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이 한 권의 책으로 노자철학이 해결된다!
인류의 고전 중 가장 뛰어난 철학과 지혜를 담은 [노자 도덕경]을 철학자 도올 김용옥이 유려한 우리말로 번역하고, 그 깊은 뜻을 명료하게 해설한다. 저자는 『노자가 옳았다』에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동과 코로나바이러스사태를 맞이하는 현재 인류문명을 위기상황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이 난관을 돌파하는 사상으로서 노자철학을 유일한 희망으로 제시한다. 21세기를 위한 철학으로서 노자는 이미 2천 5백 년 전부터 준비되어 있었던 것이다. 도올은 그동안 저술과 강연을 통하여 노자사상을 꾸준히 한국인의 삶으로 내면화시켜왔다. 50년 전 노자를 만나면서 본격적인 철학을 시작해온 도올 김용옥의 사상궤적에서 노자는 가장 결정적이다. 그는 노자를 인류 최고의 철학이라 여긴다. 이 책은 도올 노자철학 50년의 총결산이자 완성판이다. 이 한 권의 책으로 심원한 노자철학의 전모가 우리에게 전달된다.
인류의 고전 중 가장 뛰어난 철학과 지혜를 담은 [노자 도덕경]을 철학자 도올 김용옥이 유려한 우리말로 번역하고, 그 깊은 뜻을 명료하게 해설한다. 저자는 『노자가 옳았다』에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동과 코로나바이러스사태를 맞이하는 현재 인류문명을 위기상황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이 난관을 돌파하는 사상으로서 노자철학을 유일한 희망으로 제시한다. 21세기를 위한 철학으로서 노자는 이미 2천 5백 년 전부터 준비되어 있었던 것이다. 도올은 그동안 저술과 강연을 통하여 노자사상을 꾸준히 한국인의 삶으로 내면화시켜왔다. 50년 전 노자를 만나면서 본격적인 철학을 시작해온 도올 김용옥의 사상궤적에서 노자는 가장 결정적이다. 그는 노자를 인류 최고의 철학이라 여긴다. 이 책은 도올 노자철학 50년의 총결산이자 완성판이다. 이 한 권의 책으로 심원한 노자철학의 전모가 우리에게 전달된다.
목차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윗벼리: 길의 성경
제1장 12
……
제37장 314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아랫벼리: 얻음의 성경
제38장 318
……
제81장 494
유황유홀惟恍惟惚 500
제1장 12
……
제37장 314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아랫벼리: 얻음의 성경
제38장 318
……
제81장 494
유황유홀惟恍惟惚 500
책 속으로
우리가 끝내 벗어날 수 없는 이 시공간 속에는 “불변”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불변”은 불변changelessness(무변화)이 아니라, 변화의 지속태duration일 뿐이다.
--- p.19
우주의 원질Urstoff을 묻는 희랍인들의 아르케arch?와 우리 동방의 도道는 좀 성격이 다르다. 희랍인들은 우주의 궁극적 실체가 무엇이냐라는 자연철학적 관심에서 철학사를 출발시켰다. …… 그러나 우리 동방의 사람들은 그러한 궁극적 실체성이나 원초성에 관심을 갖기보다는 “길”이라고 하는 천지대자연의 운행의 규칙성의 도덕적 의미를 물었다.
--- p.22
다시 말해서 노자가 비판하고 있는 대상을 요즈음 말로 번역해서 말한다면 “존재망실”의 서구존재론의 역사를 야기시킨 이데아론의 허구성이다.
--- p.30
초원 이충익에게는 이미 주자도 없고, 양명도 없고, 불교도 없고, 노자도 없다. …… 초원의 〈담노〉는 진실로 조선사상사의 종점이요, 출발점이요, 기화奇花요, 궁극점이다.
--- p.48
초원이야말로 〈노자도덕경〉이라는 텍스트 그 자체를 현학玄學의 본류 속에서 이해한 최초의 인물이라 말할 수 있다.
--- p.53
반야계열의 경전에서 잘 쓰이는 말인 “진공묘유眞空妙有”라는 개념의 뜻도 결국 공空이 가假가 아닌 진眞이 되기 위해서는 곧바로 묘유妙有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 p.76
순자는 성악을 말한 적이 없으며 단지 “성오”를 말했을 뿐이다. 인간의 본성을 존재론적으로 악하다고 규정한 적이 없다. …… 본성 그 자체를 악으로 규정했다면 교육이나 후천적 작위의 가치가 어디 발붙일 수 있겠는가!
--- p.104
초원은 미와 선에 대한 고집스러운 편견이나 절대주의적 주장이 조선지성계를 얼마나 피폐롭게 만들었는지를 잘 알고 있었다. …… 인류사를 되돌이켜보건대 선과 악의 절대적 실체화처럼 인류에게 재앙을 안겨준 졸렬한 사유체계는 없다.
--- p.107
산천초목의 이파리 하나도 끊임없는 생성을 거친다. 새순이 또 하나의 새순을 생生하는 과정에서 묵은 순이 새순을 소유하지 아니한다. 묵은 순은 새순의 합생의 자료가 된다. 그러니까 생의 과정은 소유가 없어야만 오그라듦이 없이 새로움의 자유를 구가할 수가 있다.
--- p.117
소유 없는 생성, 자기고집 없는 행위, 지배 없는 성장! 럿셀은 이 세 마디를 서구인들이 결여하는 중국문명의 핵심이라고 보았다.
--- pp.119-120
노자의 역문명사逆文明史적인 경고를 들으면서 우리는 사회진보에 대한 맹목적 신념이나 막연한 기대를 수정해야만 한다.
--- p.128
마음비움을 노자는 불교사상가들과는 달리 배를 채우고 뼈를 강하게 만드는 건강의 비결로 생각한 것이다. 무아는 해탈을 지향하지만 무위는 건강을 지향한다.
--- p.130
노자에게 있어서는 존재하는 것은 생성하는 것이다. 그런데 생성하는 것은 빔--- p.虛)을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존재하는 것은 비어있는 것이다. …… 빔이란 모든 가능성의 잠재태이며 창조성의 원천이다.
--- p.134
노자가 말하는 여성성이란 사회적 요청에 의하여 규정된 여성의 권리나 평등에 관한 주장이 아니라, 여성이라는 현존재의 특성을 우주론적으로 예찬한 것이다.
--- p.144
노자는 철저히 입세간入世間적인 데 반해 장자는 대체적으로 출세간出世間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노자는 철저히 현실적인 무위의 치술治術을 논하는데 장자는 초세간적인 자유를 구가하고 있는 것이다. --- pp.189-190
엑카르트가 말하는 “하나님 아닌 하나님,” “하나님을 넘어서는 하나님”은 노자에게서는 명사가 아닌 형용사·부사로써 묘사되고 있다: “황하고 홀하다.”
--- p.19
우주의 원질Urstoff을 묻는 희랍인들의 아르케arch?와 우리 동방의 도道는 좀 성격이 다르다. 희랍인들은 우주의 궁극적 실체가 무엇이냐라는 자연철학적 관심에서 철학사를 출발시켰다. …… 그러나 우리 동방의 사람들은 그러한 궁극적 실체성이나 원초성에 관심을 갖기보다는 “길”이라고 하는 천지대자연의 운행의 규칙성의 도덕적 의미를 물었다.
--- p.22
다시 말해서 노자가 비판하고 있는 대상을 요즈음 말로 번역해서 말한다면 “존재망실”의 서구존재론의 역사를 야기시킨 이데아론의 허구성이다.
--- p.30
초원 이충익에게는 이미 주자도 없고, 양명도 없고, 불교도 없고, 노자도 없다. …… 초원의 〈담노〉는 진실로 조선사상사의 종점이요, 출발점이요, 기화奇花요, 궁극점이다.
--- p.48
초원이야말로 〈노자도덕경〉이라는 텍스트 그 자체를 현학玄學의 본류 속에서 이해한 최초의 인물이라 말할 수 있다.
--- p.53
반야계열의 경전에서 잘 쓰이는 말인 “진공묘유眞空妙有”라는 개념의 뜻도 결국 공空이 가假가 아닌 진眞이 되기 위해서는 곧바로 묘유妙有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 p.76
순자는 성악을 말한 적이 없으며 단지 “성오”를 말했을 뿐이다. 인간의 본성을 존재론적으로 악하다고 규정한 적이 없다. …… 본성 그 자체를 악으로 규정했다면 교육이나 후천적 작위의 가치가 어디 발붙일 수 있겠는가!
--- p.104
초원은 미와 선에 대한 고집스러운 편견이나 절대주의적 주장이 조선지성계를 얼마나 피폐롭게 만들었는지를 잘 알고 있었다. …… 인류사를 되돌이켜보건대 선과 악의 절대적 실체화처럼 인류에게 재앙을 안겨준 졸렬한 사유체계는 없다.
--- p.107
산천초목의 이파리 하나도 끊임없는 생성을 거친다. 새순이 또 하나의 새순을 생生하는 과정에서 묵은 순이 새순을 소유하지 아니한다. 묵은 순은 새순의 합생의 자료가 된다. 그러니까 생의 과정은 소유가 없어야만 오그라듦이 없이 새로움의 자유를 구가할 수가 있다.
--- p.117
소유 없는 생성, 자기고집 없는 행위, 지배 없는 성장! 럿셀은 이 세 마디를 서구인들이 결여하는 중국문명의 핵심이라고 보았다.
--- pp.119-120
노자의 역문명사逆文明史적인 경고를 들으면서 우리는 사회진보에 대한 맹목적 신념이나 막연한 기대를 수정해야만 한다.
--- p.128
마음비움을 노자는 불교사상가들과는 달리 배를 채우고 뼈를 강하게 만드는 건강의 비결로 생각한 것이다. 무아는 해탈을 지향하지만 무위는 건강을 지향한다.
--- p.130
노자에게 있어서는 존재하는 것은 생성하는 것이다. 그런데 생성하는 것은 빔--- p.虛)을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존재하는 것은 비어있는 것이다. …… 빔이란 모든 가능성의 잠재태이며 창조성의 원천이다.
--- p.134
노자가 말하는 여성성이란 사회적 요청에 의하여 규정된 여성의 권리나 평등에 관한 주장이 아니라, 여성이라는 현존재의 특성을 우주론적으로 예찬한 것이다.
--- p.144
노자는 철저히 입세간入世間적인 데 반해 장자는 대체적으로 출세간出世間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노자는 철저히 현실적인 무위의 치술治術을 논하는데 장자는 초세간적인 자유를 구가하고 있는 것이다. --- pp.189-190
엑카르트가 말하는 “하나님 아닌 하나님,” “하나님을 넘어서는 하나님”은 노자에게서는 명사가 아닌 형용사·부사로써 묘사되고 있다: “황하고 홀하다.”
--- p.236
출판사 리뷰
노자는 철학 중의 철학이다!
노자는 근원적인 사유를 하고, 총체적인 사고를 하고, 포괄적인 생각을 한다. 노자는 고착된 사고의 전복을 요구한다. 노자의 첫 문장은 “도가도비상도”이다. 도를 도라는 어떤 규정된 관념의 틀 속에 가두면, 그 도는 늘 그러한 상도(常道)가 아니라는 것이다. 노자는 형이상학의 폭력을 거부한다. 시간의 흐름 속에 시시각각 변화하는 현상이 늘 그렇게 지속된다는, 변화와 지속의 항상성을 노자는 확고히 천명한다.
노자는 삶의 철학이다. 냉철히 파악되는 천지 대자연의 엄연한 질서를 탐구하여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좋은가를 이야기한다. 우리에게 그렇게 살지 말고 이렇게 살아보라는 삶의 태도를 가르친다. 노자는 부쟁(不爭)을 말하면서 우리 문명의 근본적 자세변환을 요구한다. 우리의 미래는 경쟁이 아니라 협동이라고 한다.
노자는 정치철학이다. 노자의 전편에 깔린 진정한 주어는 성인(聖人)이다. 성인의 성(聖)은 성(聲)이기도 하다. 사람들의 소리를 들을 줄 아는 통치자이다. 성인을 주어로 한 가르침은 바로 정치적 리더쉽에 관한 문제이다. 노자가 가르치는 무지, 무욕, 무위의 철학을 통하여 사람들 간의 신뢰가 형성되는 것이 제대로 된 정치 리더쉽이고, 그것이 바로 평화의 원천이 되는 것이다.
노자는 통 큰 우주론적 사유이다. 노자는 기존 모든 권위에 대한 존숭을 버리라고 한다. 약함이 강함을 이기고, 부드러움이 단단함을 이긴다고 하고, 어린아이의 순수함으로 돌아가자 한다. 노자에 따르는 인간은 자잘하지 않은 웅혼한 인격이 된다. 노자는 21세기를 기다리고 있던 철학이다. 노자는 그 포괄적 사상체계가 인간 사유의 원점으로서 정합적으로 인지되는, 통합적 비젼의 철학이다. 코로나바이러스를 겪고 있는 인류에게 절실해진 사상이다.
도올 노자 연구 50년의 최종 결실!
우리 시대의 철학자 도올 김용옥은 20대 초반의 대학생 때 김경탁, 김충렬 두 분 교수를 통하여 노자를 접하고부터 학문의 진로를 동양철학으로 확고히 하였다. 그후 중국 일본 미국의 유수한 대학에서 이 분야 최고 스승들의 훈도를 받았으며, 지금까지 50여년을 그는 노자를 핵심축으로 하여 동서양의 다양한 학문을 축적하며 그의 철학을 단련해왔다. 그리고 그는 노자사상을 우리 대중에게 알리는 노력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특히 밀레니엄인 2000년을 맞이하면서 EBS에서 진행된 노자강의의 선풍적 인기는 깊이 있는 노자사상을 우리 국민들에게 내면화시켰고, 방송을 통한 지적 담론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우리 사회에 방송강의를 통한 인문학의 붐이 폭발적으로 일어났다. 그 뒤 20년을 더 숙성하여, 지금 나온 이 책 『노자가 옳았다』는 도올의 노자연구 50년을 총결산하는 노작이다.
사상도 타이밍이 중요하다. 밀레니엄에서 20년이 흐른 지금, 같은 노자를 이야기해도 긴장감이 전혀 다르다. 20년 전의 EBS 노자강의가 20세기를 평가하고 새 시대의 비젼을 전해주는 버전이었다면, 21세기의 전지구적 위기상황인 현재 시점에서 발해지는 이 책 『노자가 옳았다』의 노자 메시지는 인류에게 문명의 전환을 다급하게 명령하는 뇌성벽력이다.
그리고 도올의 특별한 노작인 이 책의 가장 돋보이는 매력은 노자 원문의 번역이다. 우리 한국어로도 노자의 원문이 이렇게 명료하게, 이렇게 시(詩)`의 느낌으로, 이렇게 감동적으로, 이렇게 온전히 전달된다는 것이 기적일 뿐이다. 도덕경 81장 도올의 우리말 번역문만 읽어도 노자의 지혜가 독자의 가슴으로 촉촉이 젖어 들 것이다.
이천오백년의 노자철학, 21세기 운명적으로 다시 등장!
노자는 하나의 사상체계가 아니다. 우리 삶에 이미 수천 년 동안 배어있는 지혜요, 생활 태도이며, 사고방식이다. 노자는 한자 문명권의 역사와 더불어 긴 여정을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소박한 삶의 지혜로부터 출발하여, 인간 세상을 어떻게 다스릴까를 말하고, 우주의 실상이 무엇인가를 말한다.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 사상의 연원이 되기도 했고, 모든 민란의 사상적 기저가 되기도 했고, 불교를 수용하는 틀이 되기도 했다. 또 모든 예술의 영감이기도 하였다. 20세기에는 서양문명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게 해주는 모든 반문명적 사고의 원천이 되기도 하였다. 이제 21세기 인류문명의 근본적 회전이 절박한 이때 노자철학은 다시 한 번 세계사상사에 전면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제 인류는 공동의 운명임을 깨닫고, 우리 문명에 대해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해야만 한다.
문명의 전환기, 노자라는 마지막 인류의 희망!
현재의 우리 문명은 19세기부터 본격화된 산업혁명과 제국주의에 의해서 조장된 경쟁구조와 경쟁심을 기본 동력으로 삼아, 인간의 욕망을 자극하고 소비를 부추기는 자본주의적 경제발전을 지향하는 문명이다. 이 문명 발전의 귀결은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전 지구적 기후변동과 코로나19의 팬데믹이다.
이 책의 저자는 노자철학의 입장에서 기존 문명의 가치를 역전시키자고 호소한다. 노자에는 경쟁이 아닌 부쟁을, 욕망을 억제하는 무욕을, 소비를 줄이는 검약을, 천지대자연의 스스로 그러함을 유지시키는 환경론적 책임 등의 역문명사적 경고가 숱하게 들어있다. 노자철학은 무위의 철학이고 비움인 허(虛)를 존중한다. 노자는 무엇을 채우려는 방향에서의 인간의 작위를 “유위(有爲)”라고 부르고, 허를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의 인간의 노력이나 지혜를 “무위(無爲)”라고 부른다. 현대의 산업문명은 극대화된 유위의 문명이다. 그러니까 비움을 지향하는 무위의 철학은 기존의 문명에 대한 반문명적이다.
지구의 생태환경은 순환적이다. 그 순환의 장이 “허(虛)”이다. 노자에 있어 허가 도의 기능이고, 우주의 생명력이다. 허가 있어야 자연의 순환이 가능하고, 인간존재의 순환이 가능하고, 문명의 순환이 가능하다. 21세기 현시점에서 생각 있는 사람이라면 노자의 지혜를 받아들여 인류문명을 새롭게 구성해야 한다는 절박함을 깨달을 것이다.
노자철학은 아직 인류에게 희망으로 남아있지만 어쩌면 마지막 희망일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이제부터라도 노자의 통찰을 받아들여, 허(虛)의 문명을 새롭게 건설하자는 당위를 간절하게 설득하고 호소한다.
노자는 근원적인 사유를 하고, 총체적인 사고를 하고, 포괄적인 생각을 한다. 노자는 고착된 사고의 전복을 요구한다. 노자의 첫 문장은 “도가도비상도”이다. 도를 도라는 어떤 규정된 관념의 틀 속에 가두면, 그 도는 늘 그러한 상도(常道)가 아니라는 것이다. 노자는 형이상학의 폭력을 거부한다. 시간의 흐름 속에 시시각각 변화하는 현상이 늘 그렇게 지속된다는, 변화와 지속의 항상성을 노자는 확고히 천명한다.
노자는 삶의 철학이다. 냉철히 파악되는 천지 대자연의 엄연한 질서를 탐구하여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좋은가를 이야기한다. 우리에게 그렇게 살지 말고 이렇게 살아보라는 삶의 태도를 가르친다. 노자는 부쟁(不爭)을 말하면서 우리 문명의 근본적 자세변환을 요구한다. 우리의 미래는 경쟁이 아니라 협동이라고 한다.
노자는 정치철학이다. 노자의 전편에 깔린 진정한 주어는 성인(聖人)이다. 성인의 성(聖)은 성(聲)이기도 하다. 사람들의 소리를 들을 줄 아는 통치자이다. 성인을 주어로 한 가르침은 바로 정치적 리더쉽에 관한 문제이다. 노자가 가르치는 무지, 무욕, 무위의 철학을 통하여 사람들 간의 신뢰가 형성되는 것이 제대로 된 정치 리더쉽이고, 그것이 바로 평화의 원천이 되는 것이다.
노자는 통 큰 우주론적 사유이다. 노자는 기존 모든 권위에 대한 존숭을 버리라고 한다. 약함이 강함을 이기고, 부드러움이 단단함을 이긴다고 하고, 어린아이의 순수함으로 돌아가자 한다. 노자에 따르는 인간은 자잘하지 않은 웅혼한 인격이 된다. 노자는 21세기를 기다리고 있던 철학이다. 노자는 그 포괄적 사상체계가 인간 사유의 원점으로서 정합적으로 인지되는, 통합적 비젼의 철학이다. 코로나바이러스를 겪고 있는 인류에게 절실해진 사상이다.
도올 노자 연구 50년의 최종 결실!
우리 시대의 철학자 도올 김용옥은 20대 초반의 대학생 때 김경탁, 김충렬 두 분 교수를 통하여 노자를 접하고부터 학문의 진로를 동양철학으로 확고히 하였다. 그후 중국 일본 미국의 유수한 대학에서 이 분야 최고 스승들의 훈도를 받았으며, 지금까지 50여년을 그는 노자를 핵심축으로 하여 동서양의 다양한 학문을 축적하며 그의 철학을 단련해왔다. 그리고 그는 노자사상을 우리 대중에게 알리는 노력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특히 밀레니엄인 2000년을 맞이하면서 EBS에서 진행된 노자강의의 선풍적 인기는 깊이 있는 노자사상을 우리 국민들에게 내면화시켰고, 방송을 통한 지적 담론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우리 사회에 방송강의를 통한 인문학의 붐이 폭발적으로 일어났다. 그 뒤 20년을 더 숙성하여, 지금 나온 이 책 『노자가 옳았다』는 도올의 노자연구 50년을 총결산하는 노작이다.
사상도 타이밍이 중요하다. 밀레니엄에서 20년이 흐른 지금, 같은 노자를 이야기해도 긴장감이 전혀 다르다. 20년 전의 EBS 노자강의가 20세기를 평가하고 새 시대의 비젼을 전해주는 버전이었다면, 21세기의 전지구적 위기상황인 현재 시점에서 발해지는 이 책 『노자가 옳았다』의 노자 메시지는 인류에게 문명의 전환을 다급하게 명령하는 뇌성벽력이다.
그리고 도올의 특별한 노작인 이 책의 가장 돋보이는 매력은 노자 원문의 번역이다. 우리 한국어로도 노자의 원문이 이렇게 명료하게, 이렇게 시(詩)`의 느낌으로, 이렇게 감동적으로, 이렇게 온전히 전달된다는 것이 기적일 뿐이다. 도덕경 81장 도올의 우리말 번역문만 읽어도 노자의 지혜가 독자의 가슴으로 촉촉이 젖어 들 것이다.
이천오백년의 노자철학, 21세기 운명적으로 다시 등장!
노자는 하나의 사상체계가 아니다. 우리 삶에 이미 수천 년 동안 배어있는 지혜요, 생활 태도이며, 사고방식이다. 노자는 한자 문명권의 역사와 더불어 긴 여정을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소박한 삶의 지혜로부터 출발하여, 인간 세상을 어떻게 다스릴까를 말하고, 우주의 실상이 무엇인가를 말한다.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 사상의 연원이 되기도 했고, 모든 민란의 사상적 기저가 되기도 했고, 불교를 수용하는 틀이 되기도 했다. 또 모든 예술의 영감이기도 하였다. 20세기에는 서양문명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게 해주는 모든 반문명적 사고의 원천이 되기도 하였다. 이제 21세기 인류문명의 근본적 회전이 절박한 이때 노자철학은 다시 한 번 세계사상사에 전면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제 인류는 공동의 운명임을 깨닫고, 우리 문명에 대해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해야만 한다.
문명의 전환기, 노자라는 마지막 인류의 희망!
현재의 우리 문명은 19세기부터 본격화된 산업혁명과 제국주의에 의해서 조장된 경쟁구조와 경쟁심을 기본 동력으로 삼아, 인간의 욕망을 자극하고 소비를 부추기는 자본주의적 경제발전을 지향하는 문명이다. 이 문명 발전의 귀결은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전 지구적 기후변동과 코로나19의 팬데믹이다.
이 책의 저자는 노자철학의 입장에서 기존 문명의 가치를 역전시키자고 호소한다. 노자에는 경쟁이 아닌 부쟁을, 욕망을 억제하는 무욕을, 소비를 줄이는 검약을, 천지대자연의 스스로 그러함을 유지시키는 환경론적 책임 등의 역문명사적 경고가 숱하게 들어있다. 노자철학은 무위의 철학이고 비움인 허(虛)를 존중한다. 노자는 무엇을 채우려는 방향에서의 인간의 작위를 “유위(有爲)”라고 부르고, 허를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의 인간의 노력이나 지혜를 “무위(無爲)”라고 부른다. 현대의 산업문명은 극대화된 유위의 문명이다. 그러니까 비움을 지향하는 무위의 철학은 기존의 문명에 대한 반문명적이다.
지구의 생태환경은 순환적이다. 그 순환의 장이 “허(虛)”이다. 노자에 있어 허가 도의 기능이고, 우주의 생명력이다. 허가 있어야 자연의 순환이 가능하고, 인간존재의 순환이 가능하고, 문명의 순환이 가능하다. 21세기 현시점에서 생각 있는 사람이라면 노자의 지혜를 받아들여 인류문명을 새롭게 구성해야 한다는 절박함을 깨달을 것이다.
노자철학은 아직 인류에게 희망으로 남아있지만 어쩌면 마지막 희망일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이제부터라도 노자의 통찰을 받아들여, 허(虛)의 문명을 새롭게 건설하자는 당위를 간절하게 설득하고 호소한다.
'52.동양철학의 이해 (독서>책소개) > 7.동양철학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문학으로 만나는 몸 공부(2017) - 노장사상으로 배우고 황제에게 듣는 몸의 원리 (0) | 2023.09.18 |
---|---|
노장사상과 더불어 현대사회에서 살아가기 (2013) (0) | 2023.09.18 |
노장 사상 (2004) - 철학적 해석 (0) | 2023.09.18 |
사서색인 四書索引 (2022) - 21세기에 다시 살펴보는 공맹사상 孔孟思想 (0) | 2023.09.18 |
한비자 법가사상 (2018) - 제자백가의 생각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