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한국역사 [역사지식여행] 113

[웹북] 08월 24일 (1618 허균 사형집행)

08월24일 한국사 주요사건 일지1362 탐라의 목호(牧胡), 만란을 일으킴 / 1618 허균 사형집행 / 1935패션디자이너 앙드레김 출생 / 1973 핀란드와 국교수립 /1992 중국과 국교수립 , 대만과 단교 / 2002 음악공유 사이트 소리바다 서비스 재개 / 2006국제 천문연맹 (IAU) 명왕성 (Pluto) 태양계 행성에서 퇴출 결정허균허균 許筠신상정보출생일 1569년 12월 10일 / 출생지 조선 강원도 강릉대도호부 / 사망일 1618년 8월 24일 (48세) / 사망지 조선 한성부 / 국적 조선 / 직업 문관 / 본관 양천 / 부모 허엽(부), 강릉 김씨(모) / 형제자매 허난설헌(누나), 허봉(형), 허성(형) / 허균(許筠, 1569년 ~ 12월 10일 1618년)은 조선의 문신이다...

[웹북] 08월 23일 (1971 실미도 특수부대원 난동)

08월 23일 한국사 주요사건 일지1899 독립운동가 김법린 출생 / 1971 실미도 특수부대원 난동 / 1973 천마총서 천마도 발굴  / 1974 긴급조치 1.4호 해제 / 1999 한중 첫 국방회담이 베이징에서 개최 / 2005 조용필 평양 류경정주영 체육관에서 광복 60주년 조용필 평양공연 / 2005 청계천 광통교 93년만에 복원 실미도 사건(實尾島事件)실미도 사건(實尾島事件)은 1971년 8월 23일 실미도에서 북한 침투작전 훈련을 받던 중 가혹한 대우를 견디지 못한 684부대원들이 무장 탈영해 인천을 경유하여 서울로 진입한후 군·경과 교전을 벌이다가 숨진 사건으로 실미도에서 교관 및 기간병들을 살해하고 탈출한 부대원 23명은 버스를 탈취하여 서울로 진입한 뒤 총격전을 벌이다가 수류탄으로 자폭..

[웹북] 08월 22일 (1949 반민특위 폐지안 국회통과 )

08월 22일 한국사 주요사건 일지1904 제1차 한일 협약 체결 / 1910 한일 합병조약 체결 / 1911조선교육령 공포 / 1946 국립서울대학교 신설 / 1949 반민특위 폐지안 국회통과 / 1987 서울 시내버스 총파업 / 1990니콰라과와 국교수립 / 1991 알바니아와 국교수립반민족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족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反民族行爲特別調査委員會약칭 반민특위 결성 1948년 10월 22일 / 설립자 대한민국 제헌 국회 / 해산 1949년 10월 / 유형 위원회 / 목적 일제에 협력한 친일파 청산 / 활동 지역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 위원장 김상덕(金尙德)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反民族行爲特別調査委員會), 약칭 반민특위(反民特委)는 일제강점기에 일본 제국과 적극적으로 협조한 자를 조사하기 위..

[웹북] 08월 21일 (1545 을사사화)

08월21일 한국사 주요 사건1545 을사사화 / 1821 한국최초 천주교신부 김대건 출생  / 1919 안창호 임정기관지 "독립" 창간 / 1976 청량리 하수처리장 준공  / 1980 전국 주요지휘관 회의에서 전두환장군을 국가원수로 추대 / 1981 경제기획원, 제5차 경제개발 5개년 게획발표 / 1985 한국, 국제이동위성기구 가입 / 1986 구 중앙청을 개조한 국립 중앙박물관 개관 / 2003 대구유니버시아드 대회 개최 / 2003 제22회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  대구광역시에서 개막을사사화(乙巳士禍)는 1545년(명종 즉위년) 조선 왕실의 외척인 대윤(大尹) 윤임과 소윤(小尹) 윤원형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림(士林)의 화옥(禍獄)으로 소윤이 대윤을 몰아낸 사건이다.배경중종은 제1계비 장경왕후(章敬..

[웹북] 08월 19일 (1270 삼별초, 진도 도착)

09월 19일 한국사 주요 사건일지1270 삼별초, 진도 도착 / 1907 독립운동가 이남규 사망 / 1907 대한자강회 해산령 / 1964 국제의원연맹 (IPU)가맹 /1988 서경원 의원 밀입국 (8.19~8.21) / 1993 초고속정보통신망 기본계획수립 / 1993 국회, 김영삼 대통령의 금융실명제 승인 / 1997 북한경수로 착공 / 2003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헌법 재판소 재판관 전효숙 부장판사 지명삼별초삼별초(三別抄)는 몽골 침략기에 그에 대항하던 고려의 무장 세력이며, 원래는 하나의 단일한 단체가 아니었다. 뒤에 삼별초의 난을 일으킨다. 다른 반란군과는 달리 원래는 비정규군이었다가 정규군으로 재편된 군대였다. 제주도에서 궤멸하였다는 것이 통설이나, 일부 세력이 류큐 왕국(오키나와 지역)으..

[웹북] 08월 16일 (1657 송시열, 시정18조 상소)

08월 16일 한국사 주요사건 일지1657 송시열, 시정18조 상소 / 1914 경원선 전구간(용산-원산) 개통  / 1918 일제, 곡류수용령 공포 / 1946 서울시,"서울 자유시" 로 경기도로 부터 독립 / 1949 세계보건기구 WHO가입 / 1951 서울-부산간 전화 개통 /1961 한국경제인협회 (전경련전신) 창립 / 1972 문교부, 기초한자 1800자 확정송시열 송시열 宋時烈 조선의 이조판서  /  재임 1658년~1660년 / 임금 조선 효종 / 조선 현종이름별호 대로(大老), 송자(宋子), 송부자(宋夫子) / 자 영보 / 호 우암, 우재, 교산노부, 남간노수, 화양동주, 화양부자 / 아호 송성뢰, 송성래 / 호 문정신상정보출생일 1607년 12월 30일 / 출생지 조선 충청도 옥천군 이내..

[웹북] 대한민국 정부수립 선포식 (1948.8.15)

대한민국 정부 수립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이후 항일전쟁. 일본패망후 남한과 북한이 각각의 반쪽 정부를만든다. 남한은 1948년 8월 15일에 총선거를 통해 초대 국회를 구성, 국회의원들의 간접 선거로 초대 대통령 이승만이 선출되었다.개요1945년 12월의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에서 미·영·중·소 4개국에 의한 최고 5년의 신탁통치안이 결정되었다. 이 안이 국내에 전해지자, 임정을 중심으로 국민총동원위원회가 결성되어 반탁운동이 전개되었다. 이 신탁운동을 둘러싸고 임시정부측은 결사적으로 반탁을 주장한 반면, 박헌영의 조선공산당등 좌익측은 찬탁을 주장하여 의견이 엇갈리게 되었고, 이리하여 좌우의 제휴에 의한 민족통일공작은 절망적인 것이 되었다.이러한 와중에서 1946년 1월, 미소공..

[웹북] 08월 12일 (1960년 장면내각 출범)

1912 독립운동가 안춘생 출생 / 1945 38선 설정 / 독립운동가 이홍장 사망 / 1960 장면내각 출범 / 1993 금융실면제 실시 / 2005 조오련 3부자, 울릉도-독도 횡단 성공 /2010 패선디자이너 앙드레심 사망장면(張勉장면(張勉)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였으며 훗날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었다. 1956년 8월 15일부터 1960년 4월 25일까지 대한민국의 제4대 부통령이었다. 1950년 11월 23일부터 1952년 4월 23일까지 제2대 대한민국 국무총리를, 1960년 8월 19일부터 1961년 5월 17일까지 제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다.초명은 장지태(張志兑), 아호(雅號)는 ..

[웹북] 이차돈 순교 (527)

이차돈경주 이차돈 순교비경주 백률사 터에 있었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의 이차돈 관련 기념비경주 이차돈 순교비(慶州 異次頓 殉敎碑)는 신라 법흥왕 14년(527년) 불교 공인을 위해 순교한 이차돈을 추모하고자 건립한 석비(石碑)이다. 2014년 2월 3일 문화재청에서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이 비의 건립연대는 명확하지 않지만, 삼국유사(三國遺事)』 「원종흥법(元宗興法)」과 원화첩(元和帖)에 따라 신라 헌덕왕 9~10년(817~818년)으로 추정된다.현재 이차돈 순교비는 각각 별석으로 조성된 받침돌과 6면의 몸돌로 구성되어 있다. 몸돌 상단에 원기둥 형태의 촉이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원래 덮개돌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몸돌 제1면에는 이차돈의 순교 장면이 새겨져 있는데, 삼국사기(三..

[웹북] 08월 04일 (1467 이시애의 반군토벌)

08월 04일 한국사 주요 사건일지1467 이시애의 반군토벌 / 1892 출생 독립운동가, 정치인, 조동호 / 1896 전국을 11도로 지방행정제도 개혁 / 1926 사망 극작가 김우진 / 1950 낙동강 방어선 구축 / 1952 사망 소설다 정인택 / 1957 전국에 수해 (사망247. 이재민 6맘녀명) / 1964 한국군의 월남 파병안 국회통과  / 1970 사망 서양화가 이봉상 / 1986 독립 기념관화재 / 1995 정보화촉진기본법 공포 / 1996 남산 안기부청사 철거 / 2003 정몽헌 현대아산이사호 회장 투신자살이시애의 난(李施愛ㅡ亂)이시애의 난(李施愛ㅡ亂)은 이시애의 난(李施愛ㅡ亂)은 1467년(세조 13년) 5월부터 8월까지 함경도 길주의 호족 이시애 등이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일으..

[웹북] 07월 31일 (2009년 허준의 동의보감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07월31일 주요사건 일지1)1997년 대한제국 군대해산 조칙발표  2)한일조약 비준 저지를 위한 "조국수호국민협의회 결성"  3)1980년 문공부, 정기간행물 172개 등록취소  4)1980년 계엄사령부, 김대중 등 37명을 내란 음모혐으로 기소  5)1992년 신행주대교 공사중 붕괴  6)3008년 소설가 이청준 사망  6)2009년 동의보감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의보감》(東醫寶鑑)은 허준(1539∼1615)이 선조의 명을 받아 중국과 한국의 의학 서적(한의학)을 하나로 모은 백과사전으로서, 1596년(선조 29)부터 편찬하여 1610년(광해 2)에 완성된 의학서이다.당시 의학을 집대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허준이 직접 간행에 관여하여 나온 동의보감의 어제본은 국립중앙..

[웹북] 07월28일 (우리나라 최초의 신도시 화성(현재수원) 기공 1794)

07월27일 한국사 주요사건1)1794 우리나라 최초의 신도시 화성(현재수원) 기공.  2)1953년 제1차 판문점 정전회담 개최. 3)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장악한 혁명정부가 혁명재판을 개정. 3)1981년 인도네시아와 해상화물 분담에 관한 해운협정체결. 4)1981년 정부 교육세신설.  5)2004년 현대자동차 누적 수출대수 1000만대 돌파.수원 화성 유네스코 세계유산수원 화성(水原 華城) / (Hwaseong Fortress, Suwon) /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의 사적종목 사적(1963년 1월 21일 지정) / 면적 130ha / 시대 조선 정조 20년(1796) / 관리 수원시위치수원 장안동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수원 장안동수원 장안동수원 장안동(대한민국)주소 경기..

[웹북] 휴전협정 조인 (1953)

07월27일 한국사 주요사건1)1862년소설가 이인직출생. 2)1895년 갑오개혁 시행. 3)1914년 한글학자 주시경 사망. 4)1916년 화가 이봉상 출생. 5)1938년 서울시장에 가격표를 붙인 상품등장.  6)1953년 휴전협정 조인. 7)1962년 니제르와 국교수립. 8)1969년 양평서 시외버스 남한강추락, 50여명사망. 9)1981년 경남거창서 신석기시대 지석군발견. 10)1985년 63빌딩준공. 11)2002년 정부"항공기운항안전법"시행>기내 휴대폰. 흡연 벌금 최고 100만원.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유형 : 휴전 협정서명일 1953년 7월 27일서명장소 판문점(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화박물관)서명자 유엔 마크 웨인 클라크 / 유엔 윌리엄 켈리 해리슨중화인민공화국 펑더화이조선민주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