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소개
역사화해(History Reconciliation)는 역사인식의 차이를 극복하여 공생을 위한 미래지향적 인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역사화해를 위해 우선 필요한 것은 과거사를 규명하고 역사적 사실을 공유하는 것이다. 역사화해를 위한 선인들의 발자취를 현시점에서 발굴하고 공유함 으로써 화해의 과정을 계승할 필요가 있다. 역사화해 과정에 발자취를 남기고 기여한 인물을 ‘지식인(intellectuals)’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지식인은 ‘경계인’으로서 사상과 사실을 발신 하 고 타인을 대변하기도 하고 때로는 권력을 비판하는 역할을 한다. 지식인들의 발자취에서 미 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위한 지혜와 교훈을 발견하고 계승하기를 기대한다.
목차
책머리에
1장 야마베 겐타로와 일제의 한반도 침략사 연구 _ 박맹수
I. 머리말
II. 운동가로서의 야마베 겐타로
III. 역사가로서의 야마베 겐타로
IV. 일본 제국주의의 한반도 침략사 연구
V. 맺음말
2장 세계·일본·한국을 잇는 역사화해: 아라이 신이치 _ 하종문
I. 머리말
II. 전후역사학과 아라이 신이치
III. 아시아의 발견과 민중의 전쟁책임
IV. 역사화해의 전망과 실천
IV. 맺음말
3장 가토 아키라 역사화해와 역사교육 공동연구의 원류(源流) _ 우메노 마사노부
I. 머리말
II. 연구와 교육
III. 1957년 와카모리 다로와의 만남
-‘기원절’ 부활 반대와 교과서 검정 비판
IV. 1965년 한일기본조약과 역사화해 프로세스
V. 1976년 이원순과의 만남-역사화해 프로세스의 단서
VI. 1978년 사실에 근거한 식민지기에 대한 자성적 평가
VII. 1982년 근린제국(近隣諸國)조항의 계기성
VIII. 1987년 역사교육 공동연구의 시작
IX. 1991년 ‘한일합동 역사교과서 연구회’의 근현대사 분석
X. 1989년 학습지도요령의 역사학습
XI. 1996년 『신편 일본사』 비판
XII. 2000년 ‘과거청산’ 심포지엄 -정재정 교수와의 대화
XIII. 이원순과의 신뢰관계
XIV. 맺음말
4장 호소카와 가로쿠의 일본 제국주의 인식과식민지 조선통치 비판 _ 서종진·153
I. 머리말
II. 호소카와의 발자취
III. 호소카와의 일본 제국주의 인식과 식민주의 비판
IV. 맺음말
5장 재일지식인 김달수와 한·일 화해의 길 _ 송완범
I. 머리말: 왜 지금 김달수인가
II. ‘문학청년’으로서의 김달수
III. ‘고대사가’로의 전향, 김달수
IV. ‘일본 속의 조선 문화’ - ‘한일관계를 인간화하는 길’
V. 맺음말: 김달수와 한일 간의 화해
6장 재일조선인사 연구의 선구자 박경식:
『在日朝鮮人運動史硏究-8·15解放前-』을 중심으로 _ 김인덕
I. 머리말·242
II. 박경식 연보와 기억의 정치
III. 박경식의 재일조선인사 연구와 인식
IV. 1920년대 재일조선인사 연구
V. 맺음말
7장 재일을 살며 재일을 기르고 재일의 시각으로 역사를 쓴 강재언 _ 김웅기
I. 머리말
II. 좌익 활동가에서 국사학자로
III. 국사학자로서의 강재언
-사림파의 주자학일존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IV. 시바 료타로와의 교류
V. 한국방문 그리고 재일동포 후학들의 스승으로서의 강재언
VI. 맺음말: 한국에서 ‘재일’의 입장으로 바라보는 강재언
찾아보기
1장 야마베 겐타로와 일제의 한반도 침략사 연구 _ 박맹수
I. 머리말
II. 운동가로서의 야마베 겐타로
III. 역사가로서의 야마베 겐타로
IV. 일본 제국주의의 한반도 침략사 연구
V. 맺음말
2장 세계·일본·한국을 잇는 역사화해: 아라이 신이치 _ 하종문
I. 머리말
II. 전후역사학과 아라이 신이치
III. 아시아의 발견과 민중의 전쟁책임
IV. 역사화해의 전망과 실천
IV. 맺음말
3장 가토 아키라 역사화해와 역사교육 공동연구의 원류(源流) _ 우메노 마사노부
I. 머리말
II. 연구와 교육
III. 1957년 와카모리 다로와의 만남
-‘기원절’ 부활 반대와 교과서 검정 비판
IV. 1965년 한일기본조약과 역사화해 프로세스
V. 1976년 이원순과의 만남-역사화해 프로세스의 단서
VI. 1978년 사실에 근거한 식민지기에 대한 자성적 평가
VII. 1982년 근린제국(近隣諸國)조항의 계기성
VIII. 1987년 역사교육 공동연구의 시작
IX. 1991년 ‘한일합동 역사교과서 연구회’의 근현대사 분석
X. 1989년 학습지도요령의 역사학습
XI. 1996년 『신편 일본사』 비판
XII. 2000년 ‘과거청산’ 심포지엄 -정재정 교수와의 대화
XIII. 이원순과의 신뢰관계
XIV. 맺음말
4장 호소카와 가로쿠의 일본 제국주의 인식과식민지 조선통치 비판 _ 서종진·153
I. 머리말
II. 호소카와의 발자취
III. 호소카와의 일본 제국주의 인식과 식민주의 비판
IV. 맺음말
5장 재일지식인 김달수와 한·일 화해의 길 _ 송완범
I. 머리말: 왜 지금 김달수인가
II. ‘문학청년’으로서의 김달수
III. ‘고대사가’로의 전향, 김달수
IV. ‘일본 속의 조선 문화’ - ‘한일관계를 인간화하는 길’
V. 맺음말: 김달수와 한일 간의 화해
6장 재일조선인사 연구의 선구자 박경식:
『在日朝鮮人運動史硏究-8·15解放前-』을 중심으로 _ 김인덕
I. 머리말·242
II. 박경식 연보와 기억의 정치
III. 박경식의 재일조선인사 연구와 인식
IV. 1920년대 재일조선인사 연구
V. 맺음말
7장 재일을 살며 재일을 기르고 재일의 시각으로 역사를 쓴 강재언 _ 김웅기
I. 머리말
II. 좌익 활동가에서 국사학자로
III. 국사학자로서의 강재언
-사림파의 주자학일존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IV. 시바 료타로와의 교류
V. 한국방문 그리고 재일동포 후학들의 스승으로서의 강재언
VI. 맺음말: 한국에서 ‘재일’의 입장으로 바라보는 강재언
찾아보기
'40.한일관계사 연구 (전공분야>책소개) > 5.전후한일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일회담 1965 - 전후 한일관계의 원점을 검증하다 (0) | 2023.01.11 |
---|---|
현대 한일문제의 기원 : 한일회담과 '전후 한일관계' (0) | 2023.01.11 |
한일 관계의 궤적과 역사인식 (0) | 2022.09.22 |
한일 관계 위기,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2022) : 식민지배 책임문제 (0) | 2022.08.07 |
일본, 한국을 상상하다 : 한국 인식의 역사와 현재 (0)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