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한국근대사 [역사지식여행] 116

[웹북] 맥아더장군

더글러스 맥아더 Douglas MacArthur 더글러스 맥아더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맥아더 연합군 최고사령관임기 1945년 1월 31일 ~ 1951년 4월 16일  대통령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 / 해리 트루먼 미국 대통령 / 부통령 윌리엄 바클리 미국 부통령 / 대표 트뤼그베 리 UN 사무총장연합군 점령하 일본의 집정직무사령관 권한대행 서리임기 1945년 8월 15일 ~ 1946년 8월 18일 / 천황 히로히토 일본 천황 / 총리 스즈키 일본 내각총리대신 / 히가시쿠니 일본 내각총리대신 / 시데하라 일본 내각총리대신 / 요시다 일본 내각총리대신신상정보출생일 1880년 1월 26일 / 출생지 미국 아칸소주 리틀록 / 사망일 1964년 4월 5일(84세) / 사망지 미국 워싱턴 D.C. / 국적..

[웹북]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 동상 (인천자유공원)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상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상은 인천광역시 중구 자유공원에 있는 1957년에 제작한 청동상이다. 더글라스 맥아더(1880-1964) 장군의 77회 생일이자 인천상륙작전의 7주년이 되는 해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됐다. 장방형의 화강암 지대석 위에 높은 대석을 마련해 청동상을 세웠다. 동상은 두 다리를 벌리고 서 있으며 왼손은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허리 뒤쪽 호주머니에 꽂고, 오른손은 복부에서 쌍안경을 들고 있는 형태이다. 얼굴은 전면의 바다를 바라보고 있다. 동상 뒤로는 후벽을 세워 상륙작전의 부조판을 부착했다. 6·25 전쟁을 기념해 세운 첫 외국인 장군상이다. 정의인천광역시 중구 자유공원에 있는 1957년에 제작한 청동상. 구성 및 형식장방형의 화강암 지대석 위에 역시 화강암으로 ..

[웹북] 성공회 내동성당 (인천)

인천내동성공회성당(仁川內洞聖公會聖堂)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성공회 내동성당종목 유형문화재 제51호 (2002년 12월 23일 지정)소유 대한성공회참고 한국 전쟁으로 소실된 것을 1956년 복구주소 인천광역시 중구 개항로45번길 21-32정보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대한성공회 내동성당(內洞聖堂) 또는 대한성공회 인천내동교회는 1891년 9월 30일에 지어진 한국 최초의 성공회 교회이다. 대한성공회 서울교구에 소속되어 있다. 인천광역시 중구 내동에 있으며,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51호이다. 역사1890년 9월 29일에 영국 해군 군종사제이며 조선 선교에 관심을 갖고 있던 코르페(한국명 고요한) 주교와 선교사 6명이 인천항에 처음 들어와 조선에서의 선교 활동을 시작하였다. 당시 성공회 선교사인..

[웹북] 홍예문 (인천)

홍예문(虹霓門)무지개처럼 생긴 문이라는 뜻의 홍예문(虹霓門)은 철도 건설을 담당하고 있던 일본 공병대가 1906년 착공하여 1908년에 준공하였다. 응봉산 산허리를 잘라 높이 약 13m, 폭 약7m의 화강암 석축을 쌓고 터널처럼 만든 석문(石門)으로, 위치는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3가 20이며, 면적은 1,952.6㎡이다.건설 당시 인천 중앙동과 관동 등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의 수가 급격히 늘자 만석동 방면으로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이 홍예문(을 뚫었는데 일본인들은 혈문(穴門)이라 불렀다.공사를 진행할 때 예기치 못한 거대한 암석을 만나 공사 기간이 오래 걸렸다 한다. 당시 일본의 토목공법을 알 수 있는 문화유산으로서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홍예문을 통과하면 폭이 좁은 2차선 도로가 지나며,..

[웹북] 영성문 (덕수궁내 )

영성문(永成門)주요 정보대표표제 영성문한글표제 영성문한자표제 永成門상위어 경운궁(慶運宮)관련어 덕수궁(德壽宮), 대한제국(大韓帝國), 정동(貞洞), 홍원(紅園), 양화당(養花堂), 화원(花苑), 양어지(養魚池), 장옹대(醬瓮臺)분야 정치/행정/관청유형 건축·능·원·묘지역 대한민국시대 대한제국기왕대 고종~순종집필자 이연노장소 경운궁관련 인물 고종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영성문(永成門)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고종실록』 38년 2월 5일, 『고종실록』 42년 2월 18일  지금의 덕수궁인 경운궁의 본 궁궐과 떨어져 러시아 공사관 방향인 서북쪽에 만들어진 또 다른 궁궐 영역의 북문. 개설경운궁 본 건물과 떨어져 있는 서북쪽에서 궁궐 외부로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는 대부분 영성문을 이용하였다. 영성문을 통해 외부로 나가..

[웹북] 러일전쟁 (1904~1905)

러일 전쟁러일전쟁날짜 1904년 2월 8일 - 1905년 9월 5일장소 만주와 한반도, 주변 해역결과 일본 제국의 승리 / 포츠머스 조약 체결교전국러시아 제국 / 일본 제국지휘관러시아 제국 니콜라이 2세 / 러시아 제국 알렉세이 쿠로팟킨 / 러시아 제국 아나톨리 스테셀 / 러시아 제국 예브게니 알렉세예프 / 러시아 제국 스테판 마카로프 † / 러시아 제국 빌헬름 비트게프트 † / 러시아 제국 로버트 비렌 / 러시아 제국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일본 제국 메이지 천황 / 일본 제국 가쓰라 다로 / 일본 제국 오야마 이와오 / 일본 제국 고다마 겐타로 / 일본 제국 노기 마레스케 / 일본 제국 구로키 다메모토 / 일본 제국 오쿠 야스카타 / 일본 제국 이토 스케유키 /일본 제국 도고 헤이하치로병력50만-100..

[웹북] 카를 베베르 (러시아 제국 주한공사)

카를 베베르카를 이바노비치 베베르(러시아어: Карл Ива́нович Ве́бер, 독일어: Carl Friedrich Theodor von Waeber 카를 프리드리히 테오도어 폰 베버, 문화어: 칼 웨베르, 1841년 6월 17일 ~ 1910년 1월 8일)는 러시아 제국의 외교관으로 1885년부터 1897년까지 주(駐)조선 러시아 공사로 근무하였고, 고종의 개인적인 친구이기도 했다. '위패'(韋貝)라는 한국어 이름이 있으며, 웨베르라고 불리기도 한다. 외교관 생활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러시아 외무성에 들어갔다. 첫 부임지는 베이징이었고, 1882년에는 톈진의 러시아 제국 공사로 부임하였다. 그는 1884년 조로 수호 통상 조약을 체결을 할 때 서명을 했으며, 그 이듬해 한국의..

[웹북] 하야시 곤스케 (일본제국 외교관)

하야시 곤스케 林権助하야시 곤스케 (일본의 외교관)신상정보출생일 1860년 3월 23일출생지 후쿠시마현사망일 1939년 6월 27일(79세)사망지 도쿄학력 도쿄제국대학경력 이탈리아 대사 / 중국 공사 / 관동장관 / 주영대사 / 추밀원 문관 하야시 곤스케(일본어: 林権助, 1860년 3월 23일 ~ 1939년 6월 27일)는 일본의 외교관, 남작이다. 1904년 1월 러일전쟁 중 한일의정서를 체결하고, 이어 같은 해 8월 제1차 한일 협약, 이듬해 1905년 을사늑약까지 모두 그의 주도 하에 체결되었다. 출생과 유년시절아이즈번(지금의 후쿠시마현)에서 태어났다. 하야시 마타사부로의 아들이며 조부는 아이즈번 대포 대장으로서 유명했다. 1868년, 도바 후시미 전투로 관군에 의해 부친과 조부를 잃고 가업을 잇..

[웹북] 박제순 (을사오적)

박제순박제순재임 1910년 5월 30일 ~ 1910년 6월 24일군주 순종 이척 신상정보출생일 1858년 12월 7일출생지 조선 경기도 용인군 수여면 상도촌(現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사망일 1916년 6월 20일(57세)사망지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 (現 대한민국 서울특별시)국적 대한제국경력 외교관, 정치인, 사상가정당 온건개화파 예하 잔존 후예부모 박홍수(부), 대구 서씨 부인배우자 고씨 부인자녀 박부양(아들)종교 유교(성리학) 박제순(朴齊純, 1858년 12월 7일 ~ 1916년 6월 20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외교관, 대한제국의 정치인, 외교관이다. 대한제국의 내각총리대신 겸 대리집정공 등을 지낸 을사오적이다. 그는 과거 급제 후 외교관과 이조, 호조의 참의, 이조참판, 형조참판 등을 지냈..

[웹북] 한규설

한규설한규설  韓圭卨 조선의 사복시 장위사임기 1884년 8월 1일 ~ 1892년 9월 30일군주 고종 이형섭정 완흥군 이희(前) / 김병국(前) / 심순택(前)대한제국의 내각총리대신임기 1907년 7월 28일 ~ 1907년 8월 9일군주 순종 이척신상정보출생일 1856년 2월 29일출생지 조선 한성부거주지 조선 한성부 / 대한제국 한성부 / 일제강점기 경성부 / 일제강점기 경기도 고양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청주사망일 1930년 9월 22일(74세)사망지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청주 사택 별저에서 병사 후 경기도 고양에 유해 안장학력 1884년 무과 급제경력 조선 의정부 찬성정당 무소속본관 청주(淸州)부모 한승렬(부)형제자매 한규직(형) 한규설(韓圭卨, 1856년 2월 29일 ~ 1930년 9월 22일)은..

[웹북]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이토 히로부미 일본 제국의 제1대 내각총리임기 1885년 12월 22일~1888년 4월 30일후임 구로다 기요타카(제2대)일본 제국의 제5대 내각총리대신임기 1892년 8월 8일~1896년 8월 31일전임: 마쓰카타 마사요시(제4대)후임: 마쓰카타 마사요시(제6대)일본 제국의 제7대 내각총리대신임기 1898년 1월 12일~1898년 6월 30일전임: 마쓰카타 마사요시(제6대)후임: 오쿠마 시게노부(제8대)일본 제국의 제10대 내각총리대신임기 1900년 10월 19일~1901년 5월 10일전임: 야마가타 아리토모(제9대)후임: 가쓰라 다로(제11대)일본 제국의 제1대 한국통감임기 1906년 3월 3일~1909년 6월 14일전임: 하세가와 요시미치(제-(임시)대)후임: 소네 아라스케(..

[웹북] 시모노세키 조약 (1895)

시모노세키 조약시모노세키 조약서명일 1895년 4월 17일서명장소 일본 제국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서명자 내각총리대신(이토 히로부미), 외무대신 (무쓰 무네미쓰)북양대신 직례총독 이홍장, 전 출사대신 이경방발효일 1895년 5월 8일주요내용 청국의 조선 독립 확인 및 배상금 2억 냥 지불, 대만과 요동반도 할양관련조약 조일동맹조약 / 요동환부조약시모노세키 조약(일본어: 下關条約 시모노세키조야쿠, 중국어 정체자: 馬關條約)은 1895년 3월 20일부터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서 전개된 청일전쟁의 강화회의로 체결된 조약으로서 정식명칭은 일청강화조약(일본어: 日清講和条約 닛신코와조야쿠)이다. 하관조약(下關條約), 마관조약(馬關條約)으로도 지칭한다.1895년 4월 17일,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되면서 청일전쟁이..

[웹북] 텐진조약 (1885)

톈진 조약 (1885년)톈진 조약(天津條約)은 갑신정변 실패의 결과로 1885년(고종 22년) 4월 18일(음력 3월 4일) 청나라 전권 대신 이홍장과 일본 제국 전권 대신 이토 히로부미가 동북아시아 세력 균형을 위해 맺은 조약이다. 한반도 내 양국 주둔군 철수를 주 내용으로 한다. 어느 한 쪽의 일방적인 우위가 없어 합의에 이르지 못한 사항들이 후일 청일 전쟁의 원인이 됐다.배경1884년 양력 12월 7일 갑신정변이 3일만에 주한청군의 개입으로 실패하자 일본은 시급히 한성 조약을 맺은 터였다. 더 이상 양국 군대 충돌을 막는 데 가장 쟁점이 되는 사안은 정변 동안 생긴 일본 거류민 사상자들의 피해 보상 문제였다. 책임자 처벌 등 양국의 위신이 걸린 문제가 산적해 있었다. 일본 측은 전권 대사로 이토 히..

[웹북] 한성조약 (1885)

한성조약한성조약(漢城條約, 일본어: 日朝 漢城条約)은 1885년 1월 9일(1884년 음력 11월 24일) 조선의 한성부에서 조선측 대표 의정부좌의정 김홍집 외 조선측 대표단과 일본 제국 외무부대신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 외 일본측 대표단이 조선과 일본의 갑신정변의 사후 처리 및 보상에 대해 체결한 조약이다.1884년(고종 21년) 12월 말부터 조선은 일본의 갑신정변 개입을 추궁하고 김옥균 등을 내놓을 것을 요구했다가, 역으로 일본이 조선 정부에게 일본 정부에 대한 사과를 표명하고, 희생자와 각종 피해에 대한 보상금 10만 원을 지불하고, 한성에 일본 공사관을 새로 건축하는 비용을 부담할 것을 요구하였다. 1884년 12월 말부터 여러 차례의 교섭과 회담 끝에 1885년 1월 9일에 타결되었다,배경 ..

[웹북] 김홍집 (내각총리: 1895~1896)

김홍집 金弘集 조선의 내각총리대신 겸 대리집정공임기1895년 12월 17일 ~ 1896년 2월 11일군주고종 이형이름별호김광집(金宏集) (아명) / 경능(敬能) (자) /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아호) / 충헌(忠獻) (시호)신상정보출생일 1842년 / 출생지 한성부 / 거주지 한성부 / 사망일 1896년 2월 11일(53세) / 사망지 한성부 / 국적 조선 / 학력 1867년 진사시 합격. 1868년 알성문과 급제 / 경력 문관, 총리대신, 문필가 / 정당 온건개화파 세력본관 주(慶州) / 아버지 김영작(金永爵) / 어머니 창녕 성씨 부인(昌寧 成氏 夫人) / 형제자매 김항집(형).김승집(형) / 배우자 남양 홍씨 부인 / 자녀 1남 1녀 / 친인척 이시영(사위) / 종교 유교(성리학)김홍집..

[웹북] 아관파천 (1896~1897)

아관파천 (俄館播遷)별칭 노관파천(露館播遷)참가자 고종 · 순종장소 조선 한성부 중구 정동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날짜 1896년 2월 11일 ~ 1897년 2월 20일원인 을미사변으로 신변의 위협을 받게 된 고종이 러시아 제국 공사관으로 파천함.결과 아관파천 이후 많은 이권이 러시아를 위시한 열강의 손에 넘어감.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함. 아관파천(俄館播遷)은 1896년 2월 11일부터 1897년 2월 20일까지 1년 9일간 조선 고종과 세자가 경복궁을 떠나, 어가를 러시아 제국 공사관으로 옮겨서 파천한 사건이다. 러시아에서는 이 사건을 고종 러시아공관 망명(러시아어: Бегство Коджона в русскую миссию)라고 불렀다. 명칭1864년 조선 고종 1년 이후 러시아 제국을 한자로 ‘아..

[웹북] 을미사변 (1895)

을미사변 乙未事變 을미사변 (별칭 : 명성황후 암살 사건)참가자일본 제국 : 미우라 고로 / 오카모토 류노스케 / 구스노세 유키히코 / 다수의 일본인조선 : 우범선 / 이두황 / 이진호 / 유길준 / 구연수 / 권동진 / 조희문장소조선 한성부 경복궁 건청궁 곤녕합 일대날짜 1895년 10월 8일 새벽사망자 명성황후 · 홍계훈 · 궁녀 · 신하부상자 고종 · 순종 · 궁녀 · 신하원인 명성황후의 조선 침략 방해결과 명성황후 시해 성공을미사변(乙未事變, 영어: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은 1895년 10월 8일(음력 8월 20일)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이 경복궁(景福宮)에 난입하여..

[웹북] 갑신정변 (1884)

갑신정변갑신정변 / 교전국 / 지휘관병력급진개화파 : 일본 제국개화당 병력 100명 / 일본군 200명김옥균 /  박영효 /  홍영식 † /  서재필 /  서재창 † /  박영교 † /  서광범 /  윤웅렬 /  윤치호 /  이규완 /  정난교 /  유혁로 /  신응희 /  신복모 /  윤경순 /  윤경완 /  변수 /  다케조에 신이치로 /  시마무라 히사시 /  데라우치 마사타케 수구파 : 조선 정부. 청나라조선군 100명 / 청군 1500명 고종 /  명성황후 /  민영익 /  이조연 † /  한규직 † /  윤태준 † /  조영하 † /  심상훈 /  남정철 /  서상우 /  조병호 /  민태호 † /  민영목 † /  민응식 /  목인덕 /  이홍장 /  원세개 /  오조유 /  진수당 /  섭..

[웹북] 한성순보 (1883)

한성순보 한성순보한성순보》(漢城旬報)는 조선 말기인 1883년 10월 31일(고종 20년 음력 10월 1일) 창설된 순간(旬刊) 신문으로, 한국인이 발행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신문이라하나 친정부적 성향, 혹은 일종의 관보이다. 민영목·김만식(金晩植) 등이 주재했고, 일본인 이노우에 가쿠고로(井上角五郞)가 고문으로 있었다. 문장은 순한문(純漢文)이며,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갑신정변으로 《한성순보》를 발행하던 박문국이 불타자 12월 6일(음력 10월 19일)부터 발행이 중단되었으나, 1886년 1월 25일에 《한성주보》로 맥을 이었다. 개요조선은 정부에서 발행하는 기존의 조보(朝報)가 아닌 근대적 의미의 신문을 발행하기로 결정한다. 이는 박영효가 건의하였는데, 그는 신문의 역할 및 발행..

[웹북] 보빙사 파견

보빙사보빙사(報聘使)는 1883년 7월 조선에서 최초로 미국 등 서방 세계에 파견된 외교 사절단이다. 미국과 외교관계를 맺은 후 조선주재 미국 초대공사가 부임하자 이에 답방 형식으로 민영익을 대표로한 사절단을 워싱턴으로 보냈다. 이후 사절단은 미국과 유럽 각지를 견학한 후 귀국하였다. 본래 보빙사란 외국 사신의 방문에 대한 답방의 형태로 파견하는 사절단을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 1883년 미국에 파견된 사절단을 가리키는 용어로 통용된다. 당시 조선은 곧바로 미국에 공사관을 개설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기에 사절단을 파견하였다. 사절단의 의례적 목적은 답례와 친선 도모였으나 실질적 목적은 근대화 정책 추진에서 미국의 협력을 얻기 위해서 였다. 또한 임오군란 후 청의 간섭이 강화되자 미국으로부터 조선이 완전한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