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한국근대사 [역사지식여행]/7.독립운동 (임시정부.단체.인물) 31

[웹북] 이시영 (독립운동가) 1869~1953 *대한민국 초대부통령

이시영 (1868년)성재 이시영 省齋 李始榮대한민국 초대 부통령후임 김성수이름별호 호 성재, 시림산인, 자 성옹, 성흡이시영 (신상정보)출생일 1869년 12월 3일출생지 조선 한성부사망일 1953년 4월 17일(83세)사망지 대한민국 경상남도 부산시국적 대한민국정당 한국국민당(1935)→한국독립당(1940)→독립촉성중앙회(1946)→민주국민당(1952)배우자 경주 김씨, 반남 박씨자녀 아들 이규열종교 유교(성리학) → 대종교 → 개신교(감리교)서훈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이시영이시영(李始榮, 1869년 12월 3일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다. 본관은 경주로, 자(字)는 성흡(城翕), 성옹(聖翁), 호는 성재(省齋)·시림산인(始林山人), 본명은..

[웹북] 최현배 (독립운동가) 1894~1970 *한글학자

최현배최현배 (신상정보)출생 1894년 10월 19일 (조선 경상도 울산도호부 울산군 내상면 동리)사망 1970년 3월 23일(75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거주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성별 남성국적 대한민국본관 경주별칭 호(號): 외솔직업 한글학자, 국어운동가, 교육자, 독립운동가, 대학 교수학력 일본 교토 제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학 석사종교 유교(성리학)→개신교부모 최병수(부), 경주 박씨 부인(모)형제 최현구(아우)배우자 이장련자녀 4남(첫째아들 최영해, 둘째아들 최순해, 셋째아들 최신해, 막내아들 최철해)가족최동식(친장손자) 최은경(친장손녀)친척 이혜자(둘째 며느리) 최규식(친가 족척)활동 기간 1920년~1966년 10월 11일경력 미군정청 학무국 편수과장 역임미군정..

[웹북] 손병희 (독립운동가) 1861~1922 (61세)

손병희 / 孫秉熙 손병희 (간략정보)출생 1861년 4월 8일 / 조선 충청도 청주목 청원군 산외이면 대주리사망 1922년 5월 19일(61세) / 일제강점기 경성부 / 매장지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금암리거주지 대한제국 한성부국적 대한제국 / 민족 한민족(밀양 손씨)  / 별칭 자(字)는 응구(應九)도호(道號)는 의암(義菴)타지로 잠시 한때 망명하던 시기 가명은 이상헌(李祥憲)경력 대한국민의회 대통령(1919년 2월 1일~1919년 3월 21일) / 조선민국 임시정부 대통령(1919년 4월 10일~1919년 4월 13일)활동 기간 1882년~1921년 1월 18일교파 동학수행 성직 천도교칭호 천도교 제3대 교주칭호 기간 1897년 4월 11일~1908년 1월 18일직업 천도교(동학)의 ..

[웹북] 조소앙 (독립운동가) 1887~1958 *임시정부 외무총장

조소앙경중 조소앙 선생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무총장임기 1922년 9월 8일~1924년 12월 17일대통령 이승만 임정 대통령수상 신규식 임정 총리 임시 권한대행노백린 임정 총리 / 김구 임정 총리 임시서리 / 이동녕 임정 총리 / 차관 정인과 임정 외무부 차장 / 박찬익 임정 외무부 차장이름본명 조용은(趙鏞殷) → 조소앙(趙素昻)신상정보출생일 1887년 5월 2일출생지 조선 경기도 파주군 월롱면사망일 1958년 9월 10일(71세)사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특별시학력 일본 도쿄 메이지 대학교 법학과 학사경력 한국독립당 상임고문 겸 당무위원 / 사회당 총재 겸 상임고문 / 한국독립당 국회의원 / 무소속 국회의원정당 무소속부모 조정규(부), 박필양(모)형제자매 조용하(형) / 조용주(아우) / 조시원(..

[웹북] 이상재 (독립운동가) 1820~1927

이상재 / 李商在대한제국의 의정부 총무국 국장임기 1897년 10월 12일 ~ 1898년 1월 31일군주 고종 이상재 (신상정보)출생일 1850년 10월 26일출생지 조선 충청도 한산군 한산면 종지리사망일 1927년 3월 29일(76세)사망지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 재동 셋방에서, 오전 5시에 노환 합병증으로 인하여 병사국적 대한제국학력 한학 수학경력 신간회 회장 겸 대표최고위원정당 신간회부모 아버지 이희택(李羲宅) / 어머니 밀양 박씨 부인(密陽 朴氏 夫人)배우자 초배 장순재(본관은 목천) / 계배 강릉 유씨자녀 이승간(장남) / 이승인(차남) / 이승윤(삼남) / 이승준(사남) / 이세련(차녀)친인척 이희진(백부) / 이홍직(손자) / 이승우(족질)종교 유교(성리학) → 개신교웹사이트 이상재 - 독..

[웹북] 신채호 (독립운동가) 1880~1936 *민족주의 사학자

신채호 / 申采浩  대한제국의 성균관 예하 강독관 임기 1905년 3월 ~ 1906년 1월군주 대한제국 조선 고종 이형섭정 황태자 이척(대리청정)이름별명 호는 단재필명은 금협산인·무애생·열혈생·한놈·검심·적심·연시몽인가명은 유맹원·박철·옥조숭·윤인원신상정보출생일 1880년 12월 8일 / 출생지 조선 충청도 공주목사망일 1936년 2월 21일(55세) / 사망지 만주국 펑톈성 다롄부경력 독립운동가, 사학자, 언론인, 소설가 / 前 무정부주의동방연맹 최고위원정당 무소속부모 신광식(부), 밀양 박씨 부인(모)형제자매 신재호(형)배우자 박자혜(재혼) / 풍양 조씨 부인(이혼)자녀 신관일(장남) / 신수범(차남) / 신두범(삼남) / 친인척 신향란(조카딸) / 박원순(장인) / 신성우(할아버지) / 신약우(큰할..

[웹북] 이회영 (독립운동가) 1867~1932 *아나키스트

이회영 李會榮이회영 (간략소개)출생 1867년 4월 21일 (조선 한성부 저동(苧洞)사망 1932년 11월 17일(65세) (중화민국 만저우 지방 랴오닝 성 다롄에서 옥사(고문 후유증)성별 남성 국적 대한민국 임시정부경력 독립운동가, 교육자, 사상가 출신 / 임정 의정원 의원부모 이유승(부), 동래 정씨 부인(모)형제 이석영(형) / 이건영(형) / 이시영(아우)배우자 사별 초배 달성 서씨 부인재혼 계배 이은숙 / 자녀 이규룡(아들)(출계) / 이규학(아들) / 이규온(딸) / 이규숙(딸) / 이규창(아들) / 이경숙(딸) / 이현숙(딸) / 이규동(아들)종교 유교(양명학) → 개신교(감리회)정당 무소속웹사이트 우당 이회영 기념관공직 경력군무총장 예하 보좌관 직무대리 이회영 이회영(李會榮, 1867년 4..

[웹북] 나석주 의사 (독립운동가) 1892~1926

나석주 羅錫疇 대한 임정의 경무국 경호관임기 1920년 3월 20일 ~ 1921년 5월 29일대통령 이승만 대한 임정 대통령의장 김구 대한 임정 경무국 국장총리 이동휘 대한 임정 국무총리 나석주 (신상정보)출생일 1892년 2월 4일출생지 조선 황해도 재령군사망일 1926년 12월 28일(34세)사망지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학력 신흥무관학교 졸업 / 중화민국 허베이성 한단 군관학교 졸업경력 한국독립당 당무위원 / 의열단 사무위원정당 의열단본관 금성(錦城)부모 나병헌(부), 김해 김씨 부인(모)자녀 슬하 2남 2녀친인척 나효수(손자) / 나효복(손자)웹사이트 나석주(독립유공자 공훈록)서울 중구 명동 외환은행 본점 옆에 있는 나석주 선생 동상군사 경력복무 대한독립군 소령상훈 (건국훈장 대통령장,1962년..

[웹북] 노백린 장군 (독립운동가) 1875~1926

노백린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무부 총장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총리노백린 신상정보출생일 1875년 2월 15일출생지 조선 황해도 송화사망일 1926년 1월 22일(50세)사망지 중화민국 상하이시국적 조선→대한제국성별 남성본관 풍천묘소 서울현충원 군사 경력복무 대한제국 국군복무기간 1900년~1907년소속군 육군최종계급 정령상훈 건국훈장 대통령장 노백린노백린(盧伯麟, 1875년 양력 2월 15일(음력 1월 10일)~1926년 양력 1월 22일)은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일제강점기에 임시정부의 교통총장, 군무총장, 국무총리 대리, 국무총리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이다. 계몽사상가로서의 활동과 함께 대한민국 최초의 비행사 양성 활동도 했다. 아호는 계원(桂園)이고, 별호는 진방(鎭邦), 진영(珍榮)이다. 본관은 풍천이..

[웹북] 지청천 장군 (독립운동가) 1888~1957

지청천1945년 광복 직후의 지청천 장군대한민국의 무임소장관임기 1948년 7월 21일 ~ 1948년 9월 27일후임 이윤영 / 대통령 이승만 / 총리 이범석 / 사령관 존 하지(미군정청 최고사령관)이름본명 지수봉(池壽鳳) → 지석규(池錫奎) → 지대형(池大亨) → 지청천(池靑天)별명 아호(雅號) 백산(白山)일명 이청천(李靑天)신상정보출생일 1888년 3월 7일 / 출생지 조선 한성부 북부 진장방 삼청동계 30번지거주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사망일 1957년 1월 15일(68세) /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국적 대한민국경력 광복군 총사령관 / 독립군 총사령관 / 한중연합군 총참모장  재선(제헌, 제2대) 국회의원민주국민당 최고위원국회 외무국방위원장정당 무소속본관 충주(忠州)부모 지재선(부), 경주 이씨 부..

[웹북] 최재형 (독립운동가) 1858~1920

최재형 崔在亨 / Пётр Семёнович Цой러시아 제국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최재형 (독립운동가) 나데즈딘스키 군서기임기 1894년 1월 20일~1896년 8월 15일군주 알렉산드르 3세 군주 / 니콜라이 2세 군주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재무총장임기 1919년 4월 10일~1919년 9월 11일대통령 이승만 대통령 겸 국무총리총리 이승만 대통령 겸 국무총리 / 이동녕 총리 임시서리 / 이동녕 국무총리 / 안창호 총리 임시서리차관 이춘숙 재무차장 / 윤현진 재무차장 / 이춘숙 재무차장 / 윤현진 재무차장 이름별명 일명은 최재형(崔在衡), 최도헌(崔都憲)러시아식 이름은 초이 표트르 세묘노비치(Цой Пётр Семёнович)신상정보출생일 1858년 8월 15일  / 출생지 조선 함경도 경원  / 망일 1..

[웹북] 김경천 (독립운동가) 1888~1942

김경천 (1888년)김경천김경천신상정보본명 김현충(金顯忠), 김광서(金光瑞)로 개명출생 1888년 6월 5일 (조선 함경남도 북청)사망 1942년 1월 2일(53세) 소련 사인 고문으로 인한 병사성별 남자 / 국적 조선→대한제국 / 별칭 김경천(金擎天), 김응천(金應天)직업 독립운동가, 군인 / 학력 일본육군사관학교 / 종교 유교(성리학)부모 부: 김정우(金鼎禹), 모: 윤옥연(尹玉蓮) / 자녀 부인1명, 자녀 2남5녀 활동 정보관련 활동 독립운동 / 소속 대한독립청년단, 대한혁명단, 고려혁명군김경천(金擎天, 1888년 6월 5일~1942년 1월 2일)은 일본군 장교 출신으로서 해외로 망명하여 일제강점기에 무장 독립 운동을 벌인 독립 운동가이다. 초명은 김현충(金顯忠)이고, 일본 육사 졸업 후 김광서(金..

[웹북] 이재명의사 (독립운동가) 1887~1910

이재명 / 李在明1909년 12월 24일자 황성신문. 12월 22일 낮에 명동성당에서 이재명이 대한제국 내각 총리대신 이완용을 피습, 칼로 흉부를 자격하여 이완용이 병원으로 이송됐다는 보도 이재명 (독립운동가) 신상정보출생 1887년 10월 16일 (조선 평안도 선천군)사망 1910년 9월 30일(22세) 일제 강점기 경성부 경성감옥에서 사형 집행됨.거주지 평안남도 평양 / 하와이주 호놀룰루 / 한성부성별 남성국적 대한제국본관 진안직업 항일 독립운동가학력 평안남도 평양 일신보통학교 졸업종교 개신교 활동 정보관련 활동 독립운동상훈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웹사이트 독립유공자 공훈록 이재명(李在明, 1887년 10월 16일 ~ 1910년 9월 30일)은 대한제국 시기의 독립운동가이다. 약관의 나이로..

[웹북] 이상설 (독립운동가) 1871~1917

이상설이상설 李相卨왼쪽부터 이준, 이상설(앉은 이), 이위종 대한제국 법부 협판(大韓帝國 法部 協辦)임기 1905년 1월 19일 ~ 1905년 3월 22일군주 대한제국 고종대한제국 의정부 참찬(大韓帝國 議政府 參贊)임기 1905년 3월 22일 ~ 1905년 12월 1일대한광복군 정부 정통령(大韓光復軍 政府 正統領)임기 1914년 5월 31일 ~ 1914년 8월 28일  이상설 이름별명 자(字)는 순오(舜五) / 호(號)는 보재(溥齋) 신상정보출생일 1871년 1월 27일(1870년 음력 12월 7일)출생지 조선 충청도 진천군사망일 1917년 4월 1일 (향년 47세)학력 1894년 전시문과에 병과 급제경력 권업회 회장·총재본관 경주(慶州)부모 이용우(양부) / 이행우(생부) / 벽진 이씨(생모)종교 유교..

[웹북] 이위종 (독립운동가) 1886~?

이위종이위종 李瑋鍾Владимир Сергеевич Ли 이위종프랑스 주재 대한제국 공사관 예하 서기관임기 1902년 7월 18일 ~ 1902년 9월 3일군주 대한제국 고종 이형 대한제국 군주대통령 에밀 루베 프랑스 대통령 독일 제국 주재 대한제국 공사관 예하 참서관임기 1902년 9월 3일 ~ 1902년 9월 6일군주 대한제국 고종 이형 대한제국 군주주석 니콜라이 2세 러시아 군주 러시아 제국 주재 대한제국 공사관 예하 3등 참서관임기 1902년 9월 6일 ~ 1905년 9월 6일군주 대한제국 고종 이형 대한제국 군주주석 니콜라이 2세 러시아 군주 신상정보출생일 1886년 혹은 1887년 추정출생지 조선 한성부거주지 대한제국 한성부 / 독일 제국 베를린 / 러시아 제국 상트 페테르부르크 / 소련 모스크..

[웹북] 이준 열사 (독립운동가) 1859~1907

이준왼쪽부터 이준, 이상설, 이위종이준 李儁대한제국 평리원 검사임기 1899년 1월 31일 ~ 1900년 12월 21일군주 대한제국 고종 이희신상정보출생일 1859년 1월 21일 (양력)출생지 조선 함경도 북청사망일 1907년 7월 14일(47세)사망지 네덜란드 헤이그국적 대한제국학력 대한제국 법관양성소 / 일본 와세다 대학교 법학과경력 대한제국 외교관정당 급진개화파 후예 잔존 세력부모 이병관(부), 청주 이씨 부인(모)자녀 이송선(장녀) / 이종숙(차녀) / 이용(막내아들)친인척 이열(친손자) / 이활(친손자) / 조건학(첫째사위) / 유자후(둘째사위)종교 유교(성리학) → 개신교(감리회)이준 李儁이준(李儁, 1859년 음력 12월 18일 조선국 함경도 북청 출생 ~ 1907년 7월 14일 네덜란드 헤..

[웹북] 전봉준 (1855~1895) 40세. 동학.

전봉준 全琫準출생일 1855년 1월 10일 / 출생지 조선 전라도 고창군 고창읍 죽림리사망일 1895년 4월 24일(40세) / 사망지 조선 한성부에서 사형(교수형) 집행됨.부모 아버지 전창혁 / 어머니 김씨 부인 / 배우자 여산 송씨 부인 / 자녀 슬하 2남 2녀 / 친척 여동생 전고개종교 천도교(동학) / 복무 1893년 ~ 1895년 / 최종계급 남접 영수 장군 / 기타 이력 한학(수학) 종교 지도자, 교육인.천도교주요 인물최제우 · 최시형 · 손병희 · 박인호 전봉준경전동경대전 · 용담유사 / 해월신사 법설 /  의암성사 법설교리시천주 · 사인여천 · 인내천 · 후천개벽역사동학 · 동학 농민 혁명관련 단체천도교 중앙총부 / 천도교 연원회 / 천도교유지재단 / 천도교청우당문화유산천도교 중앙대교당 ·..

[웹북] 윤봉길 의사

1932년 훙커우 공원으로 떠나기 전, 왼손에 수류탄, 오른손에 권총을 들고 태극기 앞에서 절명사를 가슴에 붙인 채 촬영한 윤봉길 윤봉길 신상정보출생 1908년 6월 21일 / 대한제국 충청남도 예산군 (현 예산군) / 덕산면 현내면 조량리사망 1932년 12월 19일(24세) / 일본 제국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성별 남성 / 별칭 아명은 윤우의(尹禹儀) / 아호는 매헌(梅軒)학력 1919년 충청남도 예산 덕산초등학교에서 명예 졸업장 추서종교무종교 / 부모 윤황(부), 김원상(모) / 형제 윤성의(친동생) / 윤영의(친동생) / 윤영석(친동생)배우자 배용순 / 자녀 3남 1녀 (장남 윤종, 차남 윤경, 삼남 윤담, 딸 윤안순)활동 정보관련 활동 독립운동 / 주요 활동 훙커우 공원 사건 / 경력 한국독립당 ..

[웹북] 이봉창의사

이봉창 이봉창 신상정보다른 이름 기노시타 쇼조(木下昌藏) / 아사야마 쇼이치(朝山昌一)출생 1900년 8월 10일 / 대한제국 한성부 용산방 서동문외계 (現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2가)사망 1932년 10월 10일(32세) / 일본 제국 도쿄부 도쿄시 우시고메구 (現 도쿄도 신주쿠구) 이치가야 형무소매장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 효창공원성별 남성 / 본관 전주 / 직업 상인, 독립운동가 / 학력 일본 간사이 공업학교 야간학부 중퇴사후 1989년 서울재동초등학교에서 명예 졸업장을 추서 / 사후 1992년 서울문창초등학교에서 명예 졸업장을 추서종교 불교 / 부모 아버지 이진규 / 어머니 밀양 손씨 부인 / 서모 2명가족 이은임(조카딸) / 이범태(친형) / 이봉준(이복 동생) / 이종태(이복 동생)활동 ..

[웹북] 백정기 (아나키스트 독립운동가)

백정기/白貞基지하신문이었던 자유연합신문 1934년 2월 기사 백정기 신상정보출생 1896년 1월 19일 / 조선 전라북도 부안군 동진면사망 1934년 6월 5일(38세) / 일본 구마모토현 구마모토 형무소성별 남성별칭 호 구파(鷗波), 자 용선(溶善)직업 독립운동가부모 아버지 백남일(白南一), 어머니 윤문옥(尹文玉)배우자 조팔락(曺八洛)활동 정보관련 활동 독립운동소속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 흑색공포단상훈 1963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백정기(白貞基, 1896년 1월 19일 ∼ 1934년 6월 5일)는 전북 부안 출신의 일제강점기 아나키스트 계열의 독립운동가이다. 호는 구파(鷗波)이다.생애1896년 1월 19일 전북 부안군 동진면 하장리(현재 부안읍 신운리)에서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1902년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