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한국역사 [역사지식여행]/3.고려시대사 (918~1392) 5

[웹북] 황산벌전투 (660년) - 신라의 백제 정벌의 일부

황산벌 전투신라의 백제 정벌의 일부날짜 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장소 황산벌, 현재 논산시 연산면 인근결과 신라의 승리, 백제 패망교전국신라 / 백제지휘관김유신. 김흠순 . 품일 . 김천존 . 김반굴. 관창. 김법민 / 충상 항복. 상영 항복 . 계백 병력50,000명 / 5,000명피해 규모불명 4,980명황산벌 전투(黃山伐 戰鬪)는 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 황산벌(오늘날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신양리 및 신암리 일대)에서 신라군과 백제군 사이에 일어났던 전투이다. 《삼국유사》 태종무열왕조, 《삼국사기》 계백 열전 등에 전투 내용이 나온다.배경642년(의자왕 2)에 백제가 신라를 공격해 대야성을 비롯한 40여 성을 함락하며 신라를 압박했다.신라는 고구려의 힘을 빌리려 하였..

[웹북] 백강전투 (663년) - 백제 부흥운동의 일부

백강 전투백강 전투백제 부흥운동의 일부날짜 663년 8월 27일~8월 28일 / 장소 백강 부근 / 결과 나당연합군의 승리 교전국신라.당나라 야마토 왕권 / 백제 부흥군.탐라지휘관문무왕. 유인궤 / 부여융 가미쓰케노키미 와카코 . 아베노 히라후 . 풍왕병력당군 17,000명. 당 함선 170여척 .신라군 병력 규모 불명 / 왜군 42,000명.왜 함선 800척.백제군 병력 규모 불명피해 규모불명 함선 400척 손실 / 왜군 10,000명 사망. 말 1,000필 손실 백강 전투(白江戰鬪, 중국어: 白江口之战→백강구 전투, 일본어: 白村江の戦い→백촌강 전투)는 663년 8월에 신라의 백강(현재의 금강 하구 부근)에서 벌어진 백제·왜국의 연합군과 당·신라의 연합군이 벌인 전투이다. 당·신라 연합군의 승리로 끝..

[웹북] 홍유릉

남양주 홍릉과 유릉 (南楊州 洪陵과 裕陵) 홍유릉위치남양주 금곡동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남양주 금곡동)동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로 352-1 (금곡동)정보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홍릉(洪陵)과 유릉(裕陵)은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는 능으로 홍릉(洪陵)은 대한제국의 초대황제 고종 광무제와 명성황후 민씨의 능이며, 유릉(裕陵)은 대한제국 2대 황제 순종 융희제과 순명효황후 민씨와 순정효황후 윤씨의 능이다. 1970년 5월 26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07호로 지정되었다.개요조선 왕릉의 정자각(丁字閣) 대신 정면 5칸, 측면 4칸의 침전을 세웠으며, 양쪽으로 문무석을 세워 홍살문까지 기린·코끼리·해태·사자 등의 석수를 세웠는데 중국 명나라 황제능의 제도를 따라 조성된 황제릉이..

[웹북] 조선왕릉

조선왕릉조선왕릉 /  유네스코 세계유산 영어명*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 프랑스어명* Tombes royales de la dynastie Joseon / 등록 구분 문화유산 / 기준 III, IV, VI / 지정번호 1319 / 지역** 아시아·태평양지정 역사2009년 (33차 정부간위원회)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덤도 포함된다.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 ..

[웹북] 08월 19일 (1270 삼별초, 진도 도착)

09월 19일 한국사 주요 사건일지1270 삼별초, 진도 도착 / 1907 독립운동가 이남규 사망 / 1907 대한자강회 해산령 / 1964 국제의원연맹 (IPU)가맹 /1988 서경원 의원 밀입국 (8.19~8.21) / 1993 초고속정보통신망 기본계획수립 / 1993 국회, 김영삼 대통령의 금융실명제 승인 / 1997 북한경수로 착공 / 2003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헌법 재판소 재판관 전효숙 부장판사 지명삼별초삼별초(三別抄)는 몽골 침략기에 그에 대항하던 고려의 무장 세력이며, 원래는 하나의 단일한 단체가 아니었다. 뒤에 삼별초의 난을 일으킨다. 다른 반란군과는 달리 원래는 비정규군이었다가 정규군으로 재편된 군대였다. 제주도에서 궤멸하였다는 것이 통설이나, 일부 세력이 류큐 왕국(오키나와 지역)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