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톨스토이가 쓴 방대한 편지 중에서 비폭력 평화 사상과 관련한 편지를 번역하여 소개
백 년 전쯤 톨스토이는 국가도, 종교도, 소유도 없는 세상을 상상해보라는 내용으로 많은 나라 사람들에게 편지를 보냈다. 이 책은 톨스토이가 쓴 방대한 편지 중에서 비폭력 평화 사상과 관련한 편지들 가운데 일부를 번역하여 소개하고 있다. 톨스토이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 그의 작품이나 생애를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는 전 세계를 상대로 말했고, 전 세계 사람들과 교류했고, 전 세계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톨스토이를 이해하는 데 그가 쓴 편지는 매우 중요하다. 쉬클롭스키의 책은 물론 여러 톨스토이 전기에도 편지가 자주 인용되는데, 지금까지는 그의 생애에 대한 에피소드 중심으로 주로 가족이나 친구와 나눈 편지의 일부만 소개되었다. 그러나 그가 쓴 편지에는 일상의 안부를 전하는 것 말고도 사상을 전해주는 것이 많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펴내는 톨스토이 서간집은 그의 사상을 재조명해 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백 년 전쯤 톨스토이는 국가도, 종교도, 소유도 없는 세상을 상상해보라는 내용으로 많은 나라 사람들에게 편지를 보냈다. 이 책은 톨스토이가 쓴 방대한 편지 중에서 비폭력 평화 사상과 관련한 편지들 가운데 일부를 번역하여 소개하고 있다. 톨스토이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 그의 작품이나 생애를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는 전 세계를 상대로 말했고, 전 세계 사람들과 교류했고, 전 세계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톨스토이를 이해하는 데 그가 쓴 편지는 매우 중요하다. 쉬클롭스키의 책은 물론 여러 톨스토이 전기에도 편지가 자주 인용되는데, 지금까지는 그의 생애에 대한 에피소드 중심으로 주로 가족이나 친구와 나눈 편지의 일부만 소개되었다. 그러나 그가 쓴 편지에는 일상의 안부를 전하는 것 말고도 사상을 전해주는 것이 많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펴내는 톨스토이 서간집은 그의 사상을 재조명해 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목차
이 책을 읽는 분들에게
Ⅰ. 아시아인에게 보낸 편지
요코이 토키오에게 보낸 편지(1895년)
라마세한에게 보낸 편지(1901년 7월 25일)
아베 이소에게 보낸 편지(1904년 10월 23일 / 11월 5일)
장징통에게 보낸 편지(1905년 12월 4일)
중국인에게 보낸 편지(1906년 9월 13일)
인도인에게 보낸 편지: 인도의 종속, 그 원인과 치유(1909년 11월 19일)
인도에게 보낸 편지(1908년 12월 14일)
간디와 나눈 일곱 통의 편지들(1909-1910년)
Ⅱ. 러시아인에게 보낸 편지
러시아 자유주의자에게 보낸 편지(1896년 8월 31일)
스트라호프에게 보낸 편지(1896년 10월 5일)
체르트코프에게 보낸 편지 (1897년 1월 12일)
하사관에게 보낸 편지(1898)
스브야토폴크-미르스키 왕자에게 보낸 편지(1901년 5월 6일)
황제와 그의 보좌관들에게 보낸 편지(1901년 3월 15일)
노동자에게 보낸 편지(1902년 9월)
비류코프에게 보낸 편지(1908년 5월 24일)
체르트코프에게 보낸 편지(1909년 8월 31일)
체르트코바에게 보낸 편지(1910년 10월 23일)
Ⅲ. 서양인에게 보낸 편지
로맹 롤랑에게 보낸 편지(1887년 10월 4일)
어니스트 크로스비에게 보낸 편지: 무저항에 관해(1896년 1월 12일)
버나드 쇼에게 보낸 편지(1908년 8월 17일/1910년 5월 9일)
인류에게 보낸 마지막 편지(1909년)
Ⅰ. 아시아인에게 보낸 편지
요코이 토키오에게 보낸 편지(1895년)
라마세한에게 보낸 편지(1901년 7월 25일)
아베 이소에게 보낸 편지(1904년 10월 23일 / 11월 5일)
장징통에게 보낸 편지(1905년 12월 4일)
중국인에게 보낸 편지(1906년 9월 13일)
인도인에게 보낸 편지: 인도의 종속, 그 원인과 치유(1909년 11월 19일)
인도에게 보낸 편지(1908년 12월 14일)
간디와 나눈 일곱 통의 편지들(1909-1910년)
Ⅱ. 러시아인에게 보낸 편지
러시아 자유주의자에게 보낸 편지(1896년 8월 31일)
스트라호프에게 보낸 편지(1896년 10월 5일)
체르트코프에게 보낸 편지 (1897년 1월 12일)
하사관에게 보낸 편지(1898)
스브야토폴크-미르스키 왕자에게 보낸 편지(1901년 5월 6일)
황제와 그의 보좌관들에게 보낸 편지(1901년 3월 15일)
노동자에게 보낸 편지(1902년 9월)
비류코프에게 보낸 편지(1908년 5월 24일)
체르트코프에게 보낸 편지(1909년 8월 31일)
체르트코바에게 보낸 편지(1910년 10월 23일)
Ⅲ. 서양인에게 보낸 편지
로맹 롤랑에게 보낸 편지(1887년 10월 4일)
어니스트 크로스비에게 보낸 편지: 무저항에 관해(1896년 1월 12일)
버나드 쇼에게 보낸 편지(1908년 8월 17일/1910년 5월 9일)
인류에게 보낸 마지막 편지(1909년)
책 속으로
‘평화의 나라는 네 안에 있다.’
톨스토이가 말하는 신의 나라는 바로 비폭력 평화의 나라입니다. 존 레논의 노래처럼 군대도, 무기도, 전쟁도 없는 비폭력 평화의 나라입니다. 따라서 전쟁 영웅을 숭배한다든가, 전쟁을 미화하는 애국심을 찬양해서는 안 됩니다. 인민을 지배한 왕이나 통치자나 어떤 불평등 계급 사회도 찬양해서는 안 됩니다. 나아가 그것은 남을 조금도 차별하지 않고, 단 한 마디의 욕설도 내뱉지 않고, 모든 사람을 친구로, 동무로 대해야 가능합니다. 세계 모든 인간의 인권을 존중해야 합니다. 가능하다면 동물까지도 학대하지 않고 사랑해야 합니다. 톨스토이 가르침의 핵심은 바로 이것입니다.
톨스토이가 말하는 신의 나라는 바로 비폭력 평화의 나라입니다. 존 레논의 노래처럼 군대도, 무기도, 전쟁도 없는 비폭력 평화의 나라입니다. 따라서 전쟁 영웅을 숭배한다든가, 전쟁을 미화하는 애국심을 찬양해서는 안 됩니다. 인민을 지배한 왕이나 통치자나 어떤 불평등 계급 사회도 찬양해서는 안 됩니다. 나아가 그것은 남을 조금도 차별하지 않고, 단 한 마디의 욕설도 내뱉지 않고, 모든 사람을 친구로, 동무로 대해야 가능합니다. 세계 모든 인간의 인권을 존중해야 합니다. 가능하다면 동물까지도 학대하지 않고 사랑해야 합니다. 톨스토이 가르침의 핵심은 바로 이것입니다.
---본문 중에서
출판사 리뷰
톨스토이의 삶과 신념이 담긴 편지글에서 그가 추구한 사상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음
톨스토이는 국가, 발전, 부강 같은 것을 생각하지 말고, 병역, 납세, 교육, 근로의 의무 같은 국민의 의무도 지키지 말라고 했으며 전쟁이나 사형에 반대하라고도 했다. 톨스토이가 기독교를 비롯한 여러 종교나 사상에서 끌어내는 비폭력 평화라는 기본 정신만큼은 지금의 우리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기독교의 사랑이나 불교의 자비, 유교의 인(仁)이 폭력과 전쟁, 사형과 합치될 리 없다. 특히 폭력과 전쟁이 아직도 우리의 삶에 기본적인 원리인 양 존재하는 현실에서 톨스토이의 정신은 다시 음미할 필요가 있다. 이 책에 실린 톨스토이의 삶과 신념이 담긴 편지글에서 그가 추구했던 사상이 무엇이었는지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톨스토이는 국가, 발전, 부강 같은 것을 생각하지 말고, 병역, 납세, 교육, 근로의 의무 같은 국민의 의무도 지키지 말라고 했으며 전쟁이나 사형에 반대하라고도 했다. 톨스토이가 기독교를 비롯한 여러 종교나 사상에서 끌어내는 비폭력 평화라는 기본 정신만큼은 지금의 우리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기독교의 사랑이나 불교의 자비, 유교의 인(仁)이 폭력과 전쟁, 사형과 합치될 리 없다. 특히 폭력과 전쟁이 아직도 우리의 삶에 기본적인 원리인 양 존재하는 현실에서 톨스토이의 정신은 다시 음미할 필요가 있다. 이 책에 실린 톨스토이의 삶과 신념이 담긴 편지글에서 그가 추구했던 사상이 무엇이었는지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25.한반도평화 연구 (박사전공>책소개) > 7.평화시민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대 동아시아 평화사상 (0) | 2023.01.26 |
---|---|
평화개념 연구 (2022 서보혁.강혁민) (0) | 2023.01.04 |
갈등의 세상에서 평화를 말하다 (2016 마셜 로젠버그) (0) | 2022.11.15 |
평화언어 - 병역거부가 말했던 것, 말하지 못했던 것 (0) | 2022.11.15 |
안보개발국가를 넘어 평화 복지국가로 (2016 이동기) - 독일경험과 한국의 과제 (0)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