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오랫동안 동아시아와 세계의 학계에서 금기의 영역이었던 만주국에 관한 책이다. 만주는 동북아 근대사의 터부이자 블랙박스였다. 저자는 이 블랙박스를 열고 숨겨진 동아시아 근대의 복잡한 면모를 밝힌다. 우선 만주국은 신체규율및 사회동원에 입각한 파시스트적 발전국가의 모델이었다. 도 중심과 주변의 차이 대신 동질성을 동원한 일본의 만주 지배는 냉전기미국과 소련이 우방을 통제할 때 사용한 신제국주의 기법의 모델이었다.
건국에서 패망까지의 기간이 냉동상태로 잘 보관된 만주국은, 동아시아에서 “신성한 국가와 민족”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잘 확인할 수 있는 역사 실험실이기도 하다. 동아시아 근대성에 관심이 있는 인문,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은 물론이고 일반 독자들도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정치적 틀이 어떤 방식으로 형성되었는가 하는 문제와 관련하여 이 냉동 역사 실험실을 통해서 많은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건국에서 패망까지의 기간이 냉동상태로 잘 보관된 만주국은, 동아시아에서 “신성한 국가와 민족”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잘 확인할 수 있는 역사 실험실이기도 하다. 동아시아 근대성에 관심이 있는 인문,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은 물론이고 일반 독자들도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정치적 틀이 어떤 방식으로 형성되었는가 하는 문제와 관련하여 이 냉동 역사 실험실을 통해서 많은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서론
제 1 부 비교, 역사적 전망
제 1 장 20세기의 제국주의와 내셔널리즘
내셔널리즘과 제국주의
시민권, 민족적 권리, 그리고 제국주의
제국주의와 반제국주의적 내셔널리즘
주권과 세계문화
시간, 역사, 그리고 순수성
순수성의 체제
제 2 장 만주국
분쟁적 변경의 해석사
국제연맹과 주권 주장
만주국(滿洲國)
전망: 이상적 그리고 식민적
정치경제(political economy): 폭력과 발전
주권, 동원, 그리고 교와카이[協和會]
제 2 부 문명과 주권
제 3 장 아시아주의와 새 문명 담론
문명의 계보
일본과 중국에서의 아시아 문명
구세(救世)단체들과 문명담론
민중사회의 문명
만주국의 구세단체들과 국가
제 4 장 문명의 구현
근대적 가부장제
통치성과 근대 가부장제
만주국의 여성들
만주국의 국가, 가족 그리고 여성
여성과 자아의 기술(技術)
제 3 부 공간의 순수성
제 5 장 제국주의적 내셔널리즘과 변방
만주국의 민속학과 오로첸(Oroqen)
중국 지리체(geo-body)의 민속학과 역사학
제 6 장 토착의 세계
중-일 담론 속의 향토
루쉰[魯迅]과 향토작품
량샨띵의 '녹색의 골짜기'
역사 속의 '녹색의 골짜기'
지방의 재현적 구조
결 론
만주국과 제국주의
만주국과 동아시아적 근대
주권과 정체성의 규모들
제 1 부 비교, 역사적 전망
제 1 장 20세기의 제국주의와 내셔널리즘
내셔널리즘과 제국주의
시민권, 민족적 권리, 그리고 제국주의
제국주의와 반제국주의적 내셔널리즘
주권과 세계문화
시간, 역사, 그리고 순수성
순수성의 체제
제 2 장 만주국
분쟁적 변경의 해석사
국제연맹과 주권 주장
만주국(滿洲國)
전망: 이상적 그리고 식민적
정치경제(political economy): 폭력과 발전
주권, 동원, 그리고 교와카이[協和會]
제 2 부 문명과 주권
제 3 장 아시아주의와 새 문명 담론
문명의 계보
일본과 중국에서의 아시아 문명
구세(救世)단체들과 문명담론
민중사회의 문명
만주국의 구세단체들과 국가
제 4 장 문명의 구현
근대적 가부장제
통치성과 근대 가부장제
만주국의 여성들
만주국의 국가, 가족 그리고 여성
여성과 자아의 기술(技術)
제 3 부 공간의 순수성
제 5 장 제국주의적 내셔널리즘과 변방
만주국의 민속학과 오로첸(Oroqen)
중국 지리체(geo-body)의 민속학과 역사학
제 6 장 토착의 세계
중-일 담론 속의 향토
루쉰[魯迅]과 향토작품
량샨띵의 '녹색의 골짜기'
역사 속의 '녹색의 골짜기'
지방의 재현적 구조
결 론
만주국과 제국주의
만주국과 동아시아적 근대
주권과 정체성의 규모들
'41.중국.동아시아 이해 (독서>책소개) > 4.동양역사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세기 동아시아와 역사문제 (0) | 2022.08.02 |
---|---|
동아시아 근대통사 (0) | 2022.07.16 |
조선과 명청 (0) | 2022.07.15 |
동아시아 갈등의 역사와 미래전망 (0) | 2022.06.26 |
동북아 근대공간의 형성과 그 영향 (0) | 2022.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