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한일관계사 연구 (전공분야>책소개)/9.고대한일교류

왕인박사 (2022)

동방박사님 2024. 11. 9. 07:24
728x90

책소개
2012년 『왕인박사 연구(王仁博士硏究)』 간행 후 10년이 지났다. 그리고 (사) 왕인박사현창협회가 내년에는 창립 50주년을 맞이한다(1973년 창립).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10년 만에 다시 『왕인박사(王仁博士)』를 펴내게 되었다. 첫 번째 『왕인박사 연구』(2012년)는 왕인박사 탄생지로 알려진 성기동(聖基洞) 일대의 지표조사와 한·일 양국의 문헌자료, 유적·유물 등을 바탕으로 하여 왕인박사에 대한 구비전승과 왕인박사의 업적 등을 다루었다. 두번째 『왕인박사』(2022년)는 왕인박사의 탄생지(誕生地), 왕인박사에 대한 교육(敎育)의 역사, 왕인박사 현창(顯彰) 사업을 주제로 한국과 일본의 전문가 12명이 쓴 역사학 분야의 논문을 수록하였다.


목차
간행사

Ⅰ. 서장

역사학 분야의 왕인박사 연구 현황과 과제
- 정성일 (광주여자대학교 교수)

Ⅱ. 왕인박사의 탄생지에 대한 고찰

 제1장 조선시대 왕인박사에 대한 인식의 전개와 그 의미
- 하우봉 (전북대학교 명예교수)
 제2장 남용익의 통신사행을 통하여 본 왕인
- 구지현 (선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제3장 조선 통신사와 왕인박사의 만남
- 大澤?一 (일본 大阪?史博物館 관장)
 제4장 근대 이전 왕인박사 영암 출생설의 배경
- 박남수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제5장 왕인王仁 박사 기록 데이터베이스 편찬의 필요성과 그 방안
- 허경진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객원교수)
 제6장  1925년 『창명』에 보이는 왕인박사 영암 출신설
- 김덕진 (광주교육대학교 교수)
 제7장  1927년 영암 답사기에 보이는 왕인박사 전승
- 정성일 (광주여자대학교 교수)

Ⅲ. 왕인박사에 대한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향

 제1장 한·일 양 국민의 상호인식과 호혜정신
- 박광순 (전남대학교 명예교수)
 제2장 한국의 역사서와 연구물에 그려진 왕인박사
- 박남수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제3장 일본의 역사서와 연구물에 그려진 왕인박사
- 나행주 (건국대학교 강의교수)
 제4장 한국의 교과서에 그려진 왕인박사
- 박해현 (초당대학교 교수)
 제5장 일본의 교과서에 그려진 왕인박사
- 김선희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선임연구원)

Ⅳ. 왕인박사에 대한 추모와 상징의 역사

 제1장 왕인박사 현창사업 성과와 과제
- 박광순 (전남대학교 명예교수)
 제2장 일본 민간단체의 왕인박사 현창사업의 현황과 과제
- 김선희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선임연구원)
 제3장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왕인박사 유적지 조성사업 현황과 과제
- 松本茂幸 (前 일본 佐賀? 神埼市 시장)

저자 소개 
저 : 박광순 
전남대학교 경제학박사, 전남대학교 명예교수, 前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일본 도쿄대학(東京大?) 객원교수, 사가대학과 구루메대학 교수 역임
『한국 어업경제사 연구』, 유풍출판사, 1981.

저 : 마쓰모토 시게유키 
일본 도요대학(東洋大?) 법학부
일본 사가현(佐賀縣) 간자키시(神埼市) 공무원(1969년~2004년)
일본 사가현 간자키쵸[神埼町] 町長(2005~2006년)
일본 사가현 간자키시 市長(2006~2022년)


저 : 허경진
현 淵民學會 편집위원장. 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피난 시절 목포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 때부터 대학 때까지 시를 썼으며, 1974년 「요나서」로 연세문학상을 받았다. 대학원 시절 도서관 고서실에 쌓인 한시 문집을 보고 독자로 하여금 쉽게 다가가도록 해야겠다는 생각에 한문학으로 전공을 바꾸었다. 이때부터 한시 번역에 힘써 최치원부터 황현에 이르는 ‘한국의 한시’ 40여 권을 출간했으며, 앞으로 100권을...

출판사 리뷰
한국과 일본의 역사학자 12명이 쓴 ‘왕인박사’에 대한 논문 수록

2012년 『왕인박사 연구(王仁博士硏究)』 간행 후 10년이 지났다. 그리고 (사) 왕인박사현창협회가 내년에는 창립 50주년을 맞이한다(1973년 창립).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10년 만에 다시 『왕인박사(王仁博士)』를 펴내게 되었다.

첫 번째 『왕인박사 연구』(2012년)는 왕인박사 탄생지로 알려진 성기동(聖基洞) 일대의 지표조사와 한·일 양국의 문헌자료, 유적·유물 등을 바탕으로 하여 왕인박사에 대한 구비전승과 왕인박사의 업적 등을 다루었다. 두번째 『왕인박사』(2022년)는 왕인박사의 탄생지(誕生地), 왕인박사에 대한 교육(敎育)의 역사, 왕인박사 현창(顯彰) 사업을 주제로 한국과 일본의 전문가 12명이 쓴 역사학 분야의 논문을 수록하였다.

첫째, 하우봉 교수(「조선시대 왕인박사에 대한 인식의 전개와 그 의미」)와 구지현 교수(「남용익의 통신사행을 통하여 본 왕인」), 오사와 겐이치[大??一] 관장(「조선 통신사와 왕인박사의 만남」), 박남수 교수(「근대 이전 왕인박사 영암 출생설의 배경」), 허경진 교수(「왕인(王仁) 박사 기록 데이터 베이스 편찬의 필요성과 그 방안」), 김덕진 교수(「1925년 『창명』에 보이는 왕인박사 영암 출신설」), 그리고 정성일 교수(「1927년 영암 답사기에 보이는 왕인박사 전승」)는 왕인박사가 한반도 출신이며 영암 출생으로 알려지게 된 배경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박광순 교수(「한·일 양 국민의 상호인식과 호혜정신」), 박남수 교수(「한국의 역사서와 연구물에 그려진 왕인박사」), 나행주 교수(「일본의 역사서와 연구물에 그려진 왕인박사」), 박해현 교수(「한국의 교과서에 그려진 왕인박사」), 김선희 교수(「일본의 교과서에 그려진 왕인박사」)는 왕인박사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과 교육을 분석하였다.

셋째, 박광순 교수(「왕인박사· 현창사업의 성과와 과제」), 김선희 교수(「일본 민간단체의 왕인박사 현창사업의 현황과 과제」), 그리고 마쓰모토 시게유키[松本茂幸] 일본 사가현(佐賀?) 간자키시(神埼市) 시장은 한국과 일본(佐賀? 神埼市, 大阪府 枚方市)의 왕인박사 현창(추모) 사업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왕인박사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왕인박사의 출신에 대해서도 더욱 분명해졌다. 한·일 양국 역사서(교과서)의 왕인박사 서술이 시대 변천에 따라 달라졌음도 확인되었다. 왕인박사에 대한 현창(추모)이 양국에서 현재까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도 더욱 명확해졌다. 그런데 이것으로 왕인박사에 대한 연구가 종결된 것은 아니다. 유물(遺物) 중심의 고고학 분야와 문헌(文獻) 중심의 역사학 분야 연구를 통해서 앞으로 더 보완해야 한다.

이 책은 영암군의 적극적인 지원, 지역민의 뜨거운 성원과 함께, 정성일 연구소장을 비롯한 집필자 여러분의 노고가 있었기에 세상의 빛을 볼 수 있었다. 깊이 사의를 표하는 바이다. 아무쪼록 이 책이 왕인박사 연구와 현창 사업에 작은 초석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 출처 :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17861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