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불교의 이해 (독서)/5.불교교리철학

중국불교철학1 (2016) - 인생론

동방박사님 2023. 9. 19. 06:53
728x90

소개

중국 인민대학 종신교수이면서 중국인민대학 철학계와 종교학계 박사 지도교수인 팡리티엔 교수의 『중국불교철학요의(中國佛敎哲學要義)』 5편 중 1편과 2편을 번역한 책이다. 인도불교가 중국으로 유입되며 중국 전통 사상과 습합을 거치며 발전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1권은 '인생론'을 다루는데, 인간 행위의 규범인 인과응보론을 먼저 다룬 다음 인간의 육체와 정신의 문제에 대한 다양한 주장을 논의하고 있다.

목차

서 론
1. 연구의 대상과 임무
2. 연구 태도와 방법
3. 체제와 구성

제1편 총 론
이끄는 말

제1장 중국불교철학의 형성
제1절 중국불교철학의 정의
제2절 중국불교철학의 형성과정
1. 경전의 번역
2. 경전의 의미를 가르치고 익힘
3. 불전 편찬
4. 교상판석과 종파 창립[判敎創宗]
제3절 중국불교철학의 형성 근원
1. 지리환경
2. 자연경제
3. 정치구조
4. 문화환경

제2장 중국불교철학의 역사적 변천
제1절 ‘격의’ 철학의 발생
제2절 현학화한 철학의 유행
제3절 학파철학의 발흥
제4절 종파철학의 번성
제5절 심성철학의 합류

제3장 중국불교철학의 사상적 체계
제1절 중국불교철학체계 사상의 근본 요소
1. 인생론 철학
2. 우주론 철학
3. 실천론 철학
제2절 중국불교철학체계의 다중적 연계
1. 단계와 핵심
2. 내부의 연계
3. 외부와의 연계
제3절 중국불교철학체계의 내외작용
1. 내부작용
2. 외부작용

제2편 인생론
들어가는 말

제4장 중국불교의 인과응보론
제1절 세상을 놀라게 한 새로운 유형의 인생철학
1. ‘진실한 이치[實理]’와 ‘근본요강[根要]’
2. 질의와 도전
제2절 응보설의 새로운 논증
1. 응보의 근원
2. 응보의 방식
3. 응보의 주체
4. 응보의 성질
제3절 윤회설의 새로운 설명
1. 육도윤회(六道輪回)와 혼의 태산 귀의[魂歸泰山]
2. 십계호구(十界互具)와 각각윤회(刻刻輪回)
3. 윤회와 지계(持戒), 윤회와 심념(心念)
4. 유가의 윤회설에 대한 반대대응
제4절 중국불교 인과응보론의 특색
1. 인과응보론의 철학적 내용
2. 인과응보론의 사회적 기능
3. 중국불교 인과응보론의 사상적 특색

제5장 중국불교의 신불멸론(神不滅論)
제1절 사람을 곤혹스럽게 한 중대한 철학적 문제
1. 두 문제에 대한 대립된 견해
2. 중국불교의 일반적 반응
3. 의견이 갈라진 중요한 원인
제2절 신멸과 신불멸의 논쟁
1. 논쟁의 전개
2. 논쟁의 격화
3. 논쟁의 고조
제3절 ‘신(神)’의 의미와 신불멸의 논증
1. ‘신(神)’의 여러 의미
2. 신불멸의 체계적 논증
제4절 불교의 신불멸론과 중국의 고유문화사상

제6장 중국불교 열반관념의 변천과 발전
제1절 인도불교의 열반학설 약술
1. 부파불교의 두 가지 열반학설
2. 중관학파의 열반과 세간(世間) 무차별론
3.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의 열반 사덕설(四德說)
4. 유식학파의 열반설(涅槃卽眞如離障說)
제2절 한(漢), 위(魏), 진(晉) 시대의 열반사상
제3절 남북조 열반사의 학설
제4절 수ㆍ당(隋唐) 불교 종파의 열반론

제7장 중국불교의‘불’에 관한 개념의 전환과 확대
제1절 인도불교의 불신론(佛身論) 약술
1. 일신설에서 다신설까지
2. 일불설(一佛說)에서 다불설(多佛說)까지
제2절 ‘불(佛)’ 개념의 중국화된 해석
1. 도를 체득한 자가 ‘불’이다
2. “주공과 공자가 곧 불이고, 불이 곧 주공과 공자이다.”
3. 불은 인격신이다
4. ‘법이 곧 불[法卽佛]’이며 ‘진리가 곧 불’이다[理者卽是佛]
5. 천태종의 ‘육즉불(六卽佛)’설
6. 선종의 ‘무엇이 불인가[如何是佛]?’설
제3절 중국불교의 불신(佛身)에 관한 창조적 설명
1. 수ㆍ당(隋唐) 이전의 법신관(法身觀)
2.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삼신(三身)이론
3. 천태, 화엄, 정토, 선종의 불신설(佛身說)

제8장 중국불교 정토관념의 분류와 전환
제1절 인도불교의 정토설 약술
제2절 미륵정토 신앙의 흥망성쇠
제3절 미타정토(彌陀淨土)사상의 다른 견해
제4절 유심정토관념의 유행
제5절 인간정토 사상의 제창

저자 소개

저자 : 팡리티엔
북경대학을 졸업하고 인민대학 종신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민대학 철학계와 종교학계 박사 지도교수로 있다.
역자소개
김봉희 : 한국교육선진화연구원 원장
이봉순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황성규 : 중국 인민대학 철학과(철학박사), 대전 보문고등학교 교사

출판사 리뷰

이 책의 원작자인 팡 리티엔 교수는 현재 중국 인민대학 종신교수이면서 중국인민대학 철학계와 종교학계 박사 지도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중국 철학계와 종교학계를 선구자다. 이 책은 팡 교수가 10년의 각고 끝에 펴내어 중국의 출판문화상을 수상한 『중국불교철학요의(中國佛敎哲學要義)』 5편 중 1편과 2편을 번역한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중국불교의 뛰어난 인물과 중국불교학자가 제시한 불교경전의 풍부한 철학성과 사상적인 개념과 관점 등에 대하여 자세하게 밝히고 있다.

제1편은 총론으로서 인도불교가 중국에 들어와 중국의 고유철학인 유교 및 도교와 접목되어 중국불교철학이 형성된 과정과 중국의 정치·경제·문화 등 사회적인 영향에 의하여 중국불교철학이 변천되어 온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그렇게 형성되고 발전된 중국불교철학의 사상체계를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대한 저자의 관점을 기술하고 있다.

제2편 인생론에서는 인간의 삶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다. 인간 행위의 규범인 인과응보론을 먼저 다룬 다음 인간의 육체와 정신의 문제에 대한 다양한 주장을 깊이 있게 논의하고 있다. 그리고 인간의 궁극적 이상인 성불문제와 관련하여 열반·불·정토 세 가지 개념을 중심으로 중국불교학자들의 다양한 관점을 설명하고 저자의 견해를 드러내고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중국철학에서 대단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불교철학이 인도불교철학의 주제와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중국의 전통적인 사상인 유교와 도교와의 사상적인 교섭을 통하여 독창성이 뛰어나다는 점을 강력하게 피력하고 있다. 중국인에 의한 중국불교철학 저술이라는 한계와 장점이 동시에 드러나 있고, 불교철학을 보는 중국인 스스로의 관점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평가할 만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