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기원전 6세기에 등장한 이래 손자병법은 해설서만도 수천 권이 쓰인 시공을 초월한 베스트셀러다.
매년 연초가 되면 각계의 리더들은 물론 인생의 해답을 찾고자 하는 많은 이들이 손자병법을 찾는다.
평화의 시대에 손자병법은 경영서, 처세서로 지속적인 사랑을 받고 있다.
하지만 본래 병서인 손자병법이 리더십이나 자기계발을 위한 교훈으로 포장되는 데는 약간의 괴리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전쟁사에 정통한 전문가가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전쟁과 전투로 손자병법을 풀어내는 해설서를 선보였다.
토크멘터리 전쟁사〉가 8천만 회의 조회 수를 기록하면서 전쟁사 분야의 전문가로 입지를 다진 역사학자 임용한이 손자병법을 동서고금의 전쟁사로 풀어낸 해설서를 펴냈다.
목차
들어가는 글
제1편 계計
제2편 작전作戰
제3편 모공謀攻
제4편 형形
제5편 세勢
제6편 허실虛實
제7편 군쟁軍爭
제8편 구변九變
제9편 행군行軍
제10편 지형地形
제11편 구지九地
제12편 화공火攻
제13편 용간用間
저자 소개
원저 : 손무 (Sonbu,そん ぶ,孫 武, 孫子,손자, 장경)
본명 손무孫武. 자는 장경長卿. 산둥성山東省 러안樂安 출생. 제齊나라 사람. BC 6세기경 오吳나라의 왕 합려闔閭를 섬겨 절제있고 규율 잡힌 군대를 조직했고, 초楚·제齊·진晋 등의 나라를 굴복시켜 오왕 합려를 중원의 패자覇者로 만들었다.
싸우지 않고 적을 굴복시키는 것을 으뜸으로 생각한 병법가. 중국 고대의 가장 위대한 군사이론저서 <손자병법>을 쓴 이가 바로 손무이다. 그는 출생과 죽음이 불분명하나 그의 업적만...
책 속으로
실상을 끄집어내는 능력이 전쟁을 승패를 좌우하는 만큼, 그 능력을 배양하려는 노력 역시 무척이나 중요한 것이어서 한 천재의 사례를 들어보고자 한다.
1805년 울름 전투에서 나폴레옹과 맞섰던 오스트리아 사령관 카를 마크는 나폴레옹의 미스터리로 고민하다가 정신이 상이 되어 사망했다는 설이 있다.
나폴레옹의 미스터리란, 나폴레옹군의 불가사의한 이동 능력이었다.
아니, 출몰이라는 표현이 옳겠다. 그전까지의 전쟁 은 전투 지역에 투입할 군대를 미리 모아놓고 벌이는 것이 정석이었다.
불확실 한 지도, 좁은 도로, 뒤처지는 병참 능력과 보병 중심의 군대라는 특성으로 인해 당시의 지휘관들은 전투 예상 지역에 병력을 모아놓고 전투를 시작했다.
뒤 에 숨겨놓은 군대가 있다고 해도 멀리 떨어트려 놓을 수는 없었다.
이런 뻔한 속임수를 탐지하기 위해 양측은 서로 기병을 동원해 보병의 하루 이동 범위를 정찰했다. 그 안에 적군이 없다면 이 전장에 있는 군대가 전부라는 의미였다.
그런데 나폴레옹은 이 범주를 넘어서 심하면 수백 킬로미터 밖에 있는 군단을 서로 다른 경로로 이동시켜, 정해진 시간에 전투지에 도착하게 했다.
눈앞에 있는 나폴레옹군의 규모만 보고 전투에 돌입한 상대는 전투 중에 갑 자기 등장하는 프랑스군에 기겁하고 패전하는 일이 다반사였다.
아우스터리츠 전투는 지금의 체코에서 벌어졌는데, 다부 원수가 110킬로미터의 거리를 이틀 만에 강행군으로 돌파해서 전장에 도착했다.
--- p.23~24
전쟁에서 가장 위험한 논리는 근거 없는 낙관론이며, 가장 위험한 사람은 대책 없는 강경론자다. 전쟁에서는 강경론이 득세한다.
그 직전에 작은 승리라도 거두었다면, 신중론을 펴는 사람은 비겁자로 몰리기 십상이다.
진정한 용기는 두려움에서 나온다.
두려움을 모르는 사람은 진정한 용사가 될 수 없다. 리더는 경박해서 용감해 보이는 사람과 진정한 투사, 겁이 많아서 신중한 사람과 시야가 넓어서 신중한 사람을 구별할 줄 알아야 한다.
그래야 이런 참모들이 하는 조언을 받아들여 싸울 때와 싸우지 말아야 할 때를 판단할 수 있다.
몽골군이라고 하면 전투적이고 야성적인 전사를 연상하기 쉽다. 실제로 칭기즈칸 이전에는 그런 인물이 용사 대접을 받았다 하지만 칭기즈칸은 전사의 기준을 바꿨다.
칭기즈칸이 가장 꺼린 리더가 대책 없이 용감하고 무모한 전사였다.
칭기즈칸은 그런 인물은 아예 전쟁터에서 격리해 말 먹이는 곳으로 쫓아 보냈다.
칭기즈칸에게 우수한 장교는 싸울 때와 싸우지 않을 때를 구분하는 사람, 공격을 개시할 최적의 타이밍까지 꾹 참고 기다릴 줄 아는 사람이었다.
지혜와 인내, 칭기즈칸은 초원의 야만적인 전사의 이미지와는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이 두 가지 기준을 철저히 준수했고, 그의 군대는 세계 최강의 군대가 되었다.
--- p.148
손자의 문제의식은 전쟁터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불우의 상황’ 다시 말해 예측 불가능하며,
아군과 적군이 지략을 다해 치고받는 변화무쌍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돌발 상황에 대처하는 법이다.
장거리 원정과 정복 전쟁에서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기도 하다.
이런 상황은 본국에서 수없이 많은 전투를 겪고, 아무리 많은 훈련을 했어도 대비할 수 없다.
신천지를 만날 때마다 충분한 데이터를 준비하고 뛰어들려고 하다간 100년이 걸려도 천하통일은 이루지 못한다.
손자의 이 말뜻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더 잘 이해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루아침에 새로운 기술이 세상을 바꾸는 오늘날, 내일의 변화에 완전하게 대비한다는 건 애초에 불가능하다.
유일한 방법은 선행학습이 아니라 대처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여기서 손자가 말한 지피지기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알 수 있다. 미지의 상황에서 대응하는 능력과 반응이다.
--- p.154~155
손자는 도하를 시도하는 적이 물속에 있을 때 공격하지 말고 절반쯤 도하한 뒤에 공격하라고 했다.
이들을 공격할 때도 물가에 붙어서 싸우지 말고 주변의 고지대를 이용하라고 충고한다.
이 말에 반대하는 지휘관도 있을 것이다. 도하 작전이나 상륙 작전의 성패는 교두보의 확보에 달려 있다.
교두보를 허용하지 않고, 적의 후속 부대가 계속 건너오지 못하게 하려면 아군을 물가에 붙여서 교두보를 설치할 여지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그런데 물가에 붙어서 싸우면 결국 전투는 아군 맨 앞 열과 적군 맨 앞 열의 싸움이 된다.
한마디로 손자는 지형을 더 효과적으로 이용하라고 충고하는 것이다.
물가 주변에는 비탈이나 고지대가 있게 마련이다. 손자는 그 지형을 이용하라고 말한다.
교두보의 확보를 포기하라는 것이 아니라, 교두보에만 집착해서 스스로 전술을 제한하지 말라는 이야기다.
전략과 전술을 구상할 때 ‘교두보’와 같이 형식적인 것들에 집착해서 전체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 p.335
용병의 정수는 속도라는 이 통찰은 《손자병법》에 영원한 생명력을 불어넣었다.
서양에서도 나폴레옹 시대 이전에 이미 《손자병법》을 번역해서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현대까지도 동서양 장군들의 필독서로 자리 잡았다.
고대의 병서임에도 현대전에서까지 존중받은 결정적 요인은 손자가 병서 곳곳에서 속도를 이용한 전술 원리를 전파했기 때문이다.
손자가 살았던 시대는 분열과 반목이 횡행했다.
한 나라의 군대는 여러 반목하는 집단과 거들먹거리는 귀족 집단의 군대 연합체였다.
손자는 그런 시대를 살았기에 분열의 위력에 일찍 주목했고, 이를 전술에 적용하게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분열의 수단으로 속도와 기동을 제시한 것은 놀라운 통찰이다.
당시는 중원에 아직 기병이 등장하지도 않았고, 전차는 활용이 너무 제한적이었다.
기병은 유목민의 전유물이었다. 그런데도 손자는 기병전이 가능할 때 나 상상할 수 있는 개념인 속도의 전술을 이론으로 전개시켰다. 이런 통찰력이 《손자병법》의 진정한 생명력이다.
--- p.397~398
출판사 리뷰
손자병법은 기원전 6세기에 중국이 수십 개의 나라로 분열되어 전쟁과 모략이 횡행하던 시기에 필승법으로 쓰였다.
그로부터 약 800년이 지나 2세기에 위나라를 세운 조조는 손자병법의 애독자로 현재 가장 널리 읽히는 해설서를 펴냈다.
그리고 다시 1200년이 지나 수양대군은 손자병법에 주석을 단 ‘무경칠서주해’를 펴냈으며, 100년 후 이순신은 손자병법으로 다진 전략과 전술을 통해 왜구로부터 우리 바다를 지켰다.
그리고 다시 400년의 시간이 흘러 두 번의 세계대전에서 독일의 로멜, 미국의 패튼, 그리고 한국전쟁에서 활약한 더글러스 맥아더까지 모두 손자병법을 교본으로 활용했다.
평화의 시대인 지금도 사업가로 세계를 제패한 빌 게이츠나 손정의 같은 이들이 ‘손자병법’에서 답을 찾았다고 이야기하며, 패배를 딛고 일어나 미국의 47대 대통령으로 다시 당선된 도널드 트럼프 역시 손자병법을 인생 책으로 꼽았다.
청동기 시대에 쓰인 병법서가 자그마치 2500년이 넘도록, 동서양을 막론하고, 전쟁과 평화의 시기에도 모든 리더들의 길잡이가 된 비결은 무엇일까?
2500년간 열광적인 독자들을 만들어낸 최고의 스테디디셀러
신간 《손자병법: 세상의 모든 전략과 전술》은 세상에 선보인 수많은 해설서 중에서도 전쟁으로 손자병법을 풀어냈다는 점에서 차별화를 이뤘다.
이 책의 저자 임용한은 국방TV 토크멘터리 전쟁사를 통해 동서고금의 전쟁사를 흥미롭게 풀어내면서 전쟁사 스토리텔러로 독보적 입지를 다졌다.
특히 전쟁이 벌어진 시대의 역사를 면밀하게 분석해 현실적인 해석을 덧붙여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면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저자는 세상의 모든 전략과 전술의 참고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손자병법이 전쟁의 현실과 동떨어져 해석되는 사례들을 보고 아쉬움을 느꼈다.
이는 토크멘터리 전쟁사를 진행하면서 계속 커져서 결국 전쟁사에 방점을 찍은 손자병법 해설서를 집필하기에 이르렀다.
전쟁사에 통달한 저자가 전쟁으로 풀어낸 새로운 손자병법
《손자병법: 세상의 모든 전략과 전술》이 기존의 손자병법과 차별화된 점은 병법서의 특징을 살리기 위해 실제 전쟁 사례를 풍부하게 담았다는 점이다.
저자는 손자병법을 3단계로 나눠 풀어낸다.
먼저 이 책은 손자의 말이 지닌 의미를 손자의 시대에서 찾으려고 한다.
청동기에서 철기로 넘어가던 시기인 기원전 6세기는 전쟁의 방식도 달랐다.
그 시대의 정세와 그 속에서 벌어진 전쟁을 분석해봄으로써 손자의 의중을 가장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애썼다.
다음으로 기원전 6세기 서양에서 벌어진 마라톤 전투부터 가장 최근 벌어져 현재도 진행 중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까지, 동서고금의 전쟁과 전투를 소환해서 손자병법의 명언들이 어떻게 전쟁을 승리로, 또 실패로 이끄는지 해설한다.
동서양을 통합한 헬레니즘 제국의 알렉산드로스 대왕, 카르타고의 한니발, 조선의 이순신, 프랑스의 나폴레옹 같은 명장들부터 슐리펜 계획의 몰트케, 베트남전의 조지 무어, 독립전쟁의 콘월리스 등 실패한 장수들의 사례까지 손자병법의 틀 안에서 살펴본다.
이로써 손자병법이 어떻게 현대까지 그 생명력을 지속해왔는지, 그 이유를 증명해낸다.
마지막으로 현대의 총성 없는 전쟁을 치르고 있는 장수인 모든 리더를 그 대상으로 확장한다.
병법서를 ‘전쟁’이라는 돋보기로 다시 한번 살펴보면 비로소 그 진리가 눈에 들어온다.
따라서 이 책은 손자병법을 처음 읽는 사람은 물론, 기존에 손자병법을 읽은 독자들에게도 새로운 시각과 즐거움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출처 :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1737825>
'42.세계사 이해 (독서>책소개) > 2.세계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중의 망상 (2023) - 욕망과 광기의 역사에 숨겨진 인간 본능의 실체 (1) | 2025.02.02 |
---|---|
대전환 (2024) - 중세 말 세계에서의 기후, 질병, 그리고 사회 (0) | 2025.01.11 |
세계사를 만든 30개 수도 이야기 (2024) - 언어학자와 떠나는 매력적인 역사 기행 (1) | 2024.12.06 |
역병, 전쟁, 위기의 세계사 (2024) (1) | 2024.11.13 |
데이터의 역사 (2024) - 인간의 숨겨진 욕망과 권력 관계를 숨김없이 보여주는 데이터에 관한 진실! (1) | 2024.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