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석학인문강좌 53권.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인 금장태 저자가 한국 유교의 세계관과 시대적 과제를 살펴본다. 유교사상은 우리 역사를 통해 그 시대에서 세계를 이해하는 눈을 열어 주고, 사람이 살아가는 도리와 사회를 유지하는 규범을 제시해 왔다. 따라서 한국유교의 사상적 흐름과 이념의 정신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과제는 그 시대마다 새롭게 제시되었던 세계관과 가치질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목차
_ 머리말·4
제1장 고려말-조선초 주자학의 수용과 정착과정
1. 고려말 주자학 수용의 성격·13
2. 고려말 주자학 도입의 배경과 도입과정·16
(1) 고려말 주자학 도입의 배경
(2) 고려말 주자학의 도입과정
3. 고려말 주자학의 정착과정과 사회적 의미·35
(1) 고려말 주자학의 정착과정
(2) 고려후기 주자학 수용의 사회적 의미
4. 조선초 전환기의 주자학과 사림파의 성립·50
(1) 조선초 전환기 주자학의 정신
(2) 길재(吉再)와 조선초 사림파의 학맥
5. 정도전과 권근의 주자학 정립·56
(1) 정도전(鄭道傳)의 불교비판과 경세론
(2) 권근(權近)의 성리학과 경학
6. 조선초 전환기 주자학이 지닌 의미·75
제2장 조선시대 도학의 사유체계와 쟁점의 성격
1. 조선시대 도학의 성격과 과제·81
2. 조선시대 도학의 사유체계·84
(1) 우주론적 근원의 ‘일원’(一元)에 따른 통합의 논리
(2) 도덕적 인격 배양과 정당성의 사회적 실현을 위한 신념의 확립
(3) 사회적 질서를 추구하는 예법과 치도의 실현
3. 도통(道統)의 정통의식과 이단비판 논리·94
(1) ‘도통’의 중시와 조선의 ‘도통’인식
(2) 이단비판과 ‘정학’(正學)의 수호
4. ‘심-성’(心性)의 인식과 수양·109
(1) ‘심-성’의 이기론적 인식과 현실적 대응
(2) 심성의 수양론적 이해
5. 의리(義理)의 신념과 치도(治道)의 실현·128
(1) 의리의 기준과 사회적 실현
(2) 치도(治道)의 과제―예교(禮敎)와 경세(經世)
6. 조선시대 도학의 기능과 역기능·144
제3장 조선후기 실학의 세계관과 현실인식의 과제
1. 조선후기 실학사상의 과제·151
2. 조선후기 실학의 세계관·155
(1) 실학의 ‘열린 정신’과 포용적 자세
(2) 실학의 ‘현실중심의식’과 개혁의 과제
3. 제도개혁과 경세론의 과제·168
(1) 사회제도의 개혁론
(2) 토지제도의 개혁론
(3) 신분제도의 개혁론
4. 서양 과학지식의 수용과 기술의 이용·177
⑴ 서양 과학지식의 수용
⑵ 북학파의 기술 이용과 후생의 과제
5. 고증학의 수용과 국학(國學)의 관심·189
⑴ 고증학의 수용과 실증적 연구
(2) 국학(國學) 연구의 전개
6. 조선후기 실학의 성격과 의미·198
제4장 한국 근대 유교개혁론의 양상과 과제
1. 한국 근대 유교의 변혁을 위한 과제·205
2. 한국 근대 유교개혁론의 유형과 과제·208
(1) 유교개혁론의 시대배경
(2) 유교개혁론의 유형
(3) 유교개혁론의 성격
3. 애국계몽사상과 양명학 기반의 유교개혁론·221
(1) 애국계몽사상가의 유교개혁론
(2) 박은식의 양명학에 기반을 둔 유교개혁사상
4. 도학 배경의 유교개혁론·236
(1) 이승희의 공교회(孔敎會) 활동과 도학의 개방적 계승
(2) 송기식의 『유교유신론』과 유교개혁사상
5. 경학기반의 유교개혁사상·247
(1) 이병헌의 공교(孔敎)활동과 금문(今文)경학
(2) 박장현의 유교개혁사상과 우리 역사의 경전화
6. 한국 근대 유교개혁론이 지닌 의미·259
_참고문헌·263
_인명 찾아보기·265
제1장 고려말-조선초 주자학의 수용과 정착과정
1. 고려말 주자학 수용의 성격·13
2. 고려말 주자학 도입의 배경과 도입과정·16
(1) 고려말 주자학 도입의 배경
(2) 고려말 주자학의 도입과정
3. 고려말 주자학의 정착과정과 사회적 의미·35
(1) 고려말 주자학의 정착과정
(2) 고려후기 주자학 수용의 사회적 의미
4. 조선초 전환기의 주자학과 사림파의 성립·50
(1) 조선초 전환기 주자학의 정신
(2) 길재(吉再)와 조선초 사림파의 학맥
5. 정도전과 권근의 주자학 정립·56
(1) 정도전(鄭道傳)의 불교비판과 경세론
(2) 권근(權近)의 성리학과 경학
6. 조선초 전환기 주자학이 지닌 의미·75
제2장 조선시대 도학의 사유체계와 쟁점의 성격
1. 조선시대 도학의 성격과 과제·81
2. 조선시대 도학의 사유체계·84
(1) 우주론적 근원의 ‘일원’(一元)에 따른 통합의 논리
(2) 도덕적 인격 배양과 정당성의 사회적 실현을 위한 신념의 확립
(3) 사회적 질서를 추구하는 예법과 치도의 실현
3. 도통(道統)의 정통의식과 이단비판 논리·94
(1) ‘도통’의 중시와 조선의 ‘도통’인식
(2) 이단비판과 ‘정학’(正學)의 수호
4. ‘심-성’(心性)의 인식과 수양·109
(1) ‘심-성’의 이기론적 인식과 현실적 대응
(2) 심성의 수양론적 이해
5. 의리(義理)의 신념과 치도(治道)의 실현·128
(1) 의리의 기준과 사회적 실현
(2) 치도(治道)의 과제―예교(禮敎)와 경세(經世)
6. 조선시대 도학의 기능과 역기능·144
제3장 조선후기 실학의 세계관과 현실인식의 과제
1. 조선후기 실학사상의 과제·151
2. 조선후기 실학의 세계관·155
(1) 실학의 ‘열린 정신’과 포용적 자세
(2) 실학의 ‘현실중심의식’과 개혁의 과제
3. 제도개혁과 경세론의 과제·168
(1) 사회제도의 개혁론
(2) 토지제도의 개혁론
(3) 신분제도의 개혁론
4. 서양 과학지식의 수용과 기술의 이용·177
⑴ 서양 과학지식의 수용
⑵ 북학파의 기술 이용과 후생의 과제
5. 고증학의 수용과 국학(國學)의 관심·189
⑴ 고증학의 수용과 실증적 연구
(2) 국학(國學) 연구의 전개
6. 조선후기 실학의 성격과 의미·198
제4장 한국 근대 유교개혁론의 양상과 과제
1. 한국 근대 유교의 변혁을 위한 과제·205
2. 한국 근대 유교개혁론의 유형과 과제·208
(1) 유교개혁론의 시대배경
(2) 유교개혁론의 유형
(3) 유교개혁론의 성격
3. 애국계몽사상과 양명학 기반의 유교개혁론·221
(1) 애국계몽사상가의 유교개혁론
(2) 박은식의 양명학에 기반을 둔 유교개혁사상
4. 도학 배경의 유교개혁론·236
(1) 이승희의 공교회(孔敎會) 활동과 도학의 개방적 계승
(2) 송기식의 『유교유신론』과 유교개혁사상
5. 경학기반의 유교개혁사상·247
(1) 이병헌의 공교(孔敎)활동과 금문(今文)경학
(2) 박장현의 유교개혁사상과 우리 역사의 경전화
6. 한국 근대 유교개혁론이 지닌 의미·259
_참고문헌·263
_인명 찾아보기·265
출판사 리뷰
고대국가가 성립하는 단계였던 삼국시대 초기 이후로 유교사상은 가장 멀리 뻗어가고 가장 큰 흐름을 이루며 한국사상사의 지도를 그려 왔다. 그만큼 유교사상은 우리 역사를 관통하여 흘러왔으며, 특히 조선시대에서는 가장 치열한 문제의식을 제기하며 시대사회를 이끌어 왔다. 따라서 유교사상은 우리 역사의 가장 큰 정신적 유산이요,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유교사상을 이해하는 것은 바로 우리 의식의 뿌리를 찾는 일이요,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길이기도 하다.
유교사상은 우리 역사를 통해 그 시대에서 세계를 이해하는 눈을 열어 주고, 사람이 살아가는 도리와 사회를 유지하는 규범을 제시해 왔다. 따라서 한국유교의 사상적 흐름과 이념의 정신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과제는 그 시대마다 새롭게 제시되었던 세계관과 가치질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뜻에서 이 책의 제목을 『한국유교의 정신?세계관과 시대적 과제』라 붙여 보았다.
'35.조선시대사 이해 (독서>책소개) > 2.조선의학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교 -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 (0) | 2022.11.22 |
---|---|
유교적 경세론과 조선의 제도들 (제임스 버나드 팔레) - 유형원과 조선후기 (0) | 2022.11.22 |
눌암 기략 (2022) - 서학을 둘러싼 남인들의 전쟁기록 (0) | 2022.11.05 |
송담유록 (2022) -초기교회사 자료의 숨은 보석 (0) | 2022.11.05 |
새로 쓰는 17세기 조선 유학사 (0) | 2022.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