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근대 동아시아에서 펼쳐진 질서·저항·공동체와 평화
미래를 바라보는 평화사상의 문턱에 우리의 연구가 있다
평화사상은 근대의 지각변동이 동아시아에 초래한 국제적 현실, 혹은 ‘질서’에 대한 대응이기도 하고, 그 변경을 의도한 ‘저항’이 되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제국주의적 폭력의 본질을 꿰뚫어보기도 하고, 현재보다 더 나은 ‘공동체’의 도래를 염원하기도 한다. 근대 동아시아에서 평화사상이란 바로 이와 같은 지적 삶의 영위로서 존재한다. 이 책은 근대 동아시아를 교차하면서 때로는 갈등과 연대를, 또 때로는 어긋남과 일치를 보여줬던 평화사상의 한계와 가능성을 탐색한 결과이다. 3·1운동의 정신이기도 했던 평화는 식민지배라는 ‘특수한’ 역사적 경험에서 표출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 ‘보편적’ 가치를 추구한 것이기도 했다. 또한 그것은 서양의 ‘근대’가 가진 지적 무게를 동양의 현실에 접목하는 과정에서 펼쳐진 생존전략이기도 했다. 평화사상의 이러한 양면성, 혹은 입체적인 두께와 부피를 이 책을 통해 실감한다면, 곧 미래를 바라보는 통찰력을 제공해줄 것이다.
미래를 바라보는 평화사상의 문턱에 우리의 연구가 있다
평화사상은 근대의 지각변동이 동아시아에 초래한 국제적 현실, 혹은 ‘질서’에 대한 대응이기도 하고, 그 변경을 의도한 ‘저항’이 되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제국주의적 폭력의 본질을 꿰뚫어보기도 하고, 현재보다 더 나은 ‘공동체’의 도래를 염원하기도 한다. 근대 동아시아에서 평화사상이란 바로 이와 같은 지적 삶의 영위로서 존재한다. 이 책은 근대 동아시아를 교차하면서 때로는 갈등과 연대를, 또 때로는 어긋남과 일치를 보여줬던 평화사상의 한계와 가능성을 탐색한 결과이다. 3·1운동의 정신이기도 했던 평화는 식민지배라는 ‘특수한’ 역사적 경험에서 표출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 ‘보편적’ 가치를 추구한 것이기도 했다. 또한 그것은 서양의 ‘근대’가 가진 지적 무게를 동양의 현실에 접목하는 과정에서 펼쳐진 생존전략이기도 했다. 평화사상의 이러한 양면성, 혹은 입체적인 두께와 부피를 이 책을 통해 실감한다면, 곧 미래를 바라보는 통찰력을 제공해줄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 4
총론
1. 근대 동아시아의 ‘평화’를 생각한다 제국, 민족공동체, 저항과 평화상상 _ 장인성
I. 평화와 근대 동아시아 · 15
II. 평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 17
III. 평화의 구조와 언설 · 24
IV. ‘동양평화’의 조건과 양태 · 30
V. ‘제국의 평화’와 ‘민족의 평화’ · 37
VI. ‘공영’에서 ‘세력균형’으로 · 49
제1부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평화
2. 안중근과 「동양평화론」 _ 최덕규
I. 들어가며 · 55
II. 한국의 국외항일독립운동과 블라디보스토크 · 61
III. 「동양평화론」의 러시아 인식 · 74
IV. 「동양평화론」과 일본의 아시아주의 · 88
V. 나가며 · 105
3. 중국 근대 평화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_ 차태근
I. 들어가며 · 113
II. 균세: 법(法)과 술(術) 사이 · 118
III. 제물(齊物)세계와 민족주의 · 134
IV. 동화론(同化論)적 세계국가 · 146
V. 나가며 · 157
4. ‘중화민족은 평화를 매우 사랑한다’는 담론의 역사적 전개와 의미_ 오노데라 시로
I. 들어가며 · 165
II. 량치차오의 ‘현실주의’적 평화론 · 168
III. 쑨원의 ‘국민성’적 평화론 · 175
IV. 제1차 세계대전과 ‘평화’를 이야기하는 방식 · 181
V. 세계대전의 종결과 평화론의 전개 · 190
VI. ‘혹애화평(酷愛和平)’의 일반화 · 196
VII. 나가며 · 202
제2부 저항과 평화
5. 민중 연대를 통한 동아시아적 평화의 실천 오스기 사카에의 사회이론과 현실과의 교차 _ 김병진
I. 들어가며: 20세기 초 일본 사회주의의 일면 · 217
II. 오스기 사카에의 ‘일본탈출’ · 222
III. 혁명의 주체는 누구인가? · 227
IV. ‘폭력적 수탈’ 프로세스와 저항의 공간 · 239
V. 나가며: 글로벌 자본주의에 대항한 민중의 연대 · 249
6. 여운형의 평화론과 제국의 ‘법과 도덕’ 논쟁 공명하는 저항성과 균열하는 국가상 _ 이경미
I. 들어가며 · 255
II. 여운형의 평화론: ‘신-세계-동양-조선’ · 259
III. 제국의 ‘법과 도덕’ 논쟁: 공명과 균열의 정체 · 278
IV. 나가며: 해방 후 실종된 동양과 신 · 297
제3부 공동체와 평화
7. 『국가와 종교』를 통해 본 난바라 시게루의 전체주의 비판 _ 박은영
I. 들어가며 · 305
II. 난바라 시게루의 사상적 배경 · 308
III. 신정정치 비판과 가치병행론 · 312
IV. 나치즘과 천황제 파시즘 · 319
V. 나가며 · 330
8. 이돈화의 민족사회형성론과 이상사회의 행방 『신인철학』의 루소 사회계약론 이해를 바탕으로 _ 이예안
I. 들어가며: 식민지 조선에서 ‘새로운 인간 = 사회’를 요청하다 · 335
II. 위기의 민족, 그 부활을 위하여 · 340
III. 사회계약·자연상태·사회상태 개념의 재전유 · 347
IV. ‘사회’: 개체와 전체의 새로운 존재양태 · 353
V. ‘인간격’: 새로운 공동체의 지위 · 360
VI. 나가며: 도덕공동체와 이상사회의 행방 · 367
찾아보기 · 377
총론
1. 근대 동아시아의 ‘평화’를 생각한다 제국, 민족공동체, 저항과 평화상상 _ 장인성
I. 평화와 근대 동아시아 · 15
II. 평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 17
III. 평화의 구조와 언설 · 24
IV. ‘동양평화’의 조건과 양태 · 30
V. ‘제국의 평화’와 ‘민족의 평화’ · 37
VI. ‘공영’에서 ‘세력균형’으로 · 49
제1부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평화
2. 안중근과 「동양평화론」 _ 최덕규
I. 들어가며 · 55
II. 한국의 국외항일독립운동과 블라디보스토크 · 61
III. 「동양평화론」의 러시아 인식 · 74
IV. 「동양평화론」과 일본의 아시아주의 · 88
V. 나가며 · 105
3. 중국 근대 평화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_ 차태근
I. 들어가며 · 113
II. 균세: 법(法)과 술(術) 사이 · 118
III. 제물(齊物)세계와 민족주의 · 134
IV. 동화론(同化論)적 세계국가 · 146
V. 나가며 · 157
4. ‘중화민족은 평화를 매우 사랑한다’는 담론의 역사적 전개와 의미_ 오노데라 시로
I. 들어가며 · 165
II. 량치차오의 ‘현실주의’적 평화론 · 168
III. 쑨원의 ‘국민성’적 평화론 · 175
IV. 제1차 세계대전과 ‘평화’를 이야기하는 방식 · 181
V. 세계대전의 종결과 평화론의 전개 · 190
VI. ‘혹애화평(酷愛和平)’의 일반화 · 196
VII. 나가며 · 202
제2부 저항과 평화
5. 민중 연대를 통한 동아시아적 평화의 실천 오스기 사카에의 사회이론과 현실과의 교차 _ 김병진
I. 들어가며: 20세기 초 일본 사회주의의 일면 · 217
II. 오스기 사카에의 ‘일본탈출’ · 222
III. 혁명의 주체는 누구인가? · 227
IV. ‘폭력적 수탈’ 프로세스와 저항의 공간 · 239
V. 나가며: 글로벌 자본주의에 대항한 민중의 연대 · 249
6. 여운형의 평화론과 제국의 ‘법과 도덕’ 논쟁 공명하는 저항성과 균열하는 국가상 _ 이경미
I. 들어가며 · 255
II. 여운형의 평화론: ‘신-세계-동양-조선’ · 259
III. 제국의 ‘법과 도덕’ 논쟁: 공명과 균열의 정체 · 278
IV. 나가며: 해방 후 실종된 동양과 신 · 297
제3부 공동체와 평화
7. 『국가와 종교』를 통해 본 난바라 시게루의 전체주의 비판 _ 박은영
I. 들어가며 · 305
II. 난바라 시게루의 사상적 배경 · 308
III. 신정정치 비판과 가치병행론 · 312
IV. 나치즘과 천황제 파시즘 · 319
V. 나가며 · 330
8. 이돈화의 민족사회형성론과 이상사회의 행방 『신인철학』의 루소 사회계약론 이해를 바탕으로 _ 이예안
I. 들어가며: 식민지 조선에서 ‘새로운 인간 = 사회’를 요청하다 · 335
II. 위기의 민족, 그 부활을 위하여 · 340
III. 사회계약·자연상태·사회상태 개념의 재전유 · 347
IV. ‘사회’: 개체와 전체의 새로운 존재양태 · 353
V. ‘인간격’: 새로운 공동체의 지위 · 360
VI. 나가며: 도덕공동체와 이상사회의 행방 · 367
찾아보기 · 377
'25.한반도평화 연구 (박사전공>책소개) > 7.평화시민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沖繩現代史: 오끼나와 현대사 (2005)- 평화를 위해 투쟁하는 사람들의 궤적 (0) | 2023.03.22 |
---|---|
평화학이란 무엇인가 (2022 /서울대) - 계보와 쟁점 (0) | 2023.02.09 |
평화개념 연구 (2022 서보혁.강혁민) (0) | 2023.01.04 |
톨스토이 비폭력 평화편지 (0) | 2022.12.13 |
갈등의 세상에서 평화를 말하다 (2016 마셜 로젠버그) (0)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