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0 9

[웹북] 포츠머스 조약 (1905)

포츠머스 조약일본 제국과 러시아 제국 대표들이 회담하는 장면 포츠머스 조약 유형 강화 조약서명일 1905년 9월 5일서명장소 미국의 기 미국 뉴햄프셔주 포츠머스주요내용 러일 전쟁의 강화 조약포츠머스 조약(일본어: ポーツマス条約, 러시아어: Портсмутский мирный договор, 영어: Treaty of Portsmouth)은 1905년 9월 5일 시어도어 루스벨트 미국의 대통령의 중재로 미국 뉴햄프셔주에 있는 군항 도시 포츠머스에서 일본 제국의 전권외상 고무라 주타로와 러시아 제국의 재무장관 세르게이 비테 간에 맺은 러일 전쟁의 강화 조약이다. 러일 강화 조약이라고도 불린다. 미국 동부 뉴햄프셔주의 항구 도시 포츠머스 시에서 회담이 이뤄졌으며, 조약 내용을 협상한 회의(8월 10일부터)를 포..

[웹북] 대마도

쓰시마섬 / 쓰시마대마도 (쓰시마섬)위치 대한해협면적 696.10 km2(본섬) / 708.5 km2(부속섬 포함)행정 구역 현 나가사키현인구 27,995명(2023년 8월 31일기준)쓰시마섬(対馬つしま)은 한반도와 규슈 사이의 대한해협 가운데에 있는 일본의 섬이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 한자식인 대마도(對馬島)라는 이름으로 많이 불린다.개설쓰시마 섬의 면적은 696.1 km2로 대한민국 제주도의 8분의 3, 거제도의 1.8배 정도 크기이며, 인구는 약 2만8천명이다.쓰시마섬(対馬島)에는 부속 도서로 우니섬(海栗島), 도마리지마섬(泊島), 아카지마섬(赤島), 나카노섬(沖ノ島), 시마야마섬(島山島) 등 5개의 유인도와 102개의 무인도가 있다. 이 쓰시마섬과 부속 도서들을 아울러 쓰시마 열도(対馬列島)나 쓰..

다시, 학교라는 괴물 (2024) - 교사는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책소개『학교라는 괴물』 이후 10년,우리 교육은 어디로 가고 있을까?우리 교육에 대한 예리한 비판과 성찰을 담았던 교육비평서 『학교라는 괴물』이 10년 만에 개정판으로 돌아왔다. 초판 『학교라는 괴물』은 2014년 첫 출간 당시 많은 현직 교사에게 공감을 불러일으켰고, 새로운 교육 단체인 실천교육교사모임이 태동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를 개정 증보한 『다시, 학교라는 괴물』에서 저자 권재원은 당시의 문제의식과 역사성을 그대로 살리되, 곳곳에 현재 시점에서의 평가와 설명을 덧붙였다. 여기에 최근의 교육 현장 이슈를 다룬 글을 다수 추가했다. 지난 10년간 우리 교육 현장에서 일어난 주요 이슈와 쟁점을 대부분 다룬 이 책에는, 현직 교사이자 교육사상가인 권재원의 날카로운 비판과 교육을 향한 뜨거운 열정이..

소년 빨치산 김영승과 그의 동지들 (2021) - 사랑도 청춘도 목숨도 조국의 통일을 위해

책소개나는 15살 나이에 빨치산이 되어 18살에 체포되고 54살에 석방되었다. 석방된 이후 나의 삶 역시 자유롭지는 않았다. 늦은 나이에 세상에 나오다 보니 사회에 적응하기도 어려웠다. 그럴 때마다 통일운동에 뜻을 같이하는 동지들의 도움이 컸다. 그들의 도움으로 2022년 10월에 소년 빨치산이 되어서 투쟁하던 과정을 회고한 책 『김영승 회고록』이 나올 수 있었다. 이 책은 회고록 그 이후의 얘기로 백운산에서 토벌대에 체포된 이후 35년 이상 교도소 생활을 하면서도 신념을 지키며 투쟁하던 나와 나의 동지들의 기록이다.목차서문 4|제1장| 교도소에서의 목숨 건 투쟁 13남원 포로수용소 14대구교도소에서의 생활 실태 22김천소년교도소에서의 생활 실태 27안동교도소 생활의 실태 32대전교도소의 실태 36광주교..

왜 그럴까? 일본 이야기 (2024)

책소개이 책은 4년간 유학생으로서 또 27년 간 일본 비즈니스를 하면서 느끼고 경험한 것과 생각 등을 글로 정리한 것이다. 역사, 경제, 문화 등 떼려야 뗄 수 없는 나라 일본. 그렇다면 우리도 이제 일본에 대해 잘 알아야 할 때가 아닐까? 『왜 그럴까? 일본이야기』에서는 일본 사회와 문화에 대해 그 원인과 배경을 ‘왜 그럴까?’로 설명하고 있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목차머리말일본, 왜 노벨상 수상자가 많을까세계 최고 수준에 오른 일본의 건축설계윤동주 시인 자료실이 일본 릿쿄대학(立敎大學)에 있다?기본에 충실한 나라, 안전제일일본인의 주차 질서 의식세계 최고의 서비스 정신, 오모테나시(おもてなし)혼네(本音)와 타테마에(建前)전통을 이어 가는 쇼쿠닌(職人; 장인)이 많은 이유사소한..

이토록 빛나는 1982 (2024)

책소개1982년 나란히 서울 종로구 명륜동의 한 대학교에 입학해 그해 봄에 곧바로 명륜캠퍼스를 가득 채운 최루탄 냄새에 질려버린 이들이 있었다. 곧바로 강제징집된 이들도 있었고, 문무대 연병장에서 함께 구른 경험도 공유했다.『이토록 빛나는 1982』는 한 대학 울타리 안에서 함께 울고 웃으며 비분하며 어깨를 걸었던 성균관대 민주동문회 82학번(이하 성민동 82)들의 글 모음집이다. 전문 사회학자나 정치학자, 연구자의 글은 아니다. 그저 같은 아픔을 가슴에 담고 시간의 강을 건너온 60대 중반들이, 인생을 돌아보며 남은 시간을 어떤 마음으로 살아낼지 진솔하고 소박하게 정리했다. 동시대를 살아온 이들에게는 뜨거운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젊은 세대에게는 앞 세대와 이어지는 아담한 다리가 되어 줄 책이다.목차책을..

AI, 빅테크, 저널리즘 (2024) - 기술이 바꿀 뉴미디어의 미래

책소개전신에서 생성 AI, VR 뉴스까지….기술의 과찬 속에서 본질을 놓지 않는 저널리즘,그 오랜 대화의 기록을 되돌아보다* 전 대통령 비서실 디지털소통센터장 강정수 박사 강력 추천* 2024 문화체육관광부 중소출판사 성장부문 제작 지원 사업 선정작현대 저널리즘은 전례 없는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포털 중심의 뉴스 소비 패턴이 무너지며 수많은 언론사들이 생존을 위협받고 있으며, AI로 대표되는 각종 혁신 기술이 정보의 생산과 유통 체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시에 많은 언론사와 정보 생산자들은 여전히 과거의 관행에 얽매여 있으며, 새로운 기술을 경계의 대상으로만 바라보는 보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AI, 빅테크, 저널리즘》의 저자는 다양한 언론사 경험..

한계를 넘어 도전하라 (2024) - 이민자로 태어나 불평등을 이겨낸 해리스

책소개늘 사회적 약자 편에 선 정의로운 법조인으로 사회적 불평등에 맞서 싸우고, 기성세대와 권력에 맞서 우아하지만 배짱 있게 자신의 갈 길을 개척한 카멀라 해리스. 흙수저 이민자 집안의 딸로 미국 정치계에서 성공하기까지 그녀가 살아온 발자취를 돌아보고, 과연 해리스만의 성공 비밀은 무엇이며, 삶의 가치관은 무엇인지 등을 알아본다. 이 시대를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젊은 세대는 물론 기성 세대에게도 희망과 메시지를 전달해 줄 것이다.목차프롤로그 | · 성공하고 싶은 당신이 이 책을 보아야 하는 이유·1장 오리에서 백조로( 1 ) 블랙스완, 카멀라 해리스· 당신은 블랙스완을 본 적 있는가?· 예측 불가능성· 커다란 충격· 사후 합리화· 대표적인 블랙스완 사례· 미국 정치계의 블랙스완 사건· 조 바이든..

자유 (2024) - 자유 : 1954-2021년을 회상하다.

책소개2024년 11월 26일, 많은 사람이 기다려온 앙겔라 메르켈 독일 전 총리의 회고록 『자유: 1954-2021년을 회상하다』가 전 세계 31개국에서 동시 출간된다. 앙겔라 메르켈은 16년 동안 독일 정부를 이끌면서 수많은 위기를 극복했고 독일 정치뿐 아니라 국제 정치와 국제 사회에 커다란 족적을 남겼다. 그런 그녀도 처음부터 총리가 되려고 한 것은 아니다. 앙겔라 메르켈과 그녀의 오랜 정치적 조력자인 베아테 바우만은 메르켈이 동독에서 살아온 35년과 통일 독일에서 살아온 35년의 삶을 되돌아본다.목차프롤로그제1부 “나는 총리가 되기 위해 태어나지 않았다”1954년 7월 17일 - 1989년 11월 9일1. 행복한 어린 시절 43크비초 43 | 발트호프 50 | 베를린 장벽, 그 경악스런 충격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