개와 불교심성론
3장 불교의 시대적 변용과 전통 인식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 : 김용태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도쿄대학 인도철학불교학과에서 수학하며 중국 송대 화엄을 주제로 석사논문을 제출하기도 했다. 한국사상사학회·불교학연구회 연구이사를 역임했고,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임제법통과 교학전통』(2010), 『Glocal History of Korean ...
 
 
 

'49.불교의 이해 (독서>책소개) > 2.한국불교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종교 불교  (0) 2022.02.23
고려시대의 불교와 상도개경  (0) 2022.02.23
고려 불교사의 탐색  (0) 2022.02.23
조선 불교사상사  (0) 2022.02.23
토픽 한국불교사  (0) 2022.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