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지정학적 한계를 넘어,
교류와 협력으로 열어갈 공동 평화의 길
2018년 세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이제 한반도에도 진정한 평화의 시대를 만들어갈 기회가 찾아왔다. 그러나 한반도가 나아갈 평화와 번영의 미래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다. 동북아의 역사와 지정학적 특성을 고려할 때, 북핵 문제의 해결과 한반도 평화 체제 수립은 동북아 질서와도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 한반도에 좀 더 견고한 평화를 정착시키고 남북 공동 번영의 길을 넘어 통일의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한반도 주변국들의 생각과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특히 미중 관계로 대표되는 새로운 국제 질서의 변화 속에서, 남북 관계를 중심으로 동북아 지역의 이해 국가들과 협력을 확대해나가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다양한 시각이 존재하는 동북아 국가들의 이해관계 속에서 한반도의 미래를 바라본 이 책은, 한반도의 오늘과 미래를 진단하고 성찰해, 평화 공존과 공동 번영의 길을 열어 통일로 나아가는 데 기여할 것이다.
교류와 협력으로 열어갈 공동 평화의 길
2018년 세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이제 한반도에도 진정한 평화의 시대를 만들어갈 기회가 찾아왔다. 그러나 한반도가 나아갈 평화와 번영의 미래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다. 동북아의 역사와 지정학적 특성을 고려할 때, 북핵 문제의 해결과 한반도 평화 체제 수립은 동북아 질서와도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 한반도에 좀 더 견고한 평화를 정착시키고 남북 공동 번영의 길을 넘어 통일의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한반도 주변국들의 생각과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특히 미중 관계로 대표되는 새로운 국제 질서의 변화 속에서, 남북 관계를 중심으로 동북아 지역의 이해 국가들과 협력을 확대해나가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다양한 시각이 존재하는 동북아 국가들의 이해관계 속에서 한반도의 미래를 바라본 이 책은, 한반도의 오늘과 미래를 진단하고 성찰해, 평화 공존과 공동 번영의 길을 열어 통일로 나아가는 데 기여할 것이다.
목차
1부 동북아 국제 관계와 한반도
1장동북아 국제 관계와 한반도 통일|박재규|
2장한반도 평화와 남북 관계: 현실과 대안|김근식|
3장미중 관계와 한반도 미래|김동엽|
4장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경제 공동체|조재욱|
2부 북한의 대외 관계와 한반도 평화
5장북미 관계 변화와 한반도 평화|문용일|
6장북중 관계 변화와 한반도 평화|정재흥|
7장북일 관계 변화와 한반도 평화|조진구|
8장북러 관계 변화와 한반도 평화: 러시아의 대북한 외교를 중심으로|김성호|
3부 한반도 통일에 대한 인식과 통일 외교
9장미국의 대한반도 정책과 한미 관계|박원곤|
10장중국의 대한반도 정책과 한중 관계|이상만|
11장일본의 대한반도 정책과 한일 관계|이웅현|
12장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과 한러 관계|고상두|
1장동북아 국제 관계와 한반도 통일|박재규|
2장한반도 평화와 남북 관계: 현실과 대안|김근식|
3장미중 관계와 한반도 미래|김동엽|
4장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경제 공동체|조재욱|
2부 북한의 대외 관계와 한반도 평화
5장북미 관계 변화와 한반도 평화|문용일|
6장북중 관계 변화와 한반도 평화|정재흥|
7장북일 관계 변화와 한반도 평화|조진구|
8장북러 관계 변화와 한반도 평화: 러시아의 대북한 외교를 중심으로|김성호|
3부 한반도 통일에 대한 인식과 통일 외교
9장미국의 대한반도 정책과 한미 관계|박원곤|
10장중국의 대한반도 정책과 한중 관계|이상만|
11장일본의 대한반도 정책과 한일 관계|이웅현|
12장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과 한러 관계|고상두|
출판사 리뷰
한반도와 동북아의 미래를 위한 구상과 전략
12인의 전문가가 대학생 눈높이에 맞춰 풀어낸 한반도와 동북아
현재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는 1945년 시기와 비견될 수 있는 지구적·지역적 차원의 구조적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갈수록 미국과 중국 간의 경쟁과 대립이 격화되면서 세계 안보 정세가 급변하고 있고 동북아시아 정세는 더욱 불안하다. 미국의 대중 포위 전략과 중국의 확장 전략이 가장 첨예하게 충돌하는 곳이 동북아 지역이고 그 시작점이 바로 한반도이다. 국제 구조의 변화에 따른 강대국 간 국제정치가 한국의 선택을 강요하고 있는 형국이다. 그러나 주변 강대국들의 이익이 교차하는 전략적 요충지인 동북아에서 한국이 중견 국가로 부상한 데는 중대한 시대적 함의가 있다. 1945년 이후 통합적 국가 건설의 ‘실패’와 전쟁의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고, 다시금 찾아온 기회에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만들어나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전략을 수립하고 추진해나가야 할 때이다. 동북아 지역에서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은 역내 국가들 모두에게 불행했던 역사의 반복을 막는 동시에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를 만들어가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국과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_19쪽에서
12명의 전문가들이 한반도와 주변국 간의 관계를 분석해 미래를 위한 구상과 전략을 제시한 이 책은 3부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국제 구조의 변화에 따른 강대국 간의 힘겨루기가 한국의 선택을 강요하는 형국에서, 한국이 중견 국가로 부상할 길을 모색한다.
2장에서는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한반도 평화의 방도로서, 남북 관계 진전과 연동된 한반도 평화를 고찰한다.
3장에서는 뛰어난 외교력을 바탕으로 한반도의 비핵 평화와 동북아의 평화 번역을 이끌 ‘견인자’로서의 길을 모색한다.
4장에서는 오늘날 동북아가 주목받게 된 배경과 그 정치?경제적 측면을 살피고, 동북아 공동체의 진전을 위한 우리 정부의 과제가 무엇인지 검토한다.
5장에서는 한반도 정세 변화의 핵심 축인 북미 관계를 냉전 시기부터 2018년 북미 회담에 이르기까지 개괄한다.
6장에서는 시진핑의 1인 지배 체제 출현과 북중 관계 강화를 중점적으로 분석해 우리의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7장에서는 전후의 북일 관계를 개괄적으로 살피고, 양국 간 국교 정상화 교섭에서 쟁점이 된 것이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8장에서는 러시아와 북한 외교의 변천에 따라 국제 관계가 어떻게 변모해왔는지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9장에서는 조정과 갈등으로 부침을 거듭하며 현재에 이른 한미 관계를, 공식적 관계가 시작된 1882년 제물포조약부터 개괄한다.
10장에서는 순망치한의 관계인 한·북·중이 역사적 동질감을 바탕으로 전략적 이해관계의 교집합을 확대해가기 위한 일보로, 대한반도 정책의 변화를 점검한다.
11장 현재적?지리적 관점에서 한국을 바라보는 일본과, 역사적?경험적 관점에서 일본의 바라보는 한국이 서로의 시각 차이를 극복하고 경쟁과 협력으로 나아갈 방법을 모색한다.
12장에서는 남북 어느 편으로도 기울지 않고 ‘합리적 중립’을 취하고 있는 러시아를 외교적 우군으로 만들기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를 살펴본다.
12인의 전문가가 대학생 눈높이에 맞춰 풀어낸 한반도와 동북아
현재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는 1945년 시기와 비견될 수 있는 지구적·지역적 차원의 구조적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갈수록 미국과 중국 간의 경쟁과 대립이 격화되면서 세계 안보 정세가 급변하고 있고 동북아시아 정세는 더욱 불안하다. 미국의 대중 포위 전략과 중국의 확장 전략이 가장 첨예하게 충돌하는 곳이 동북아 지역이고 그 시작점이 바로 한반도이다. 국제 구조의 변화에 따른 강대국 간 국제정치가 한국의 선택을 강요하고 있는 형국이다. 그러나 주변 강대국들의 이익이 교차하는 전략적 요충지인 동북아에서 한국이 중견 국가로 부상한 데는 중대한 시대적 함의가 있다. 1945년 이후 통합적 국가 건설의 ‘실패’와 전쟁의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고, 다시금 찾아온 기회에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만들어나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전략을 수립하고 추진해나가야 할 때이다. 동북아 지역에서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은 역내 국가들 모두에게 불행했던 역사의 반복을 막는 동시에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를 만들어가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국과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_19쪽에서
12명의 전문가들이 한반도와 주변국 간의 관계를 분석해 미래를 위한 구상과 전략을 제시한 이 책은 3부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국제 구조의 변화에 따른 강대국 간의 힘겨루기가 한국의 선택을 강요하는 형국에서, 한국이 중견 국가로 부상할 길을 모색한다.
2장에서는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한반도 평화의 방도로서, 남북 관계 진전과 연동된 한반도 평화를 고찰한다.
3장에서는 뛰어난 외교력을 바탕으로 한반도의 비핵 평화와 동북아의 평화 번역을 이끌 ‘견인자’로서의 길을 모색한다.
4장에서는 오늘날 동북아가 주목받게 된 배경과 그 정치?경제적 측면을 살피고, 동북아 공동체의 진전을 위한 우리 정부의 과제가 무엇인지 검토한다.
5장에서는 한반도 정세 변화의 핵심 축인 북미 관계를 냉전 시기부터 2018년 북미 회담에 이르기까지 개괄한다.
6장에서는 시진핑의 1인 지배 체제 출현과 북중 관계 강화를 중점적으로 분석해 우리의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7장에서는 전후의 북일 관계를 개괄적으로 살피고, 양국 간 국교 정상화 교섭에서 쟁점이 된 것이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8장에서는 러시아와 북한 외교의 변천에 따라 국제 관계가 어떻게 변모해왔는지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9장에서는 조정과 갈등으로 부침을 거듭하며 현재에 이른 한미 관계를, 공식적 관계가 시작된 1882년 제물포조약부터 개괄한다.
10장에서는 순망치한의 관계인 한·북·중이 역사적 동질감을 바탕으로 전략적 이해관계의 교집합을 확대해가기 위한 일보로, 대한반도 정책의 변화를 점검한다.
11장 현재적?지리적 관점에서 한국을 바라보는 일본과, 역사적?경험적 관점에서 일본의 바라보는 한국이 서로의 시각 차이를 극복하고 경쟁과 협력으로 나아갈 방법을 모색한다.
12장에서는 남북 어느 편으로도 기울지 않고 ‘합리적 중립’을 취하고 있는 러시아를 외교적 우군으로 만들기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를 살펴본다.
'25.한반도평화 연구 (박사전공>책소개) > 1.한반도평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 동아시아 한반도, 유럽통일 (0) | 2022.04.26 |
---|---|
통합 그 이후를 생각하다 (0) | 2022.04.03 |
김근식의 대북정책 바로잡기 (0) | 2022.03.20 |
근대의 이중과제와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0) | 2022.03.07 |
한반도 열차, 시베리아 대륙횡단 철의 실크로드의 길을 찾아서 (0) | 2022.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