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독일과 폴란드의 교과서대화(협의)를 자세히 살펴보고 그로부터 동북아 지역의 역사 갈등을 해소하고 역사화해를 이룰 교훈을 얻기 위해 희망적 예시로서 제시된 책. 근대국민국가가 수립되면서 국민적 정체성과 영토 개념을 확정한 이후 세계 곳곳에서 드러난 역사 갈등 속에서 역사화해의 길을 성공적으로 개척한 독일과 폴란드의 사례는 동북아시아의 역사 갈등 해소를 위한 철학과 그 방법에 대해 상당한 교훈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훈들을 바탕으로 연구자, 교사, 정책담당자들이 많은 시사점을 얻기 바라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목차
가해와 피해의 구분을 넘어-독일·폴란드 역사 화해의 길
Ⅰ. 독일-폴란드 관계사 개관
1. 950년 이전
2. 중세 폴란드의 성장과 몰락
3. 종교개혁의 시기
4. 1600~1800년 폴란드의 쇠락
5. 19세기
6. 20세기
Ⅱ. 독일-폴란드 역사교과서 대화의 역사
1. 독일과 폴란드인의 상호인식과 과거정책의 역사적 변화
2. 독일-폴란드 교과서 대화의 전사
3. 1970년대 독일-폴란드 간의 교과서 협력과 공동 권고안
4. 권고안에 대한 사회의 반응
5. 권고안이 역사교과서 개선에 미친 영향
6. 권고안 이후의 독일-폴란드 교과서협의
Ⅲ. 핵심 사료의 비교 분석
1. 중세 독일-폴란드 관계에 대한 논의와 관련해서
2. 독일의 식민운동에 관한 논의와 관련해서
3. 독일 기사단에 대한 논의와 관련해서
4. 슐레지엔과 폼머른을 둘러싼 영토 문제와 관련해서
5. 산업화에 대한 서술의 비교
6. 제1차 세계대전과 폴란드 국가 재건
7. 나치 지배, 제2차 세계대전, 영토 변경과 추방
Ⅳ. 결론
1. 쌍무적 교과서협의를 통한 교과서 개선 권고안 마련이 필요
2. 학문적 인프라의 개선
3. 역사교육학적 고려
4. 사회적 인프라의 강화
부록
교과서 대화 관련 핵심 사료 번역
Ⅰ. 엔노 마이어의 테제(1956)
Ⅱ. 독일-폴란드 교과서위원회의 공동권고안(1976)
Ⅲ. 대안 권고안(1978)
Ⅳ. 20세기 독일-폴란드 관계사 교사용 안내서(2001)
Ⅰ. 독일-폴란드 관계사 개관
1. 950년 이전
2. 중세 폴란드의 성장과 몰락
3. 종교개혁의 시기
4. 1600~1800년 폴란드의 쇠락
5. 19세기
6. 20세기
Ⅱ. 독일-폴란드 역사교과서 대화의 역사
1. 독일과 폴란드인의 상호인식과 과거정책의 역사적 변화
2. 독일-폴란드 교과서 대화의 전사
3. 1970년대 독일-폴란드 간의 교과서 협력과 공동 권고안
4. 권고안에 대한 사회의 반응
5. 권고안이 역사교과서 개선에 미친 영향
6. 권고안 이후의 독일-폴란드 교과서협의
Ⅲ. 핵심 사료의 비교 분석
1. 중세 독일-폴란드 관계에 대한 논의와 관련해서
2. 독일의 식민운동에 관한 논의와 관련해서
3. 독일 기사단에 대한 논의와 관련해서
4. 슐레지엔과 폼머른을 둘러싼 영토 문제와 관련해서
5. 산업화에 대한 서술의 비교
6. 제1차 세계대전과 폴란드 국가 재건
7. 나치 지배, 제2차 세계대전, 영토 변경과 추방
Ⅳ. 결론
1. 쌍무적 교과서협의를 통한 교과서 개선 권고안 마련이 필요
2. 학문적 인프라의 개선
3. 역사교육학적 고려
4. 사회적 인프라의 강화
부록
교과서 대화 관련 핵심 사료 번역
Ⅰ. 엔노 마이어의 테제(1956)
Ⅱ. 독일-폴란드 교과서위원회의 공동권고안(1976)
Ⅲ. 대안 권고안(1978)
Ⅳ. 20세기 독일-폴란드 관계사 교사용 안내서(2001)
'43.서양사 이해 (독서>책소개) > 6.동유럽역사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와 인물로 동유럽 들여다보기 (2021) (1) | 2024.02.06 |
---|---|
체코 역사와 민족의 정체성 (2016) (0) | 2024.02.06 |
폴란드 구소련 위성국에서 대러전선의 선봉이 되다(2022) (0) | 2024.02.06 |
이야기 폴란드사 (2013) (0) | 2024.02.06 |
부다페스트 1900년 (2023) (1)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