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대한민국 현대사 (독서>책소개)/1.해방전후.미군정

한국근현대사와 친일파 문제

동방박사님 2022. 7. 17. 11:25
728x90

책소개

 
이 책에 실린 글들은 그 동안 연구소에서 주최한 학술회의 가운데 친일파 문제를 중심으로 한 과거사 청산에 관한 내용들만 간추린 것이다. 친일파 문제를 구조적, 역사적으로 다른 글들이다.

목차

식민지배 청산문제의 민족사적 이해(1992년)

1.일제 침략의 성격과 그 폐해
머리말
우리 민족사에서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의 의미
민족사에 끼친 우리 민족사에 끼친 후유증

2.친일파의 존재양태와 구조적 성격
서론-친일파의 민족사적 의미와 성격 및 범위
3.1운동 이전의 친일파
3.1운동 이후의 친일파
결론-해방후 친일파의 재생산구조

3.전후 처리와 그 문제점
문제 제기
'전후 처리'의 범위와 한계
일본 전후사의 주체와 단결
결론과 전망

4.식민지 지배의 청산을 위한 모색
침략전쟁이 남긴 것
식민 유제의 청산을 위하여

5.종합토론

한국 현대사와 친일파 청산문제

1.친일파의 정의와 범주
문제 제기의 이유
그간의 규정과 연구현황
친일 규정에서 전개되어야 할 사항
반민족에 대한 새로운 정의는?

2.해방후 친일파 청산 좌절의 원인과 그 민족사적 교훈
머리말
친일파 청산의 민족사적 자리매김
해방공간시 식민잔재 청산의 내재적 역량
미점령 정책과 친일파 청산
이승만 정권과 친일파 청산의 '완전한' 좌절

이하 생략
 

책 속으로

이처럼 일제잔재 청산의 문제는 인적청산의 문제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면 일제잔재 청산의 문제와 민족주의의 관련은 어떠한가?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는 일제잔재 청산의 주체이고, 일제잔재의 청산으로 민족주의는 비로소 완성되는 것인가?

한국의 민족주의는 하층 주도의 즉 아래로부터의 '강성 민족주의'를 그 속성으로 하고 있었던 대신, 이 강성의 한 축을 전근대성에 의지하고 있었다. 이 역시 식민지배의 구조화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인데. 식민지배의 체제화 즉 동화의 구조가 공고화 할수룩 중간지배층의 체제내화가 진행되면서 중간지배층은 하층과 유리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반면 한국의 지배층과 중간지배층은 그것이 주체적인 근대화가 아니었다고 할지라도 근대화의 주도층으로서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하층민족주의는 한국인 지배층의 지배구조를 깨뜨리거나 대체하지 못한 채 그에 반발하는 형태로 민족주의운동을 진행시킬 수밖에 없었다. 말하자면 민족주의 담론과 근대화의 담론은 체제에 대한 저항과 협조라는 담론으로 한국인의 담론을 대표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하층 주도의 한국민족주의는 한국인 지배층의 생활의식을 자기 것으로 전유하면서 근대화에 반발하는 형태의 민족주의로 주형되어 갔다. 일제는 향약이나 동계류의 전통적인 조직이나 의례를 실시함으로써 전근대적 의식과 생활양식을 일제의 통치에 활용하려 하였다. 이에 따라 일제 지배를 통하여 전통적 유교윤리와 의례는 오히려 피지배층의 한국인에게 확산되었다.
---p.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