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종교의 이해 (독서>책소개)/3.신화학 43

그림으로 보는 신들의 사랑

책소개 내 사랑은 과연 어떤 신의 사랑을 닮았을까? 나는 과연 어떤 신을 닮았을까? 남녀간의 사랑은 고차원 방정식만큼이나 어렵다. 사랑에 대한 노래와 소설, 영화, 미술 등은 우리 주변에 넘쳐나는데 연애는 여전히 힘들다는 이야기가 들린다. 난수표를 해독하듯 어려운 사랑에 대해 과연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은 어땠는지 사랑을 주제로 엮은 책이 바로 《그림으로 보는 신들의 사랑》이다. 사랑을 주제로 한 명화 400컷, 이 그림들은 그냥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우리 안의 시들어가는 감성과 연애세포를 건드린다. 현대인에게 가장 중요한 스펙이 되어버린 스토리텔링. 스토리텔링의 원천이 되는 그리스 로마 신화가 우리들의 연애 스펙 쌓기에 가장 적절한 조언을 줄 것이다. 그리스 신들은 인간을 빼닮았다. 그들은 인..

아르고호의 모험 : 황금양피를 찾아 떠난 그리스 영웅 55인

책소개 인간을 대표하는 그리스 신화 영웅들의 대서사시! 이 책은 칼리마코스와 테오크리토스와 함께 헬레니즘 시대의 3대 시인 중 한 명으로 알려진 아폴로니오스 로디오스의 작품 『아르고나우티카』를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아르고나우티카』는‘아르고호의 선원들’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아르고호의 모험]은 헬레니즘 시대를 대표하는 3대 시인 가운데 한 명인 아폴로니오스 로디오스의 저작으로, 국내에서는 그간 신화 관련 책을 통해서만 단편적으로 소개되어온 작품이다. '황금양피'라는 보물을 찾으러 콜키스로 떠난 그리스 원정대가 숱한 어려움을 극복한 끝에 목적을 달성하고 귀환한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이 줄거리 안에서 신들의 질투와 인간을 대표하는 영웅의 모험, 사랑과 배신, 우정 등의 주제를 흥미진진하게 풀어낸다...

신화, 인간을 말하다

책소개 신화, 인류의 모든 이야기의 씨앗! 세상은 바야흐로 이야기에 목말라 있다. 날마다 여기저기서 갖가지 이야기가 쏟아진다. TV 예능 프로그램의 초대 손님들도 입담이 뛰어나야 인기가 있다. 자고 나면 그들이 경쟁적으로 토해낸 이야기가 인터넷을 뜨겁게 달군다. 해마다 봄이 되면 신문사들은 신춘문예 당선자를 발표한다. 각 지자체도 자기 지역의 특성을 테마로 한 이야기를 공모한다. 영화나 TV 드라마뿐 아니라 온라인 게임도 참신한 이야기를 찾는 데 그야말로 혈안이 되어 있다. 광고도 이야기가 있어야 호소력이 있다. 심지어 현재 대한민국을 강타하고 있는 걷기 열풍에도 이야기가 있어야 제격이다. 제주 올레길과 지리산 둘레길 곳곳에는 재미난 이야기가 숨어 있다. 이 세상은 이처럼 온갖 이야기로 넘쳐난다. 이야기..

신화 세상에 답하다

책소개 사랑, 희생, 질투, 배신, 복수..... 신화가 들려주는 세상 모든 고뇌와 갈등, 기쁨과 희열의 이야기 신화는 인생의 모든 이야기가 집약되어 있는 저수지와 같다. 그렇다고 아무런 이야기나 모두 뒤죽박죽 모여 있는 것은 아니다. 이야기들 중에서도 인간사의 전범이 될 만한 고갱이만 정선되어 있다. 저수지에서 흘러나온 물이 논밭의 곡식을 살찌우듯 신화는 우리의 인생을 풍요롭게 만들어 준다. 신화 속에는 인생을 살면서 생길 수 있는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해답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캠벨은 이렇게 말한다. “신화는 나에게 절망의 위기 혹은 기쁨의 순간에, 실패 혹은 성공의 순간에 내가 어떻게 행동해야 할 것인가를 가르쳐 줍니다. 신화는 내가 지금 어디에 있는가를 가르쳐 줍니다.” 이 책은 우리 인..

그리스 로마 신화와 서양문화

책소개 그리스 로마 신화를 산책하듯 읽으며 서양 문화를 배우다 『그리스 로마 신화와 서양 문화』는 그리스 로마 신화가 서양 문화에 깊게 남긴 족적을 산책하듯이 편안하게 따라간다. 그래서 우선 실타래처럼 얽혀 있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올림포스 신족, 인간 심리, 사랑, 여성, 영웅, 모험, 전쟁 등 여러 주제로 나누어 차근차근 풀어가면서 그 문화적 흔적을 살펴본다. 가령 올림포스 신족의 구성원들인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들은 신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인간 유형들을 구현하고 있음을 밝혀낸다. 제우스의 신조(神鳥)인 독수리는 로마와 히틀러 시대와 미국의 국조(國鳥)인 독수리와 연결시키면서 제우스처럼 최고가 되고 싶은 인간의 원초적 욕망을 상징하는 것으로 읽어낸다. 아테나 여신과 그녀..

살아있는 한국신화

책소개 제대로 된 한국 민간 신화 입문서로 거듭난 《살아있는 우리 신화》 10년 만의 완전 개정판 『살아있는 한국신화』는 100여 주요 신들이 펼쳐내는 50여 가지 한국 신화를 원전에 충실하고 새롭고 깊이 있는 해설로 다시 개정되어 출간되었다. 총 4부로 구성되어 세상의 창조, 존재와 운명, 삶과 죽음, 욕망과 사랑, 부모 자식 그리고 인간으로서의 삶, 신화 속 여성과 영웅, 빛과 어둠 속 신들 등 핵심 화두에 따라 열네 거리로 구분하여, 화려한 그리스 로마 신화나 기괴하고 험상궂은 중국 신화와 달리 소박하고 자연스럽고 친근한 한국 신들과 그들의 세계를 보여주고 그들의 사연이 담긴 한국 신화 이야기를 들려준다. 목차 개정판 서문 _살아있는 한국의 신화, 과거에서 미래로 초판 서문 _우리 신화를 찾아서 제..

북유럽 신화

책소개 37개국 출간 밀리언셀러 아마존 선정 ‘올해의 책’ “마블 영화팬이라면 반드시 이 책을 읽어라. 마블 영화를 가장 재밌게 즐길 수 있는 방법이다.“ _아마존 독자 2019년 전 세계 마블 팬들을 위한 스페셜 에디션 출간! 이 시대 최고의 이야기꾼 닐 게이먼이 완성한 세상에서 가장 재밌고 유익한 북유럽 신화 지금 세상 사람들이 가장 열광하는 이야기는 무엇일까? 단언컨대 ‘마블 영화 시리즈’일 것이다.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전 세계 어느 곳에서든 강력한 자신의 무기를 들고 우주를 날아다니는 히어로들을 통해 무한한 상상력과 재미, 감동에 흠뻑 빠져든 사람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마블 영화 시리즈의 무엇이 이토록 많은 이들을 매혹시키는가? 그 열광과 매혹의 중심엔 ‘북유럽 신화’가 자리한다. 거대한..

길가메시 신화

책소개 길가메시, 폭군에서 지혜자로 우뚝 서다 인간의 자립과 성장에 관한 원형(原型)을 담은 이야기 『길가메시 서사시』는 폭군에 불과했던 한 인간이 고대에 지혜자요 신(神)의 위치에 오르기까지 겪었던 모험과 실패, 성장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인류 최초의 서사시이자 영웅 신화이다. 시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는 서사시 원문의 초기 번역서를 접한 후 환희와 경이로움에 사로잡혀 만나는 사람 모두에게 “정말 굉장해요!”라고 외치고 다녔다. 4천 년 동안 잠자고 있었던 고대의 마법이 풀렸기 때문이다. 인생의 본질과 성장에 관한 인류의 고민은 그때나 지금이나 흡사했다. 이 서사시에는 영생을 향한 인간의 열망, 죽음을 앞둔 자의 고뇌와 분투, 인간의 한계를 경험한 후 들어선 깨달음의 길 등, 인문적인 사유가 박진감 넘치..

신화의 힘

책소개 조셉 캠벨의 사상과 철학이 응축된 위대한 기록! [스타워즈]의 창조자 조지 루카스, 『다빈치 코드』의 원저자 댄 브라운 등 수많은 이야기꾼들의 정신적 스승, 조셉 캠벨의 사상과 철학이 유려하게 펼쳐지는 책 『신화의 힘』이 새로운 표지와 함께 개정판 도서로 발간됐다. 이 책은 우리 시대 최고의 신화학자인 조셉 캠벨과 미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인터뷰 전문 저널리스트 빌 모이어스의 대담을 엮은 것이다. 그리스 신화를 비롯해 아메리카 인디언 신화와 인도 신화, 동아시아 사상과 영화 [스타워즈]까지 넘나들며 신화의 본질과 그 안에 녹아든 지혜를 발견한다. 신화를 통해 인간을 둘러싼 모든 문제에 대한 답을 찾는 여정으로, 신화를 알아가는 과정은 결국 우리의 내면을 탐구하는 길임을 전한다. 목차 1. 신화와 현..

신들의 계보

책소개 헤시오도스의 대표작 「신들의 계보」 「일과 날」과 「여인들 목록」 「헤라클레스의 방패」가 수록되어 있다. 「신들의 계보」에는 삼라만상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인간의 본성과 복잡한 사회의 특징은 어떻게 생겨났는지를 계통적으로 서술한다. 독특한 깊이와 근원적인 힘으로, 우주의 생성과 생명의 기원, 특히 인간이 어디에서 왔는지에 대해 노래한다. 그가 다양한 비유와 상상력으로 우주의 생성 원리를 설명해줌으로써 주변의 모든 것은 인류에게 낯선 것이 아니라 이해할 수 있는 체계로 변한다. 「일과 날」에서는 「신들의 계보」의 주요 테마인 ‘정의의 구현’이라는 관점을 ‘노동의 신성함’으로 연결시키고 있으며, 그리스 문화에 대한 또 다른 보고이자 각 문헌에서 수없이 언급되는 「여인들 목록」에서는 신들의 사랑을 받아..

폐르시아 신화

책소개 그리스 로마 신화를 비롯해서 잉카와 페르시아 신화들과 마찬가지로 일보 놀라운 또는 초자연적인 존재들을 포함해서 고대의 기원과 관련된 전통적인 이야기들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페르시아 신화는 7세기 아랍 세계에 의한 정복과 새로운 신앙으로 이슬람교가 채택된 이후에도 살아남이 지금까지 역사의 긴 호흡을 이어나가고 있다. 이 책은 이란의 전설적인 과거로부터 끄집어낸 페르시아 신화는 조로아스터교에서 드러나는 선과 악의 대결, 신들의 행적, 그리고 영웅들과 전설적인 동물들의 공적들에 대한 페르시아 사회의 태도를 반영하고 있다. 다른 문화와 마찬가지로 신화는 페르시아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이란 역사와 관련지어 신화를 고려할 때, 신화에 대한 이해의 폭은 더욱 확대시킬 수 있다. 목차 1. 신들과..

잉카 신화

책소개 잉카 신화에도 잉카인들이 자신들의 존재와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세계를 이해하려는 소망이 표현되어 있다. 오늘날 안데스 산맥 도처에서 발견되는 잉카인들에 과한 수많은 신화는 주로 잉카 왕의 부활과 천년 왕국의 도래에 관한 것이다. 안데스 세계에서 17세기 유럽인의 침입으로 확산되었던 스페인 식민 세계의 파멸과 최고 지배자로서 잉카 왕의 복권을 포함하여 대 변동과 천년 왕국의 도래를 예언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여러 신화는 잉카인들의 믿음과 희망을 담고 있다. 그러나 잉카인들은 스페인 식민자들의 수탈의 역사가 지속되고 있는 동안에도 그들의 고대 신화와 전설 속에서 희망의 메세지를 확인하고 잉카 제국의 부활이라는 희망의 끈을 놓으려 하지 않았다. 이 책은 스페인, 포르투칼의 수탈의 역사 정도로만 알..

신화로 읽는 류큐 왕국

책소개 ‘동양의 하와이’이자 일본 내부의 ‘식민지’ 오키나와의 신화 그리고 아픈 역사 아름답고 평화로운 섬, ‘동양의 하와이’ 오키나와. 그러나 오키나와는 ‘류큐琉球’라는 이름의 왕국이었다가 제국 일본의 ‘내부 식민지’가 된 아픈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이 책은, 우리에게 낯선 류큐 왕국의 신화와 역사에 대한 책이다. ‘신화’라는 렌즈를 통해 들여다본 류큐 왕국의 세밀한 내면과 역사적 풍경이, 오늘날 오키나와에 남아 있는 류큐 왕국의 흔적들과 함께 펼쳐진다. 목차 들머리에서 프롤로그 구성과 내용 1. 고류큐의 신화적 코스몰로지 1장 태양왕의 신화 2장 신성의 원향原鄕 구다카지마 3장 기코에오기미와 세화 우타키 4장 태양왕의 소우주 슈리성 2. 류큐 왕국의 창세신화 1장 『중산세감』의 창세신화 2장 다른 기..

금오신화

책소개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로 알려진 『금오신화』를 다시 만난다. 조선시대의 뛰어난 문인이자 사상가로 평가받는 김시습의 작품이다. 우리나라의 역사적 사실들을 바탕으로 한, 현실과 환상을 넘나드는 다섯 편의 이야기는 그 자체로도 충분히 재미있지만 그 속에 담긴 당시 사회에 대한 비판, 통쾌한 일침이 작품을 더 의미 있게 한다. 각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그들이 경험하는 꿈같은 이야기는 실제 같지 않은 부조리를 느끼게 하지만 이는 현실의 부조리를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모습으로, 당시의 현실에 대한 작가의 인식을 엿볼 수 있게 한다. 또, 그런 당시 사회의 모습은 현재를 비추는 거울이 되어 지금까지도 의미 있는 화두를 던지고 있다. 이 책에는 번역본 외에도 한시 원문이 그대로 수록되어 있고, 작가와 작품에 ..

한국신화를 찿아 떠나는 여행

책소개 우리의 가장 오래된 서사적 담론 한국신화, 인류가 나아갈 ‘화합-상생-대동’의 미래 비전을 보여주다! ‘신화神話’는 신들에 관한 이야기로서, 인류가 만든 가장 오래된 서사적 담론이지만, 인류는 항상 자기가 속해 있는 공동체의 신화들을 토대로 문명을 이루고 문화를 창조해 왔다. 그리스 신화가 헬레니즘 문화의 근간이 된 것처럼 말이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신화는 역설적이게도 인류의 ‘과거’이면서 또한 가장 오래된 ‘미래’이기도 하다. 따라서, 우리만의 신화적 정체성을 찾아보는 것은 우리 문명·문화의 근원을 이해하는 일이며, 또한 인류가 앞으로 나아갈 비전까지도 알 수 있게 된 것이다. 한민족의 창세신화와 상고대 신화를 연구하여, 일본 제국주의와 중국 패권주의로 말미암아 왜곡되고 변질된 한국신화를 바..

살아있는 한국신화

책소개 제대로 된 한국 민간 신화 입문서로 거듭난 《살아있는 우리 신화》 10년 만의 완전 개정판 『살아있는 한국신화』는 100여 주요 신들이 펼쳐내는 50여 가지 한국 신화를 원전에 충실하고 새롭고 깊이 있는 해설로 다시 개정되어 출간되었다. 총 4부로 구성되어 세상의 창조, 존재와 운명, 삶과 죽음, 욕망과 사랑, 부모 자식 그리고 인간으로서의 삶, 신화 속 여성과 영웅, 빛과 어둠 속 신들 등 핵심 화두에 따라 열네 거리로 구분하여, 화려한 그리스 로마 신화나 기괴하고 험상궂은 중국 신화와 달리 소박하고 자연스럽고 친근한 한국 신들과 그들의 세계를 보여주고 그들의 사연이 담긴 한국 신화 이야기를 들려준다. 목차 개정판 서문 _살아있는 한국의 신화, 과거에서 미래로 초판 서문 _우리 신화를 찾아서 제..

우리신화

책소개 우리 신화에는 우리 선조들의 생활과 정신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리스·로마 신화가 유럽 문화 기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듯이 선조들의 꿈과 바람을 담고 있는 우리 신화에는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우리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이 책은 우리가 꼭 알아야 하지만 잘 알지 못하는 12가지의 우리 신화를 소개한다. 건국신화 중심의 문헌 신화가 아니라 구전신화만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인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이다. 구전 신화 중 보편성을 갖춘 것을 골라 구성해서 우리 겨레의 정서가 온전히 담겨 있는 것들이다. 칠성신화에서 바리데기, 삼신할미 전설에 이르기까지 낯설지만 정겨운 이야기들로 가득하다. 목차 우리 삶이 고스란히 담긴 이야기, 우리 신화 우리 신화에 나오는 신들 이승신 소별왕과 저승신 대별왕 저..

하늘의 나라 신화의 나라

책소개 단군, 혁거세, 주몽 등 고대 국가 시조들은 왜 하늘의 아들일까? 신라 육두품의 시조도 하늘의 아들이라고? 환웅은 왜 곰과 호랑이를 경쟁하게 만들었을까? 신화 하면 흔히들 그리스 신화를 떠올린다. 제우스, 헤라, 아테나, 아폴론 등 올림포스의 신들을 비롯해 헤라클레스, 아킬레우스, 오디세우스 등 영웅들의 흥미진진한 모험담은 무한한 상상력을 자극하고 이야기의 재미에 푹 빠져들게 만든다. 이에 반해 전 세계 건국 신화들은 단순하고 재미가 떨어진다. 왜 그럴까? 이 책의 저자는 강력한 중앙집권 국가의 등장에서 그 이유를 찾는다. 그리스는 ‘폴리스’라는 수많은 도시 국가 형태로 존재했으며, 알렉산더가 통일하기 전까지 통일 국가가 등장한 적이 없었기에 그리스 신화는 다양하고 풍부한 내용으로 지금까지 살아남..

단군신화에 대한 신연구

책소개 이 책은 단군이 모계사회에서 부계사회로, 부족국가에서 국가사회로 넘어가는 전환기의 역사, 청동기시대의 역사라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내용은 전체 1장에서 1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마다 하나의 토픽을 중심으로 단군신화 재해석의 필요성과 그 근거들을 풀어내고 있다. 저자는 특히 단군이야기를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으며 중국과 고조선의 상고사에서 나타나는 신화적, 역사적 주요 메타포가 되는 어원과 그 파생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연구하고 있다. 목차 1. 서론: 신화와 과학의 차이 2. 단군신화에 대한 구조주의와 역사주의의 통합 3. 고대 동아시아에 나타난 모계에서 부계사회로의 전환 4. 불함문화론(不咸文化論): 곰과 범의 문화층 5. 곰은 사라지고 단군이 산신령이 된 까닭은 6. 가부..

전등신화 (구우) : 중국 명대 소설

책소개 ≪전등신화≫는 중국 명대 소설이지만, 조선조 초에 이미 유입되어 왕조가 끝날 때까지 줄곧 읽힌 책이다. 김시습은 ≪전등신화≫를 읽고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를 내놓는다. 본서는, 현전하는 최고본으로 규장각에 소장된, 윤춘년과 임기가 한 구절 한 구절에 주석을 붙인 ≪전등신화구해≫를 번역한 책으로, 다른 ≪전등신화≫와는 차별성을 가진다. 목차 서문(序文) 1. 구우(瞿佑)의 전등신화서(剪燈新話序) 2. 능운한(凌雲翰)의 전등신화서(剪燈新話序) 3. 오식(吳植)의 전등신화인(剪燈新話序引) 4. 김면(金冕)의 전등신화발(剪燈新話跋) 5. 계형(桂衡)의 전등신화(剪燈新話) 시병서(詩幷序) 전등신화구해(剪燈新話句解) 권지상(卷之上) 1. 수궁경회록(水宮慶會錄) 2. 삼산복지지(三山福地誌)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