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교육의 역사는 통사적 교육사, 문화사적 교육사, 문제사적 교육사, 비교학적 교육사, 인물중심적 교육사, 이념사적 교육사 등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 이 책은 일반적인 시대구분에 따라 통사적으로 기술하면서 종합적으로 접근하였다. 또한 교육철학은 교육의 본질에 관한 학문으로, 교육현상에 대한 분석적이고 종합적인 고찰에 의해 접근하였다.
목차
Part 01 한국교육사
I. 교육사란 무엇인가?
1. 교육과 역사
2. 교육사 연구의 필요성
3. 교육사 연구의 영역과 방법
II. 원시사회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원시교육의 특징과 유형
3. 단군신화와 교육
4. 원시교육의 역사적 의의
III. 삼국시대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유교 불교의 전래와 교육
3. 고구려의 교육
4. 백제의 교육
5. 신라의 교육
6. 유교의 핵심 교과: 오경 삼사
7. 삼국시대의 교육사상가
8. 교육사적 의의
IV. 고려시대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관학
3. 사학
4. 과거제도와 교육
5. 고려시대의 교육사상가
6. 교육사적 의의
Part 02 서양교육사
I. 고대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그리스의 교육
3. 그리스의 사상가
4. 로마의 교육
5. 교육사적 의의
II. 중세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중세의 학교제도
3. 시민학교와 대학의 발생
4. 아퀴나스의 교육사상
5. 교육사적 의의
III. 르네상스와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인문주의 교육
3. 에라스무스의 교육사상
4. 교육사적 의의
IV. 종교개혁과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종교개혁이 교육에 미친 영향
3. 루터의 교육사상
4. 신교의 교육활동
5. 교육사적 의의
V. 실학주의와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실학주의의 발달
3.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4. 교육사적 의의
VI. 계몽주의와 교육
1. 시대적 배경
2. 계몽주의 교육의 특징
3. 루소의 교육사상
4. 범애학파의 교육
5. 교육사적 의의
VII. 신인문주의와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신인문주의 교육의 특징
3. 페스탈로치
4. 헤르바르트
5. 프뢰벨
6. 교육사적 의의
VIII. 현대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신교육 운동의 전개
3. 아동중심 교육사상
4. 현대교육의 전망
Part 03 교육철학
I. 교육철학이란 무엇인가?
1. 교육과 철학
2. 철학의 기본 영역
3. 철학사조의 진리관과 교육
4. 교육철학 사조
II. 이상주의와 교육
1. 개 관
2. 플라톤의 교육론
3. 이상주의의 철학
4. 이상주의의 교육원리
5. 종 합
III. 실재주의와 교육
1. 개 관
2. 아리스토텔레스
3. 실재주의의 철학적 특징
4. 실재주의의 교육론
5. 종 합
IV. 자연주의와 교육
1. 개 관
2. 루소의 교육론
3. 자연주의의 교육
4. 종 합
V. 프래그머티즘과 교육
1. 개 관
2. 듀이의 철학적 배경과 교육
3. 프래그머티즘의 철학적 기초
4. 프래그머티즘의 교육론
5. 종 합
VI. 진보주의와 교육
1. 개 관
2. 진보주의의 교육원리
3. 킬패트릭
VII. 본질주의와 교육
1. 개 관
2. 본질주의의 교육원리
3. 브리드
VIII. 항존주의와 교육
1. 개 관
2. 항존주의의 교육원리
3. 마리땡
IX. 재건주의와 교육
1. 개 관
2. 재건주의의 교육원리
3. 브라멜드
X. 실존주의와 교육
1. 개 관
2. 실존주의와 교육
3. 교육내용 및 방법
4. 부 버
XI. 분석철학과 교육
1. 개 관
2. 분석철학의 두 입장
3. 분석철학과 교육
4. 분석철학의 의의 및 한계
5. 분석철학의 교육적 의의 및 한계
XII. 비판이론과 교육
1. 개 관
2. 비판이론의 핵심 개념
3. 교육목적
4. 교육내용 및 방법
5. 하버마스
XIII.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1. 개 관
2.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본 입장
3.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4. 푸코
I. 교육사란 무엇인가?
1. 교육과 역사
2. 교육사 연구의 필요성
3. 교육사 연구의 영역과 방법
II. 원시사회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원시교육의 특징과 유형
3. 단군신화와 교육
4. 원시교육의 역사적 의의
III. 삼국시대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유교 불교의 전래와 교육
3. 고구려의 교육
4. 백제의 교육
5. 신라의 교육
6. 유교의 핵심 교과: 오경 삼사
7. 삼국시대의 교육사상가
8. 교육사적 의의
IV. 고려시대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관학
3. 사학
4. 과거제도와 교육
5. 고려시대의 교육사상가
6. 교육사적 의의
Part 02 서양교육사
I. 고대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그리스의 교육
3. 그리스의 사상가
4. 로마의 교육
5. 교육사적 의의
II. 중세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중세의 학교제도
3. 시민학교와 대학의 발생
4. 아퀴나스의 교육사상
5. 교육사적 의의
III. 르네상스와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인문주의 교육
3. 에라스무스의 교육사상
4. 교육사적 의의
IV. 종교개혁과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종교개혁이 교육에 미친 영향
3. 루터의 교육사상
4. 신교의 교육활동
5. 교육사적 의의
V. 실학주의와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실학주의의 발달
3.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4. 교육사적 의의
VI. 계몽주의와 교육
1. 시대적 배경
2. 계몽주의 교육의 특징
3. 루소의 교육사상
4. 범애학파의 교육
5. 교육사적 의의
VII. 신인문주의와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신인문주의 교육의 특징
3. 페스탈로치
4. 헤르바르트
5. 프뢰벨
6. 교육사적 의의
VIII. 현대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신교육 운동의 전개
3. 아동중심 교육사상
4. 현대교육의 전망
Part 03 교육철학
I. 교육철학이란 무엇인가?
1. 교육과 철학
2. 철학의 기본 영역
3. 철학사조의 진리관과 교육
4. 교육철학 사조
II. 이상주의와 교육
1. 개 관
2. 플라톤의 교육론
3. 이상주의의 철학
4. 이상주의의 교육원리
5. 종 합
III. 실재주의와 교육
1. 개 관
2. 아리스토텔레스
3. 실재주의의 철학적 특징
4. 실재주의의 교육론
5. 종 합
IV. 자연주의와 교육
1. 개 관
2. 루소의 교육론
3. 자연주의의 교육
4. 종 합
V. 프래그머티즘과 교육
1. 개 관
2. 듀이의 철학적 배경과 교육
3. 프래그머티즘의 철학적 기초
4. 프래그머티즘의 교육론
5. 종 합
VI. 진보주의와 교육
1. 개 관
2. 진보주의의 교육원리
3. 킬패트릭
VII. 본질주의와 교육
1. 개 관
2. 본질주의의 교육원리
3. 브리드
VIII. 항존주의와 교육
1. 개 관
2. 항존주의의 교육원리
3. 마리땡
IX. 재건주의와 교육
1. 개 관
2. 재건주의의 교육원리
3. 브라멜드
X. 실존주의와 교육
1. 개 관
2. 실존주의와 교육
3. 교육내용 및 방법
4. 부 버
XI. 분석철학과 교육
1. 개 관
2. 분석철학의 두 입장
3. 분석철학과 교육
4. 분석철학의 의의 및 한계
5. 분석철학의 교육적 의의 및 한계
XII. 비판이론과 교육
1. 개 관
2. 비판이론의 핵심 개념
3. 교육목적
4. 교육내용 및 방법
5. 하버마스
XIII.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1. 개 관
2.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본 입장
3.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4. 푸코
'60.교육의 이해 (독서>책소개) > 1.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생교육철학 행복한 삶의 여행을 위한 철학 안내서 (2021) (0) | 2023.09.12 |
---|---|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 (2020) (0) | 2023.09.12 |
알기 쉬운 교육철학 이야기 (2020) (0) | 2023.09.12 |
교육철학 및 교육사 (2019) (0) | 2023.09.12 |
유능한 교사를 위한 쉽고 참신한 교육철학 및 교육사 (2023) (0) | 2023.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