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많은 국민들은 보통 이들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가 모두 약탈 문화재이고, 따라서 과거사에 대한 사과를 받고 모두 환수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곤 한다. 이는 역사적으로 많은 문화재를 약탈당한 국가의 국민으로서 자연스러운 태도일 수 있다. 2012년의 대마도 불상 탈취 사건이 불법적인 것이었음에도 여러 국민들이 공감대를 형성했고 사법부가 ‘반환 불가’ 결정을 내린 것도 일제강점기라는 역사적 맥락을 제외하고 생각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를 단순히 ‘환수’라는 틀로만 바라볼 수는 없다.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가 모두 약탈 문화재는 아니며, 외교적 선물이나 무역 거래, 혹은 개인 간 교류를 통해 건너간 문화재도 상당수를 차지한다. 또한 ‘환수’ 못지않게 현지 박물관 등에서 우리 문화와 역사를 올바르게 소개하는 데 쓰는 ‘현지 활용’도 중요하다. 현실적인 문제도 있다. ‘부당하게 유출된 문화재는 과거사에 대한 사과와 함께 반드시 환수해야 한다’는 강경한 태도를 취하게 되면, 아직 알려지지 않은 문화재를 가진 소장자나 국가가 환수 압박을 느껴 문화재를 숨겨버리게 된다.
이 책은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하 재단) 초대 이사장인 저자가 지난 2016년 9월 임기를 마치기까지 4년간 수행해온 여러 작업을 엮어,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의 실태를 바라보고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그러나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를 단순히 ‘환수’라는 틀로만 바라볼 수는 없다.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가 모두 약탈 문화재는 아니며, 외교적 선물이나 무역 거래, 혹은 개인 간 교류를 통해 건너간 문화재도 상당수를 차지한다. 또한 ‘환수’ 못지않게 현지 박물관 등에서 우리 문화와 역사를 올바르게 소개하는 데 쓰는 ‘현지 활용’도 중요하다. 현실적인 문제도 있다. ‘부당하게 유출된 문화재는 과거사에 대한 사과와 함께 반드시 환수해야 한다’는 강경한 태도를 취하게 되면, 아직 알려지지 않은 문화재를 가진 소장자나 국가가 환수 압박을 느껴 문화재를 숨겨버리게 된다.
이 책은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하 재단) 초대 이사장인 저자가 지난 2016년 9월 임기를 마치기까지 4년간 수행해온 여러 작업을 엮어,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의 실태를 바라보고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출판사 리뷰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현재 해외 소재의 한국문화재는 20개국 582개처 167,968점으로 추산된다(2016년 9월 1일 기준,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조사).
많은 국민들은 보통 이들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가 모두 약탈 문화재이고, 따라서 과거사에 대한 사과를 받고 모두 환수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곤 한다. 이는 역사적으로 많은 문화재를 약탈당한 국가의 국민으로서 자연스러운 태도일 수 있다. 2012년의 대마도 불상 탈취 사건이 불법적인 것이었음에도 여러 국민들이 공감대를 형성했고 사법부가 ‘반환 불가’ 결정을 내린 것도 일제강점기라는 역사적 맥락을 제외하고 생각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를 단순히 ‘환수’라는 틀로만 바라볼 수는 없다.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가 모두 약탈 문화재는 아니며, 외교적 선물이나 무역 거래, 혹은 개인 간 교류를 통해 건너간 문화재도 상당수를 차지한다. 또한 ‘환수’ 못지않게 현지 박물관 등에서 우리 문화와 역사를 올바르게 소개하는 데 쓰는 ‘현지 활용’도 중요하다. 현실적인 문제도 있다. ‘부당하게 유출된 문화재는 과거사에 대한 사과와 함께 반드시 환수해야 한다’는 강경한 태도를 취하게 되면, 아직 알려지지 않은 문화재를 가진 소장자나 국가가 환수 압박을 느껴 문화재를 숨겨버리게 된다.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어떤 문화재를 어떤 방법으로 환수해야 하며, 환수가 아닌 다른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또 지금까지 환수된 문화재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우리가 앞으로 지향해야 할 장기적인 방책은 무엇일까?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초대 이사장이 말하는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
이 책은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하 재단) 초대 이사장인 저자가 지난 2016년 9월 임기를 마치기까지 4년간 수행해온 여러 작업을 엮어,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의 실태를 바라보고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재단은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를 체계적으로 조사, 연구하고 활용, 홍보하기 위해 2012년 7월 만들어진 문화재청 산하 특수법인이다. 재단은 지난 4년간 해외 유수의 박물관과 미술관은 물론, 민간에 흩어져 있는 한국문화재의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는 작업을 수행해왔으며, 이들에 대한 환수와 현지 활용, 그리고 우리 국민들에게 그 과정과 결과를 알리는 작업을 위해 힘써왔다.
재단은 중국이나 일본은 물론 서구의 어느 나라에도 유례가 드문 특이하고 특별한 위상의 기구다. 이들 나라들은 이미 자국의 문화재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전시하고 보살피는 수준 높은 전문가들이 수많은 박물관들과 대학들에 포진해 있으면서 최선의 기능성과 효율성을 발휘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우리 재단과 똑같은 별도의 특수 재단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때문에 저자는 재단의 초대 이사장으로서 재단의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고, 각종 사업의 틀을 짜고, 제반의 기본 원칙들을 수립하면서 기반을 다지는 일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했다.
이 책은 해외문화재에 대한 저자의 이런저런 생각과 주장은 물론 저자와 재단이 지난 4년 동안 시행해온 여러 의미 있는 일들을 담고 있다. 해외의 우리 문화재에 관하여 저자가 그동안 썼던 논문들과 학술적인 단문들(제1장과 제2장), 재단이 조사하여 낸 각종 보고서에 저자가 취지와 동기를 밝힌 발간사(제3장), 신문·잡지와의 인터뷰 기사(제4장)로 구성하였다. 이 글들을 통하여 독자들은 저자가 해외의 우리 문화재들에 대하여 무슨 생각들을 어떻게 해왔고, 어떻게 대응해 왔으며, 재단은 초대이사장의 주도하에 무엇을 어떻게 해왔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가 있을 것이다. 즉 해외의 우리 문화재뿐만 아니라 그것을 담당한 재단의 역할까지도 이해하게 되리라 여겨진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재단과 저자가 지난 4년간 우리나라의 해외문화재를 위하여 해온 일들을 총정리한 결과보고서 비슷한 성격을 띠고 있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간결하게 정리한 한국의 해외문화재 안내서
이 책은 특히 문화와 문화재 관련 공무원들, 각급 박물관과 미술관의 학예원들, 각급 학교 교사들, 여러 언론사의 기자들, 문화재 소장가들, 문화재 시민단체의 운동가들에게 좋은 안내서가 될 것이다. 또한 일반 독자들도 해외의 우리 문화재를 어떻게 보고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바람직한 것인지 바르게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 책의 숨은 장점은 일생 동안 미술사를 연구한 저자의 여러 문화재들에 대한 친절하고 상세한 해설이 담겨 있다는 점이다. 겸재정선화첩, 데라우치문고, 덕종 어보 등 주요 환수 문화재들에 대해 컬러 도판과 함께 설명을 곁들여 읽는 재미를 준다.
현재 해외 소재의 한국문화재는 20개국 582개처 167,968점으로 추산된다(2016년 9월 1일 기준,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조사).
많은 국민들은 보통 이들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가 모두 약탈 문화재이고, 따라서 과거사에 대한 사과를 받고 모두 환수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곤 한다. 이는 역사적으로 많은 문화재를 약탈당한 국가의 국민으로서 자연스러운 태도일 수 있다. 2012년의 대마도 불상 탈취 사건이 불법적인 것이었음에도 여러 국민들이 공감대를 형성했고 사법부가 ‘반환 불가’ 결정을 내린 것도 일제강점기라는 역사적 맥락을 제외하고 생각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를 단순히 ‘환수’라는 틀로만 바라볼 수는 없다.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가 모두 약탈 문화재는 아니며, 외교적 선물이나 무역 거래, 혹은 개인 간 교류를 통해 건너간 문화재도 상당수를 차지한다. 또한 ‘환수’ 못지않게 현지 박물관 등에서 우리 문화와 역사를 올바르게 소개하는 데 쓰는 ‘현지 활용’도 중요하다. 현실적인 문제도 있다. ‘부당하게 유출된 문화재는 과거사에 대한 사과와 함께 반드시 환수해야 한다’는 강경한 태도를 취하게 되면, 아직 알려지지 않은 문화재를 가진 소장자나 국가가 환수 압박을 느껴 문화재를 숨겨버리게 된다.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어떤 문화재를 어떤 방법으로 환수해야 하며, 환수가 아닌 다른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또 지금까지 환수된 문화재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우리가 앞으로 지향해야 할 장기적인 방책은 무엇일까?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초대 이사장이 말하는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
이 책은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하 재단) 초대 이사장인 저자가 지난 2016년 9월 임기를 마치기까지 4년간 수행해온 여러 작업을 엮어,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의 실태를 바라보고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재단은 해외 소재 한국문화재를 체계적으로 조사, 연구하고 활용, 홍보하기 위해 2012년 7월 만들어진 문화재청 산하 특수법인이다. 재단은 지난 4년간 해외 유수의 박물관과 미술관은 물론, 민간에 흩어져 있는 한국문화재의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는 작업을 수행해왔으며, 이들에 대한 환수와 현지 활용, 그리고 우리 국민들에게 그 과정과 결과를 알리는 작업을 위해 힘써왔다.
재단은 중국이나 일본은 물론 서구의 어느 나라에도 유례가 드문 특이하고 특별한 위상의 기구다. 이들 나라들은 이미 자국의 문화재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전시하고 보살피는 수준 높은 전문가들이 수많은 박물관들과 대학들에 포진해 있으면서 최선의 기능성과 효율성을 발휘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우리 재단과 똑같은 별도의 특수 재단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때문에 저자는 재단의 초대 이사장으로서 재단의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고, 각종 사업의 틀을 짜고, 제반의 기본 원칙들을 수립하면서 기반을 다지는 일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했다.
이 책은 해외문화재에 대한 저자의 이런저런 생각과 주장은 물론 저자와 재단이 지난 4년 동안 시행해온 여러 의미 있는 일들을 담고 있다. 해외의 우리 문화재에 관하여 저자가 그동안 썼던 논문들과 학술적인 단문들(제1장과 제2장), 재단이 조사하여 낸 각종 보고서에 저자가 취지와 동기를 밝힌 발간사(제3장), 신문·잡지와의 인터뷰 기사(제4장)로 구성하였다. 이 글들을 통하여 독자들은 저자가 해외의 우리 문화재들에 대하여 무슨 생각들을 어떻게 해왔고, 어떻게 대응해 왔으며, 재단은 초대이사장의 주도하에 무엇을 어떻게 해왔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가 있을 것이다. 즉 해외의 우리 문화재뿐만 아니라 그것을 담당한 재단의 역할까지도 이해하게 되리라 여겨진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재단과 저자가 지난 4년간 우리나라의 해외문화재를 위하여 해온 일들을 총정리한 결과보고서 비슷한 성격을 띠고 있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간결하게 정리한 한국의 해외문화재 안내서
이 책은 특히 문화와 문화재 관련 공무원들, 각급 박물관과 미술관의 학예원들, 각급 학교 교사들, 여러 언론사의 기자들, 문화재 소장가들, 문화재 시민단체의 운동가들에게 좋은 안내서가 될 것이다. 또한 일반 독자들도 해외의 우리 문화재를 어떻게 보고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바람직한 것인지 바르게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 책의 숨은 장점은 일생 동안 미술사를 연구한 저자의 여러 문화재들에 대한 친절하고 상세한 해설이 담겨 있다는 점이다. 겸재정선화첩, 데라우치문고, 덕종 어보 등 주요 환수 문화재들에 대해 컬러 도판과 함께 설명을 곁들여 읽는 재미를 준다.
'57.미술의 이해 (독서>책소개) > 4.한국미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최고의 풍속 화가 김홍도 (0) | 2022.09.20 |
---|---|
그 사람을 가졌는가 (0) | 2022.09.20 |
조선시대 산수화 특강 (안휘준) (0) | 2022.07.26 |
한국 고분벽화 연구 (안휘준) (0) | 2022.07.26 |
한국 회화의 4대가 (안휘준)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