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동아시아사 [역사지식여행] 71

[웹북] 베이징조약 (1860)

베이징 조약의 내용베이징 조약베이징 조약(북경조약, 중국어: 北京條約 Běijīng Tiáoyūe)은 제2차 아편 전쟁의 결과로, 1860년 10월 18일에 청나라가 영국, 프랑스, 러시아 제국과 체결한 조약이다. 상세이 조약은 6개의 항목으로 되어 있으며, 이 조약에 따라 청나라는 영국에 주룽(현재의 홍콩 중심부)을 내주었고, 러시아에는 우수리강동쪽 연해주까지도 내주었고 청나라는 동해로 접근이 막히게 되었다. 러시아가 만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영국은 청나라의 각종 이권을 획득했으며, 프랑스는 청나라 영토 내에서 프랑스인의 우위를 인정 받고 청나라 영토 내에서 천주교 전파 등 포교 활동의 자유를 인정받았다.공친왕1860년 10월 18일, 청나라와 제2차 아편 전쟁을 치른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은 천단, 이..

[웹북] 텐진조약 (1858)

영국과 청나라 사이의 조약 서명톈진 조약톈진 조약(天津條約, 영어: Treaty of Tientsin, Treaty of Tianjin)은 1858년 청나라와 러시아, 미국, 영국, 프랑스 사이에 맺어졌다. 1860년에 청나라 황제와 조정에 의해 비준되었다. 이 조약은 광범위한 외국의 특권을 규정하고 있어, 이후 불평등 조약의 근간이 되었다. 1858년의 조약1856년에 시작한 애로호 전쟁(또는 제2차 아편 전쟁)으로 영프 연합군이 광저우를 점령하고, 북상하면서 톈진을 제압했기 때문에, 청나라가 텐진에서 영국, 프랑스, 러시아, 미국의 4개국과 조약을 맺게 된다.청나라 대표 궤이량(桂良, Guiliang, 만주족), 화사나(花沙納, Huashana, 몽골족)러시아 대표 예프피미 푸탸틴(Евфи́мий П..

[웹북] 아이훈조약 (1858)

아이훈 조약 아이훈 조약(愛琿條約)은 1858년 헤이룽장성의 북쪽 아무르강 연안의 아이훈에서 러시아 제국과 청나라가 맺은 불평등 조약이다. 배경러시아는 청나라가 제2차 아편 전쟁(1856년 - 1860년) 중인 것을 기회로 청나라의 전권대사 이산을 협박해서 이 조약을 맺게 하였다. 이 조약은 1689년의 네르친스크 조약을 뒤집은 것으로, 러시아 제국은 이 조약을 구실로 청나라로부터 스타노보이산맥(외싱안링산맥: 外興安嶺)과 아무르강(헤이룽강, 黑龍江) 사이의 넓은 지역을 빼앗음으로써 시베리아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농사지을 수 있는 60만km2(한반도 면적의 약 3배)의 땅을 확보하고 태평양으로 향하는 부동항(블라디보스토크)을 확보할 발판을 만들었다. 내용아무르강(흑룡강, 黑龍江)의 좌안은 러시아 령으로 한다..

[웹북] 함풍제 (제9대 대청 황제> 재위: 1850~1861)

함풍제 咸豊帝 함풍제  제9대 대청 황제 (몽골 대칸)재위 1850년 3월 9일 ~ 1861년 8월 22일즉위식 도광(道光) 30년 1월 26일 (1850년 3월 9일)전임 도광제후임 동치제이름휘 아이신 교로 이주묘호 문종시호 협천익운집중수모무덕진무성효연공단인관민장검현황제(協天翊運執中垂謨懋德振武聖孝淵恭端仁寬敏莊儉顯皇帝)능호 정릉(定陵, 만주어: Tokton Munggan)연호 함풍신상정보출생일 도광(道光) 11년 6월 9일(1831년 7월 17일)출생지 청 제국 북경 원명원사망일 함풍(咸豊) 11년 7월 17일(1861년 8월 22일)사망지 청 제국 열하 피서산장부친 도광제모친 효전성황후배우자 효덕현황후 / 효정현황후 / 효흠현황후능묘 청서릉  함풍제 함풍제(咸豊帝, 1831년 7월 17일(음력 6월 9..

[웹북] 도광제 (제8대 대청 황제> 재위: 1820~1850)

도광제 道光帝 도광제 제8대 대청 황제 몽골 대칸재위 1820년 10월 3일 ~ 1850년 2월 25일즉위식 가경(嘉慶) 25년 8월 27일(1820년 10월 3일)전임 가경제후임 함풍제이름휘 아이신 교로 민닝신상정보출생일 건륭(乾隆) 47년 8월 10일 (1782년 9월 16일)사망일 도광(道光) 30년 1월 14일 (1850년 2월 25일)부친 가경제모친 효숙예황후배우자 효목성황후 / 효신성황후 / 효전성황후 / 효정성황후  도광제 도광제(道光帝, 1782년 9월 16일(음력 8월 10일) ~ 1850년 2월 25일(음력 1월 14일))는 청나라의 제8대 황제(재위 : 1820년 ~ 1850년)이다.성과 휘는 아이신 교로 민닝(愛新覺羅旻寧,  Aisin Gioro Min Ning), 묘호는 선종(宣宗..

[웹북] 난징조약 (1842)

난징 조약을 체결하는 모습난징 조약난징조약(南京條約, 영어: Treaty of Nanking)은 1840년부터 1842년까지, 2년간 벌어진 제1차 청영 전쟁을 끝내기 위해 1842년 8월 29일 청나라와 영국과의 사이에 맺은 불평등 조약이다. 이 조약으로 인해 홍콩섬이 영국 수중에 넘어갔고, 상하이, 광저우가 개방된 계기가 되었다. 배경 이 부분의 본문은 제1차 아편 전쟁입니다.제1차 아편 전쟁에서 패한 청나라는 당사자인 영국과 불평등 조약을 맺을 수밖에 없었다. 영국 대표 헨리 포팅어(Henry Pottinger)와 청나라의 전권대사로는 흠차대신 기영(耆英)과 일리부(伊里布)가 참석했다. 1842년 8월 29일, 난징 인근의 장강에 정박 중이던 영국 해군의 전열함 ‘콘월리스 호’ 함상에서 영국의 전권..

[웹북] 제2차 아편전쟁 (1856~1860)

제2차 아편 전쟁  아편 전쟁의 일부 제2차 아편 전쟁 날짜 1856년 10월 8일~1860년 10월 24일장소 청나라 해안결과 청나라의 패배톈진 조약과 베이징 조약 체결러시아 제국에 연해주 할양.영국에 영국령 홍콩의 일부로 주룽반도, 스톤커터스섬 할양 교전국  청나라 ㅣ 대영 제국 .프랑스 프랑스 제2제국.미국.러시아 제국 지휘관영국 빅토리아 여왕 / 영국 헨리 존 템플 / 영국 스탠리 경 / 영국 마이클 시모어 / 영국 제임스 호프 그랜트 / 영국 찰스 반 스트라우벤지프랑스 나폴레옹 3세 / 프랑스 모니 공작 샤를 / 프랑스 리고 드 주누이 / 프랑스 샤를 쿠쟁몽토방미국 프랭클린 피어스 / 미국 제임스 뷰캐넌 / 미국 존 C. 브레킨리지 / 미국 제임스 호프 그랜트 / 미국 조시아 태트널 3세러시아 ..

[웹북] 제1차 아편전쟁 (1839~1842)

제1차 아편 전쟁  아편 전쟁의 일부 제1차 아편 전쟁 날짜 1839년 9월 4일 - 1842년 8월 29일장소 청나라 동부해안결과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의 승리-난징 조약 체결-홍콩이 영국령이 됨-태평천국 운동 발발-과도한 세금으로 인한 농민 반란-중화사상의 약화교전국청나라  / 대영 제국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동인도 회사)지휘관청나라 도광제.임칙서 / 대영제국 빅토리아 여왕.파머스턴 경.찰스 엘리엇.조지 엘리엇.앤서니 블랙스랜드 스트랜셤병력청나라군 군인 50만 명, 군함 164척  /  영국군 군인 1,846명, 군함 48척제1차 아편 전쟁(중국어 간체자: 第一次鸦片战争, 정체자: 第一次阿片戰爭, 영어: First Opium War) 또는 제1차 영청전쟁(第一次英淸戰爭, 영어:..

[웹북] 맹자

맹자 맹자 (학자 정보)출생 기원전 372년사망 기원전 289년 (향년 83세)시대 고대철학지역 중국철학학파 유가 맹자맹자(중국어: 孟子, 병음: Mèngzǐ 멍쯔[*], 라틴어: Mencius 멩키우스, 기원전 372년?~기원전 289년?)는 공자의 사상을 이어 발전시킨 유학자이다. 전국 시대 추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가(軻)이고, 자는 자여(子輿) 또는 자거(子車), 자거(子居), 자전(子展) 등이다. 어릴 때부터 공자를 숭상하고, 공자의 사상을 발전시켜 유학을 후세에 전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생애생몰 연대는 정확하지 않지만, 맹자는 공자가 죽고서 100년쯤 뒤 추(鄒) 나라, 즉 현 산둥성 쩌우청(山東省 鄒城) 지역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맹자는 원래 노(魯) 나라 환공(桓公)의 서장자(庶長子)인..

[웹북] 공자

공자 공자 (학자 정보)출생 기원전 551년 노나라 곡부 창평향(昌平鄕) 추읍(郰邑)사망 기원전 479년 (향년 72세) 노나라 곡부시대 춘추 시대지역 동양 철학학파 유학 공자공자(중국어: 孔子, 병음: Kǒngzǐ 쿵쯔) 또는 공부자(중국어: 孔夫子, 병음: Kǒngfūzǐ 쿵푸쯔[*], 라틴어: Confucius [kənfjú:ʃəs] 콘푸키우스[*], 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는 유교의 시조(始祖)인 고대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인 · 사상가 · 교육자이고, 노나라의 문신이자 작가이면서, 시인이기도 하였다. 흔히 유교의 시조로 알려져 있으나, 어떤 관점에서라도 유가의 성격이나 철학이 일반적인 종교들과 유사히 취급될 수 없다는 점에서 20세기 중반 이후에는 이처럼 호칭하는 학자는 거의 없다. ..

[웹북] 건륭제 (6대 청나라 황제 재위 : 1735~1796)

건륭제 乾隆帝 건륭제 제6대 대청 황제몽골 대칸재위 1735년 10월 18일 ~ 1796년 2월 9일 / 즉위식 옹정 13년 9월 3일 (1735년 10월 18일)전임 옹정제 / 후임 가경제이름휘 아이신 교로 훙리 / 별호 십전노인(十全老人) / 묘호 고종(高宗) / 시호 법천융운지성선각체원입극수문분무흠명효자신성순황제 (法天隆運至誠先覺體元立極敷文奮武欽明 孝慈神聖純皇帝)신상정보출생일 강희 50년 8월 13일 (1711년 9월 25일) / 출생지 청나라 북경 옹친왕부사망일 가경 4년 1월 3일 (1799년 2월 7일) / 사망지 청나라 북경 자금성 양심전부친 옹정제 / 모친 효성헌황후 / 배우자 효현순황후 / 계황후 효의순황후묘소 유릉(裕陵)보친왕 시절의 건륭제건륭제건륭제(乾隆帝, 1711년 9월 25일(음..

[웹북] 옹정제 (청나라 황제 재위 : 1722~1735)

옹정제 雍正帝옹정제제5대 대청 황제몽골 대칸재위 1722년 12월 27일 ~ 1735년 10월 8일즉위식 강희(康熙) 61년 11월 20일(1722년 12월 27일)전임 강희제후임 건륭제이름휘 아이신 교로 인전 (ᠠᡳᠰᡳᠨ ᡤᡳᠣᡵᠣ ᡳᠨ ᠵᡝᠨ)묘호 세종(世宗)시호 경천창운건중표정문무영명관인신의예성대효지성헌황제(敬天昌運建中表正文武英明寬仁信毅睿聖大孝至誠憲皇帝)신상정보출생일 강희(康熙) 17년 10월 30일(1678년 12월 13일)출생지 청 제국 북경 자금성 영화궁사망일 옹정(雍正) 13년 8월 22일 (1735년 10월 8일)사망지 청 제국 북경 원명원부친 강희제모친 효공인황후배우자 효경헌황후 / 효성헌황후묘소 태릉(泰陵) 옹정제옹정제(雍正帝, 1678년 12월 13일(음력 10월 30일) ~ 1735..

[웹북] 강희제 (청나라 황제 재위 : 1661~1722)

강희제 康熙帝 강희제 제4대 대청 황제몽골 대칸재위 1661년 2월 7일 ~ 1722년 12월 20일즉위식 순치(順治) 18년 1월 9일 (1661년 2월 7일)전임 순치제 / 후임 옹정제이름휘 아이신 교로 효완 예이 / 별호 천고일제(千古一帝) / 묘호 성조(聖祖)시호 합천홍운문무예철공검관유효경성신중화 / 공덕대성인황제 / (合天弘運文武睿哲恭儉寬裕孝敬誠信中和 功德大成仁皇帝)신상정보출생일 순치(順治) 11년 3월 18일 / (1654년 5월 4일)출생지 청 제국 북경 자금성 경인궁사망일 강희(康熙) 61년 11월 13일 / (1722년 12월 20일)사망지 청 제국 북경 창춘원부친 순치제 / 모친 효강장황후 / 배우자 효성인황후 / 효소인황후 / 효의인황후 / 효공인황후묘소 경릉(景陵)서예를 연습하는 소..

[웹북] 진시황제 (재위기간 : 기원전 220~210)

시황제 / 始皇帝진 황제재위 기원전 220년-기원전 210년 9월 10일후임 이세황제진왕재위 기원전 247년 5월 7일-기원전 220년전임 진 장양왕후임 (칭제)이름휘 정(政, 正) 또는 영(榮) / 묘호 (없음) / 시호 (없음) / 능호 여산릉신상정보출생일 기원전 259년 2월 18일 / 출생지 조 한단사망일 기원전 210년 9월 10일 / 사망지 진 사구(沙丘; 오늘날의 허베이성 핑샹현)국적 진나라  가문 영(嬴)성 조(趙)·진(秦)씨부친 진 장양왕 / 모친 조희 / 배우자 조황후(趙皇后) / 자녀 장남 부소 / 공자 고 / 공자 장려 / 말자 호해 등능묘 여산릉진 시황제진시황제(중국어: 秦始皇帝, 병음: Qín Shǐ Huáng Dì, 기원전 259년 1월 ~ 기원전 210년 음력 6월 14일)는..

[웹북] 에도시대

에도 시대일본어식 한자 표기 (신자체) 江戸時代 / 가나 표기 えどじだい /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 에도 시대 / 한국어 한자 발음 강호 시대 / 로마자 Edo jidai도쿠가와 시대일본어식 한자 표기 (신자체) 徳川時代 / 가나 표기 とくがわじだい /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 도쿠가와 시대 / 한국어 한자 발음 덕천 시대 에도 시대 에도 시대(일본어: 江戸時代 에도 지다이) 혹은 도쿠가와 시대(일본어: 徳川時代 도쿠가와 지다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운 에도 막부가 일본을 통치한 1603년부터 1868년까지의 시기를 가리킨다. 에도 시대 일본에서는 급격한 경제 발전이 이루어졌고 유례없는 번영을 누렸다. 에도 막부는 사회 안정을 최고 국시로 삼고 쇄국 정책을 펴 외부 세력들의 출입을 막았으며, 와(和)를 기..

[웹북] 센코구시대

센고쿠 시대센고쿠 시대(일본어: 戦国時代, 전국시대)는 일본에 15세기 중반부터 16세기 후반까지 사회적, 정치적 변동이 계속된 내란의 시기이다.개요1493년의 메이오 정변, 더 이르게는 1467년의 오닌의 난에서 시작한다고 보며, 1573년에 무로마치 막부 제15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오다 노부나가에 의해 교토에서 추방되어 무로마치 막부가 무너질 때까지의 시대를 가리킨다. 무로마치 시대 말기, 혹은 오다 노부나가의 상락(1568년) 이후 오다 가문과 도요토미 가문이 정권을 잡은 시기를 쇼쿠호 시대(織豊時代) 또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라고 불러 구분하기도 한다. 이 시대의 싸움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집권한 이후에도 계속되었으며 장소만 조선으로 바뀌었을 뿐 싸움은 여전히 끊이지 않고 있다가 세키가하라 ..

[웹북]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이에야스 徳川 家康とくがわいえやす도쿠가와 이에야스세 잎의 접시 꽃 고리제1대 에도 막부 정이대장군재임 1603년 음력 2월 12일 ~ 1605년 음력 4월 16일전임 -후임 도쿠가와 히데타다신상정보시대 센고쿠 시대 ~ 에도 시대 초기·출생 덴분 11년 12월 26일 / (율리우스력: 1543년 1월 31일, 그레고리력: 1543년 2월 10일) / 미카와국 오카자키사망 겐나 2년 4월 17일 / (그레고리력: 1616년 6월 1일) / 스루가국 슨푸개명 마쓰다이라 다케치요(아명) / 마쓰다이라 모토노부(1556년, 초명) / 마쓰다이라 모토야스(1558년) / 마쓰다이라 이에야스(1563년) / 도쿠가와 이에야스(1566년)별명 관동의 너구리 / 신호 도쇼다이곤겐(東照大権現) / 계명 東照大権現..

[웹북]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요토미 히데요시 豊臣 秀吉とよとみ ひでよし고시치노키리도요토미 히데요시일본국 관백재임 1585년 ~ 1592년일본국 태정대신재임 1587년 ~ 1598년 신상정보시대 센고쿠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출생 덴분 6년 음력 2월 6일(1537년 3월 17일)[2]사망 게이초 3년 음력 8월 18일(1598년 9월 18일)개명 기노시타 도키치로(木下藤吉郞), 기노시타 히데요시, 하시바 히데요시 / 별명 도키치로(통칭), 모멘 도키치(木綿藤吉), 도요 다이코(豊太閤) / 봉호 일본국왕(日本国王) / 신호 도요쿠니다이묘진(豊国大明神) / 계명 国泰祐松院殿霊山俊龍大居士주군 마쓰시타 유키쓰나 → 오다 노부나가 → 히데노부 / 관위 지쿠젠노카미, 종5위하 좌근위소장, 종사위하 참의, 종3위 대납언, 정2위 내대신, ..

[웹북] 오다노부나가

오다 노부나가 織田 信長오다 노부나가  오다과 오다 노부나가 제4대 오다가 당주재임 1551년 ~ 1575년전임 오다 노부히데후임 오다 노부타다신상정보시대 센고쿠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출생 덴분 3년 음력 5월 12일(1534년 6월 23일)오와리국사망 덴쇼 10년 음력 6월 2일(1582년 6월 21일)야마시로국 혼노지별명 아명 : 깃보시별명 : 사부로(통칭), 제육천마왕, 멍청이[2], 적귀계명 總見院殿贈大相國一品泰嚴尊儀주군 오다 노부토모 → 시바 요시카네 → 아시카가 요시아키관위 가즈사노스케, 오와리노카미, 종5위하 탄정충, 정4위하 탄정대필, 종3위 참의, 우근위대장 정3위 권대납언, 종2위 내대신, 정2위 우대신, 증종1위 태정대신, 증정1위씨족 오다씨(織田氏)부모 아버지: 오다 노부히데어..

[웹북] 히메지성

히메지성대천수와 소천수히메지성  (유네스코 세계유산)영어명* Himeji-jo프랑스어명* Himeji-jo등록 구분 문화유산기준 Ⅰ, Ⅳ지정 역사1993년 (17차 정부간위원회) / 웹사이트 안내 (유네스코) / * 세계유산목록에 따른 정식명칭. / ** 유네스코에 의해 구분된 지역.히메지성(일본어: 姫路城ひめじじょう 히메지조)은 효고현 히메지시에 있는 제곽식 평산성이다. 성벽이 불에 타지 않도록 백색의 회벽을 발라두어 하쿠로성(일본어: 白鷺城はくろじょう 하쿠로조)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를 시라사기성(일본어: しらさぎじょう 시라사기조)으로 잘못 읽는 경우도 많이 있다. 일본을 대표하는 근세 성곽이다. 성 전체는 세계유산이며 국가 사적이다. 천수를 포함하여 여러 건물은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히메지성개요현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