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17 18

[웹북] 선화공주 (백제무왕 30대왕비) <서동요>

선화공주 善花公主  선화공주백제의 24대 / 30대 왕비재위 미상 / 전임 사택왕후(沙宅王后) / 후임 은고(恩古) / 부왕 진평왕(眞平王)이름휘 선화(善花) / 별호 미상신상정보출생일 미상 / 출생지 미상 / 사망일 미상 / 사망지 미상왕조 신라(新羅) 백제(百濟) / 가문 김씨 / 부친 진평왕(眞平王) / 모친 마야부인(摩耶夫人) / 배우자 무왕(武王) / 자녀 의자왕(義慈王)종교 미상선화공주(善花公主, ?~?)는 삼국유사 기록에 따르면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이자, 무왕의 왕후이다. 미륵사지 석탑에서 발견된 금제사리봉안기에 의하면 무왕의 왕후는 사택왕후로 기록되었기에 그 실존 여부에 관한 논란이 있다.생애신라 진평왕과 마야부인의 딸이자 선덕대왕과 천명공주의 동생이며 화랑세기에서 등장하는 천화공주의 언..

[웹북] 무왕 (백제)

무왕 / 武王 / 어라하익산 쌍릉 무왕 (백제) 제30대 백제 국왕재위 600년 음력 5월 ~ 641년 음력 3월 / 대관식 무왕(武王) / 전임 법왕(法王) / 후임 의자왕(義慈王)이름휘 부여장(扶餘璋) / 이칭 서동(薯童) / 별호 무강왕(武康王) / 묘호 미상 / 시호 무(武) / 연호 미상신상정보출생일 581년 이전 / 출생지 익산(益山) / 사망일 641년 음력 3월 / 사망지 익산(益山) 왕궁 / 왕조 백제(百濟) / 가문 부여씨(扶餘氏) / 부친 위덕왕(威德王) 법왕(法王) 진이왕(辰爾王) / 모친 미상 / 배우자 사택왕후(沙宅王后) / 선화공주(善花公主) / 자녀 의자왕(義慈王) / 부여교기(扶餘翹岐)의 아버지 / 부여새상(扶餘塞上)종교 불교 / 묘소 쌍릉 (추정}무왕(武王, 581년 이전..

[웹북] 태종 무열왕 (신라)

태종무열왕 / 太宗武烈王통일전에 있는 태종 무열왕 표준영정(좌측)통일전에 있는 태종 무열왕 표준영정(좌측)태종무열왕 제29대 신라 국왕재위 654년 음력 3월 ~ 661년 음력 6월 / 전임 진덕여왕 / 후임 문무왕이름휘 김춘추(金春秋) / 이칭 춘추공(春秋公) / 묘호 태종(太宗) / 시호 무열(武烈)신상정보출생일 603년 / 사망일 661년 음력 6월 (58세) / 부친 문흥왕 김용수 / 모친 천명공주 / 배우자 문명왕후 김씨 / 자녀 문무왕, 김인문, 고타소랑, 지소공주, 요석공주 / 능묘 태종무열왕릉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750무열왕릉 (사적 제20호)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 ~ 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 음력 3월 ~ 661년 음력 6월)이..

[웹북] 김유신 장군

김유신金庾信 / 신라의 추존왕1926년에 발간된 조선명현초상화사진첩에 실린 김유신의 초상화김유신신라의 태대각간재임 668년 ~ 673년 8월 21일신라의 상대등재임 660년 1월 ~ 673년 8월 21일전임 금강 / 후임 김군관 / 군주 문무왕이름별호 흥무공, 대각공 / 시호 개국공(開國公), / 순충장렬흥무대왕(純忠壯烈興武大王)신상정보출생일 건복 12년(595년) / 출생지 신라 만노군 / 사망일 문무왕 13년(673년) 8월 21일 (78세) / 사망지 신라 금성 / 국적 신라 / 경력 관등: 태대각간, 직책: 대장군, 양하도총관, 봉상정경(당) / 가문 신김씨 / 부친 김서현 / 모친 만명부인 / 배우자 영모 부인, 지소 부인 / 자녀 삼광(三光), 원술(元述), 원정(元貞), 장이(長耳), 원망(..

[웹북] 낙화암

낙화암 (落花岩)대한민국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낙화암 종목 문화재자료 제110호 (1984년 5월 17일 지정) / 면적 2,574m2 / 시대 백제위치낙화암(대한민국) /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 정보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낙화암(落花岩)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소산에 있는 바위이다.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10호로 지정되었다.개요백제 의자왕 20년(660년) 나(羅)·당(唐) 연합군의 공격으로 백제의 수도 사비성이 함락될 때, 백제의 3천 궁녀가 이곳에서 백마강(白馬江)을 향해 몸을 던졌다는 전설에서 유래한 바위이다. 그러나 실제로 백마강(白馬江)을 향해 삼천 궁녀가 뛰어들었다고 장담할 수 없다. 낙화암은 삼천 궁녀가 다 올라갈 수 없을 만큼 좁다낙화암 절벽 ..

[웹북] 부여 부소산성

부여 부소산성  (扶餘 扶蘇山城) / (Busosanseong Fortress, Buyeo)부여 부소산성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의 사적종목 사적 제5호 /(1963년 1월 21일 지정) / 면적 983,598m2 / 시대 삼국 시대 / 소유 국유위치 부여 부소산성(대한민국) /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로 31 (쌍북리) / 정보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백제역사유적지구 / 부소산성 /  유네스코 세계유산 영어명* Baekje Historic Areas / 프랑스어명* Aires historiques de Baekje등록 구분 문화유산 / 기준 (ⅱ), (ⅲ) / 지정번호 1477지역** 아시아·태평양지정 역사2015년 (제39차 정부간위원회)* 세계유산목록에 따른 정식명칭.** 유네스코에 ..

[웹북] 의자왕 (재위: 641~660) 제31대 백제국왕

의자왕의자왕 義慈王 (어라하)제31대 백제 국왕재위 641년~660년 / 전임 무왕 / 후임 풍왕 / 섭정 성충(647~648)이름휘 의자(義慈) / 별호 해동증자(海東曾子)신상정보출생일 599년 / 출생지 미상 / 사망일 660년 / 사망지 당나라 낙양 / 왕조 백제 / 가문 부여씨 / 부친 무왕 / 모친 사택왕후 혹은 선화공주 / 배우자 은고자녀 부여태(扶餘泰) 부여효(扶餘孝) /부여연(扶餘演) 부여풍(扶餘豊)/부여용(扶餘勇) 부여충승(扶餘忠勝) / 부여충지(扶餘忠志) / 부여선광(扶餘禪廣,扶餘善光)종교 불교의자왕(義慈王, 599년~660년)은 백제의 제 31대, 마지막 국왕이다. 이름은 부여의자(扶餘義慈)며 망국의 군주이기 때문에 시호를 받지 못했다. 어린 시절, 우애가 깊어 해동증자(海東曾子)라 ..

[웹북] 백제의 멸망 (660년)

백제의 멸망백제의 멸망(신라의 삼국통일 전쟁의 일부)날짜 660년장소 황산벌, 백강, 사비성, 웅진성결과 신라와 당나라의 승리, 백제의 패망교전국신라.당나라  : 백제 항복지휘관신라 태종 무열대왕 / 태자 김법민 / 김유신당나라 당 고종 / 측천무후 / 소정방 백제 의자왕 항복 / 계백 / 의직 병력신라 김유신, 태종 무열왕(50,000명) 소정방 (130,000명) / 총병력 180,000명 백제 계백 5000명 / 의직 20,000명 /총병력 5~6만명.피해 규모신라 신라군 및 당군 전사자 총합 10000명 미만 백제 계백군 4980명 전멸 / 의직군 10,000명 사상자 / 의자왕과 태자 부여효,/ 백성 12,000명 포로백제의 멸망(百濟 ― 滅亡)은 660년에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이 백제를 정복한..

[웹북] 자본주의

자본주의자본주의(資本主義, 독일어: Kapitalismus, 프랑스어: capitalisme, 영어: capitalism)는 재화의 사적 소유권을 개인이 가지는 자유의지에 반하거나 법률에 의하지 않는 방법으로는 양도 불가능한 사회 구성원의 기본권으로 인정하는 사회 구성체이다.또는,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생산 수단을 가진 자본가 및 기업가 계급이 그 이익 추구를 위해 생산 활동을 제한적으로 보장하는 사회적 경제 체제로 정의 하기도 한다. 재화의 사적 소유권에 대한 인정은 곧바로 재화의 매매, 양도, 소비 및 이윤의 처분 등에 대한 결정을 개인에게 일임한다. 인류가 가진 이윤추구를 극대화하여 사회 발전의 동력으로 삼는 자본주의 경제 체계에서는 상품 또는 용역의 가격, 투자, 분배 등이 주로 시장 경제를..

[웹북] 민주주의

민주주의민주주의직접 민주제간접 민주제분파, 변형민주주의(民主主義, 그리스어: δημοκρατία dēmokratía[*], 영어: democracy)는 국가의 주권이 국민, 민중에게 있고 민중이 권력을 가지고 그 권력을 스스로 행사하며 민중과 시민을 위하여 정치를 행하는 제도이자 그러한 정치 사상이다. 그리스어인 demos(민중)와 cratos(지배)라는 두 가지 단어의 합성어 democratia에서 유래한다. 자유,사회,인민민주주의 등이 있다.민주주의는 의사결정 시 시민권이 있는 대다수나 모두에게 열린 선거나 국민 정책투표를 이용하여 전체에 걸친 구성원의 의사를 반영하고 실현하는 사상이나 정치사회 체제이다. 간단히 '민중, 국민이 주권을 행사하는 이념과 체제'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의외로 유럽만이 아..

[웹북] 사회주의

사회주의 사회주의(社會主義, 독일어: Sozialismus, 러시아어: Социализм, 프랑스어: Socialisme, 중국어: 社会主义, 영어: Socialism)는 생산수단을 공동으로 운영하는 협동 경제와 모든 사람이 노동의 대가로 평등하게 분배받는 사회를 지향하는 다양한 사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며, 또는 그 과정을 의미하기도 한다.사회적 소유는 국가, 집단 또는 협동조합의 소유 또는 지분을 시민이 소유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다양한 형태의 사회주의가 존재하며, 사회적 소유라는 공통요소를 공유할 뿐 모든 형태를 포괄하는 한 가지 정의는 없다.정치적으로 강력하게 등장한 근대적 사회주의인 초기 사회주의는 1826년 최초로 로버트 오언에 의해 주장되고 1862년 독일의 사회주의자 페르디난트 라살레..

[웹북] 공산주의

공산주의공산주의(라틴어: Communismus, 독일어: Kommunismus, 러시아어: Коммунизм, 영어: Communism, 共産主義)는 생산수단의 공공 소유에 기반을 둔 경제·사회·정치 공동체 형성에 관한 사상 또는 이러한 사회 형성을 목표로 삼는 형식적·실질적 정치 운동에 관한 사상이다.플라톤(Platon)의 『국가』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본래 공산주의적 사고는 전근대 사회에도 존재했으며, 이후 유럽의 로마 가톨릭 사회에서 등장한 유토피아주의자의 만민 평등 사상 및 지상천국 운동을 뜻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오늘날에 통용되는 공산주의라는 의미는 카를 마르크스의 이론 전반에 관한 것을 뜻하며, 변증법·역사주의·유물론이 핵심 사고로 자리잡고 있다.이 사상이 현실 정치에서 본격적인 운동으로 ..

단순해지는 연습 (2024) - 생각이 많아도 너무 많은 당신에게

책소개우리는 쓸데없는 일을 하지 않을 생각은 안 하고왜 자꾸 무언가를 할 생각만 하는 걸까?『단순해지는 연습』을 집필한 임태환 작가는 “아직 우리가 멀티태스킹을 하는 이유는 인간이 단순함을 지루해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게 제일 어려운 것이라고, 평온함이 제일 재미있는 것이라고. 임태환 작가는 이를 ‘등산에 비유한다. 또한 임태환 작가는 우리에게 ‘인간은 꼭 무언가를 해야만 에너지를 얻는 존재일까?’, ‘무언가를 해서 더 불필요한 에너지가 소모되는 것은 아닐까?’에 대한 질문과 답을 던진다. 사랑이 사라진 시대, 무언가를 더 가져야만 사랑받는다는 환상을 만들어내는 이 시대에 우리가 추구해야 할 건 어쩌면 ‘사랑’이 아닐까. 복잡한 세상 속에서 단순하게 살아가는 지혜를 실천하고 싶은 ..

아프리카의 미래를 읽다 (2024) - 남아공 특파원의 심층 분석

책소개젊은 대륙 아프리카에서 찾은 미래의 희망!대한민국 유일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특파원이 전하는아프리카의 다채롭고 역동적인 스토리『아프리카의 미래를 읽다』는 가장 오래된 인류 문명의 발상지이지만 가장 젊은 대륙인 아프리카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한 책이다. 3년간의 남아프리카 특파원 경험을 바탕으로 아프리카를 심층 분석하고 그 미래를 전망했다. 기존의 아프리카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고, 공정하고 투명한 ‘아프리카를 향한 창’이 되겠다는 강한 사명감으로 아프리카 40여 개국을 넘나들며 건져 올린 다채로운 이야기가 가득하다. 저자 김성진 연합뉴스 기자는 현장감 있는 취재와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오늘날 아프리카가 마주한 현안과?쟁점, 한국과의 외교통상관계 전망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의 경제 정치 문화적 성취와 가..

부의 빅뱅 (2024) - 다빈치처럼 상상하고 잡스처럼 혁신하라

책소개당신의 혁신자본은 얼마인가?『부의 빅뱅』은 다빈치처럼 상상하고 잡스처럼 혁신하는 사람들 이야기다. 우리에게 영감을 줄 수많은 창업자와 CEO들이 등장한다. 고대 로마와 중세 이탈리아부터 근대 영국과 오늘날 미국에 이르기까지 남다른 아이디어와 열정으로 세상을 바꾸며 거대한 부의 제국을 일군 이들을 만나본다. 초콜릿과 면도날부터 전기차와 인공지능AI 반도체까지 우리 삶을 바꿔놓은 온갖 것이 그들의 꿈과 피와 땀의 결정이다. 시대와 분야는 달라도 그들은 모두 상상하고(Imagine) 혁신하고(Innovate) 실행하는(Implement) ‘I형 인간’들이다. 그들은 대부분 타고난 천재라기보다 노력하는 혁신가들이다. 혁신자본은 한 사람이나 기업의 꿈, 피, 땀이 어우러진 총체적인 혁신역량을 말한다. 혁신자..

이렇게 살다 죽고 싶진 않아 (2024)

책소개살다가 길을 잃어버린 청춘에게, 손에 꼭 쥐어주는 나침반 같은 이야기박상호 작가는 학창 시절 부지런히 스펙을 쌓아 본인이 꿈꿔왔던 회사에 취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삶에 허무함을 느끼는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며 이야기를 풀어 나간다. 이 시대 청춘들과 저자가 함께 느끼는 감정을 풀어내며, 깊은 공감으로 마음 깊이 위로를 선사한다. 그러면서도 저자가 삶에서 직접 얻은 지혜를 아낌없이 풀어내 현대의 청춘에게 조금이나마 발돋움할 수 있는 수호천사 같은 역할도 해준다.저자의 이야기를 읽어 내려가다 보면 마치 친한 오빠나 형이 마음을 담아 조언해주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친근하고 따스하게 이야기 하지만, 그 속에 숨은 단호함은 우리를 더욱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게 한다. 청춘들에게 진정 필요한 것은 따뜻..

돌봄노동 (2024) - 친밀한 착취

책소개사랑이 아닌 착취가 되어버린 돌봄!자본주의가 부추기는 돌봄노동의 민낯을 드러내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다.팬데믹 이후 돌봄노동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이 변화했지만, 여전히 돌봄은 여성의 전유물이자 노동 시장에서의 지위조차 지극히 평가절하되어 있다. 이는 돌봄이 주로 사랑하는 관계인 가족, 애인 사이에서 ‘무상으로’ 충족되는 경우가 많아, 돌봄을 ‘노동’과 연결 짓는 것을 터부시하는 전통적 인식 때문이다. 이렇게 사랑하는 관계에서 베풀어지는 돌봄에 가격을 매기는 것이 돌봄의 숭고함에 흠집을 낼 수 있다는 오해도 이러한 인식을 강화한다. 알바 갓비는 돌봄은 곧 사랑이라는 공식에 거대한 의문부호를 던지고 이 공식이 생기게 된 정치, 경제적 이유를 다방면으로 추적한다. 갓비는 특히 ‘돌봄=사랑’ 공식의 ..

버티다 보니 20년 (2024)

책소개“우리가 했으니 당신도 할 수 있다!”얼렁뚱땅 같지만 그럭저럭 20년을 존버해 온 13인 삼성맨들의 업무 투쟁기어설픈 포옹으로 서툰 초년생을 안아주고 싶은 간절한 마음으로 써내려 가다기묘한 13인이 뭉쳤다. 운동하는 사람, 배우는 걸 좋아하는 사람, 성실하고 꾸준한 사람, 밝은 에너지를 가진 사람, 무엇이든 칭찬하는 사람, 새로운 시도를 즐기는 사람, 글 쓰는 사람, 말 잘하는 사람 등 열 세 명이라는 많은 사람들 만큼이나 다채로운 개성들이 모였고, 이때 누군가 “같이 해 볼래?” 하니, “그럴까?” 하고 툭 내 던진 말이 이 사단을 만들었다.그렇게 나온 책이다. 그러니 다소 어설프지만 그 안에는 갓 튀겨진 가지처럼 말도 못하게 뜨겁고도 맛깔나는 열정들이 숨겨져 있다. 그 열정들이 엉키고 설켜 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