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역사학자부터 밀리터리 매니아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이들이 전쟁에 관한 최고의 교범으로 꼽는 전쟁이론의 고전을 독일어 원문에서 직접 번역한 책이다. 프로이센 장군 클라우제비츠는 나폴레옹의 러시아원정(1812)과 워털루싸움(1815) 등 수많은 실전경험과 당대의 이론을 바탕으로 전쟁이 단순한 살육이 아닌 인간의 의지와 정신이 개입된 행위임을 근본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인류의 활동 전반에 걸친 사색을 통해 이 책을 저술했다.
전쟁이란 상대를 굴복시켜 자신의 의지를 상대에게 강요하는 폭력행위라는 정의내린 저자는 그때까지 군사과학에서 개념이 막연했던 전략과 전술을 엄격히 구분해, ‘전쟁준비’로서 현대의 병참을 들어, 군사학과 용병술의 체계를 세웠다. 전쟁 본질, 전쟁 이론, 전략 일반, 전투, 전투력(군사력), 방어, 공격, 전쟁계획의 8편으로 구성되어 고전적 병서(兵書)이면서 동시에 전쟁을 정치와 관련시킨 점에서 훌륭한 정치학서이기도 하다.
전쟁이란 상대를 굴복시켜 자신의 의지를 상대에게 강요하는 폭력행위라는 정의내린 저자는 그때까지 군사과학에서 개념이 막연했던 전략과 전술을 엄격히 구분해, ‘전쟁준비’로서 현대의 병참을 들어, 군사학과 용병술의 체계를 세웠다. 전쟁 본질, 전쟁 이론, 전략 일반, 전투, 전투력(군사력), 방어, 공격, 전쟁계획의 8편으로 구성되어 고전적 병서(兵書)이면서 동시에 전쟁을 정치와 관련시킨 점에서 훌륭한 정치학서이기도 하다.
목차
머리글-펴내는 이
방침-지은이
머리말-지은이
제1편 전쟁의 본질에 대하여
제1장 전쟁이란 무엇인가
제2장 전쟁의 목적과 수단
제3장 군사적 천재
제4장 전쟁에서의 위험에 대하여
제5장 전쟁에서의 육체적 고통에 대하여
제6장 전쟁에 있어서의 정보
제7장 전쟁에서의 마찰
제8장 제1편의 결론
제2편 전쟁의 이론에 대하여
제1장 전쟁술의 구분
제2장 전쟁의 이론에 대하여
제3장 전쟁술인가 전쟁학인가
제4장 방법주의
제5장 비판
제6장 전쟁 사례에 대하여
제3편 전략 일반에 대하여
제1장 전략
제2장 전략의 여러 요소
제3장 정신적 요소
제4장 중요한 정신력215 제5장 군대의 무덕
제6장 용감성
제7장 불굴
제8장 수의 우세
제9장 기습
제10장 궤책
제11장 공간에서의 병력 집중
제12장 시간상 병력 집합
제13장 전략적 예비 병력
제14장 병력의 경제적 사용
제15장 기하학적 요소
제16장 군사적 행동 정지에 대해서
제17장 근대전 성격에 대하여
제18장 긴장과 휴식
제4편 전투
제1장 개관
제2장 근대 회전의 성격
제3장 전투 일반에 대하여
제4장 전투 일반에 대하여(이어서)
제5장 전투 의의에 대해서
제6장 전투의 지속 시간
제7장 전투에서의 승패 결정
제8장 전투에 대한 양군의 합의
제9장 주력 전투
제10장 주력 전투(이어서 1)
제11장 주력 전투(이어서 2)
제12장 전승을 이용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
제13장 패전 뒤의 퇴각
제14장 야간 전투
제5편 전투력
제1장 개관
제2장 전장 군 전역
제3장 적군과 아군의 병력 비율
제4장 병종의 비율
제5장 군의 전투 서열
제6장 군의 일반적 배치
제7장 전위와 전초
제8장 선진 부대의 동작
제9장 야영
제10장 행군
제11장 행군(이어서 1)
제12장 행군(이어서 2)
제13장 사영
제14장 보급
제15장 후방 기지
제16장 연락선(連絡線)
제17장 토지와 지형
제18장 제고(制高)
제6편 방어
제1장 공격과 방어
제2장 전술에서의 공격과 방어의 관계
제3장 전술에서의 공격과 방어의 관계
제4장 공격의 구심성과 방어의 이심성
제5장 전략적 방어의 성격
제6장 방어 수단의 규모
제7장 공격과 방어의 서로 작용
제8장 여러 저항 방식
제9장 방어적 회전540 제10장 요새
제11장 요새(이어서)
제12장 방어 진지
제13장 견진지(堅陣地)와 보루 진지
제14장 측면 진지
제15장 산지 방어
제16장 산지 방어(이어서 1)
제17장 산지 방어(이어서 2)
제18장 하천 방어
제19장 하천 방어(이어서)
제20장 소택지 방어와 범람
제21장 삼림 방어
제22장 초병선 방식
제23장 국토의 요충지
제24장 전략적 측면에 대한 활동
제25장 자기 국토 내부로의 후퇴
제26장 국민 총무장
제27장 전쟁터의 방어
제28장 전쟁터의 방어(이어서 1)
제29장 전쟁터의 방어(이어서 2)
제30장 전쟁터의 방어(이어서 3)
제7편 공격(초안)
제1장 방어와 대립 관계에서 본 공격
제2장 전략적 공격의 성질
제3장 전략적 공격의 대상에 대하여
제4장 공격자측의 공격력 감퇴
제5장 전략적 공격의 극한점
제6장 적 전투력의 격멸
제7장 공세 회전
제8장 도하
제9장 방어 진지의 공격
제10장 보루 야영의 공격
제11장 산지 공격
제12장 초병선식 방어선의 공격
제13장 기동
제14장 소택지, 범람지, 삼림지의 공격
제15장 서로 결전을 요구하는 싸움터 공격
제16장 서로 결전을 원하지 않는 싸움터 공격
제17장 요새의 공격
제18장 수송대에 대한 공격
제19장 사영에 든 적군에 대한 공격
제20장 견제
제21장 침략
제8편 전쟁 계획
제1장 머리말
제2장 절대적 전쟁과 실제의 전쟁
제3장 전쟁 내적 연관과 노력의 크고작음
제4장 전쟁 목표에 관한 한층 자세한 규정
제5장 전쟁 목표에 관한 한층 자세한 규정(이어서)
제6장 전쟁에서 정치적 목적 그 영향과 정치의 도구
제7장 제한된 전쟁 목표―공격적 전쟁
제8장 제한된 전쟁 목표(이어서)―방어
제9장 적의 완전한 타도를 목표로 할 때 전쟁 계획
클라우제비츠 생애와 작품과 그 영향
클라우제비츠 연보
방침-지은이
머리말-지은이
제1편 전쟁의 본질에 대하여
제1장 전쟁이란 무엇인가
제2장 전쟁의 목적과 수단
제3장 군사적 천재
제4장 전쟁에서의 위험에 대하여
제5장 전쟁에서의 육체적 고통에 대하여
제6장 전쟁에 있어서의 정보
제7장 전쟁에서의 마찰
제8장 제1편의 결론
제2편 전쟁의 이론에 대하여
제1장 전쟁술의 구분
제2장 전쟁의 이론에 대하여
제3장 전쟁술인가 전쟁학인가
제4장 방법주의
제5장 비판
제6장 전쟁 사례에 대하여
제3편 전략 일반에 대하여
제1장 전략
제2장 전략의 여러 요소
제3장 정신적 요소
제4장 중요한 정신력215 제5장 군대의 무덕
제6장 용감성
제7장 불굴
제8장 수의 우세
제9장 기습
제10장 궤책
제11장 공간에서의 병력 집중
제12장 시간상 병력 집합
제13장 전략적 예비 병력
제14장 병력의 경제적 사용
제15장 기하학적 요소
제16장 군사적 행동 정지에 대해서
제17장 근대전 성격에 대하여
제18장 긴장과 휴식
제4편 전투
제1장 개관
제2장 근대 회전의 성격
제3장 전투 일반에 대하여
제4장 전투 일반에 대하여(이어서)
제5장 전투 의의에 대해서
제6장 전투의 지속 시간
제7장 전투에서의 승패 결정
제8장 전투에 대한 양군의 합의
제9장 주력 전투
제10장 주력 전투(이어서 1)
제11장 주력 전투(이어서 2)
제12장 전승을 이용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
제13장 패전 뒤의 퇴각
제14장 야간 전투
제5편 전투력
제1장 개관
제2장 전장 군 전역
제3장 적군과 아군의 병력 비율
제4장 병종의 비율
제5장 군의 전투 서열
제6장 군의 일반적 배치
제7장 전위와 전초
제8장 선진 부대의 동작
제9장 야영
제10장 행군
제11장 행군(이어서 1)
제12장 행군(이어서 2)
제13장 사영
제14장 보급
제15장 후방 기지
제16장 연락선(連絡線)
제17장 토지와 지형
제18장 제고(制高)
제6편 방어
제1장 공격과 방어
제2장 전술에서의 공격과 방어의 관계
제3장 전술에서의 공격과 방어의 관계
제4장 공격의 구심성과 방어의 이심성
제5장 전략적 방어의 성격
제6장 방어 수단의 규모
제7장 공격과 방어의 서로 작용
제8장 여러 저항 방식
제9장 방어적 회전540 제10장 요새
제11장 요새(이어서)
제12장 방어 진지
제13장 견진지(堅陣地)와 보루 진지
제14장 측면 진지
제15장 산지 방어
제16장 산지 방어(이어서 1)
제17장 산지 방어(이어서 2)
제18장 하천 방어
제19장 하천 방어(이어서)
제20장 소택지 방어와 범람
제21장 삼림 방어
제22장 초병선 방식
제23장 국토의 요충지
제24장 전략적 측면에 대한 활동
제25장 자기 국토 내부로의 후퇴
제26장 국민 총무장
제27장 전쟁터의 방어
제28장 전쟁터의 방어(이어서 1)
제29장 전쟁터의 방어(이어서 2)
제30장 전쟁터의 방어(이어서 3)
제7편 공격(초안)
제1장 방어와 대립 관계에서 본 공격
제2장 전략적 공격의 성질
제3장 전략적 공격의 대상에 대하여
제4장 공격자측의 공격력 감퇴
제5장 전략적 공격의 극한점
제6장 적 전투력의 격멸
제7장 공세 회전
제8장 도하
제9장 방어 진지의 공격
제10장 보루 야영의 공격
제11장 산지 공격
제12장 초병선식 방어선의 공격
제13장 기동
제14장 소택지, 범람지, 삼림지의 공격
제15장 서로 결전을 요구하는 싸움터 공격
제16장 서로 결전을 원하지 않는 싸움터 공격
제17장 요새의 공격
제18장 수송대에 대한 공격
제19장 사영에 든 적군에 대한 공격
제20장 견제
제21장 침략
제8편 전쟁 계획
제1장 머리말
제2장 절대적 전쟁과 실제의 전쟁
제3장 전쟁 내적 연관과 노력의 크고작음
제4장 전쟁 목표에 관한 한층 자세한 규정
제5장 전쟁 목표에 관한 한층 자세한 규정(이어서)
제6장 전쟁에서 정치적 목적 그 영향과 정치의 도구
제7장 제한된 전쟁 목표―공격적 전쟁
제8장 제한된 전쟁 목표(이어서)―방어
제9장 적의 완전한 타도를 목표로 할 때 전쟁 계획
클라우제비츠 생애와 작품과 그 영향
클라우제비츠 연보
출판사 리뷰
현대 군사학 경영학 불후의 전략서
이 책은 난해하기로 유명한 클라우제비츠『전쟁론(Vom Kriege, 1832~34)』 독일어 원전을 허문순 선생이 30여년에 걸쳐 심혈을 기울여 번역한 한국 최초 완역본이다.
클라우제비츠는 나폴레옹전쟁 때 황태자 아우구스트의 부관으로서 출정했는데, 1806년 예나전투에서 패배해 황태자와 함께 프랑스군 포로가 되었다. 프랑스에 억류됐던 1년간 그는 프리드리히대왕 영광과 전통으로 빛나는 프로이센군이 어째서 뿌리도 없는 오합지졸 나폴레옹군대에게 어이없이 패했는가 하는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했다. 이것이 바로 클라우제비츠가 『전쟁론』을 집필한 동기이다. 1818년 베를린 사관학교장이 된 클라우제비츠는 12년간 전쟁론의 연구와 저술에 몰두했다. 그는 프리드리히대왕과 나폴레옹 전쟁사 연구를 계속하였다.
그리하여 전쟁이란 상대를 굴복시켜 자신의 의지를 상대에게 강요하는 폭력행위라는 결론을 얻고 이를 정의로 삼았다. 전쟁에서 그 철저함을 결정짓는 것은 정치적 의도나 판단이라 여기고, ‘전쟁이란 다른 수단으로 하는 정치의 연장’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또한 프리드리히대왕과 나폴레옹의 장수로서 탁월한 정치·군사적 전략의 재능을 바탕으로, 장수의 자질과 능력이 전쟁의 결과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하게 주장한다. 그는 그때까지 군사과학에서 개념이 막연했던 전략과 전술을 엄격히 구분해, ‘전쟁준비’로서 현대의 병참을 들어, 군사학과 용병술의 체계를 세웠다. 오늘날에는 이 전략, 전술, 병참을 통틀어서 용병술로 보고 있다.
주목할 것은 그가 일정한 규칙과 이론을 세우고 그것을 전쟁사의 사례에 적용해 검증하는 연역·귀납법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그는 이에 관해서 “이론은 교의가 아니라 관찰이어야 한다”는 명언을 남겼다. 『전쟁론』은 클라우제비츠가 1831년 병으로 갑자기 세상을 떠나자, 그의 부인 마리가 1832~34년까지 3년간 걸쳐 남편의 원고들을 편집, 출간한 책으로, 오늘날까지도 군사학·경영학 불후의 전략서로 손꼽히고 있다.
전쟁철학의 고전적 명저
『전쟁론』은 전쟁철학의 고전적 명저로 후세인들에게 크나큰 영향을 미친 책이다. 클라우제비츠 사후에 출판된 『유작집(1832∼37)』 10권 가운데 첫 3권이 바로 이 『전쟁론』이다. 전쟁 본질, 전쟁 이론, 전략 일반, 전투, 전투력(군사력), 방어, 공격, 전쟁계획의 8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전쟁의 본질·이론·전략 기본 등 전쟁철학적 부분은 오늘날에도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이 책은 프로이센 장군 클라우제비츠가 나폴레옹의 러시아원정(1812)과 워털루싸움(1815) 등 수많은 실전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쓴 전쟁기술에 대한 고전적 병서(兵書)이며, 또한 전쟁을 정치와 관련시킨 점에서 훌륭한 정치학서이기도 하다.
『전쟁론』은 그 뒤 독일의 몰트케·슐리펜·힌덴부르크 등 여러 장군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공산주의자 엥겔스나 레닌까지도 『전쟁론』을 군사과학의 고전이라고 높이 평가, 그것을 기초로 하여 독자적인 전쟁이론을 만들어냈다. 그가 말한 전쟁의 본질은 계급투쟁에서 적을 격멸하는 것이라 바꾸어 말하고, 혁명의 성공을 위해서는 인민대중의 민주주의 사상 육성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혁명과 정치를 결부시킨 이론을 구축하였다.
또 1951년 미국 육군사관학교에서 발간된 『클라우제비츠·조미니·슐리펜』이라는 책에서는 이 『전쟁론』의 철학을 비스마르크의 철혈철학이며 동시에 히틀러의 이른바 ‘나의 투쟁’ 철학과 같은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이 책은 출간된 후부터 현재까지 세계의 수많은 국가와 사람에게 많은 영향을 끼쳐 왔고, 오늘날에도 거의 모든 국가의 군사교육기관에서 강의의 교본으로 삼고 있다.
이 책은 난해하기로 유명한 클라우제비츠『전쟁론(Vom Kriege, 1832~34)』 독일어 원전을 허문순 선생이 30여년에 걸쳐 심혈을 기울여 번역한 한국 최초 완역본이다.
클라우제비츠는 나폴레옹전쟁 때 황태자 아우구스트의 부관으로서 출정했는데, 1806년 예나전투에서 패배해 황태자와 함께 프랑스군 포로가 되었다. 프랑스에 억류됐던 1년간 그는 프리드리히대왕 영광과 전통으로 빛나는 프로이센군이 어째서 뿌리도 없는 오합지졸 나폴레옹군대에게 어이없이 패했는가 하는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했다. 이것이 바로 클라우제비츠가 『전쟁론』을 집필한 동기이다. 1818년 베를린 사관학교장이 된 클라우제비츠는 12년간 전쟁론의 연구와 저술에 몰두했다. 그는 프리드리히대왕과 나폴레옹 전쟁사 연구를 계속하였다.
그리하여 전쟁이란 상대를 굴복시켜 자신의 의지를 상대에게 강요하는 폭력행위라는 결론을 얻고 이를 정의로 삼았다. 전쟁에서 그 철저함을 결정짓는 것은 정치적 의도나 판단이라 여기고, ‘전쟁이란 다른 수단으로 하는 정치의 연장’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또한 프리드리히대왕과 나폴레옹의 장수로서 탁월한 정치·군사적 전략의 재능을 바탕으로, 장수의 자질과 능력이 전쟁의 결과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하게 주장한다. 그는 그때까지 군사과학에서 개념이 막연했던 전략과 전술을 엄격히 구분해, ‘전쟁준비’로서 현대의 병참을 들어, 군사학과 용병술의 체계를 세웠다. 오늘날에는 이 전략, 전술, 병참을 통틀어서 용병술로 보고 있다.
주목할 것은 그가 일정한 규칙과 이론을 세우고 그것을 전쟁사의 사례에 적용해 검증하는 연역·귀납법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그는 이에 관해서 “이론은 교의가 아니라 관찰이어야 한다”는 명언을 남겼다. 『전쟁론』은 클라우제비츠가 1831년 병으로 갑자기 세상을 떠나자, 그의 부인 마리가 1832~34년까지 3년간 걸쳐 남편의 원고들을 편집, 출간한 책으로, 오늘날까지도 군사학·경영학 불후의 전략서로 손꼽히고 있다.
전쟁철학의 고전적 명저
『전쟁론』은 전쟁철학의 고전적 명저로 후세인들에게 크나큰 영향을 미친 책이다. 클라우제비츠 사후에 출판된 『유작집(1832∼37)』 10권 가운데 첫 3권이 바로 이 『전쟁론』이다. 전쟁 본질, 전쟁 이론, 전략 일반, 전투, 전투력(군사력), 방어, 공격, 전쟁계획의 8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전쟁의 본질·이론·전략 기본 등 전쟁철학적 부분은 오늘날에도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이 책은 프로이센 장군 클라우제비츠가 나폴레옹의 러시아원정(1812)과 워털루싸움(1815) 등 수많은 실전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쓴 전쟁기술에 대한 고전적 병서(兵書)이며, 또한 전쟁을 정치와 관련시킨 점에서 훌륭한 정치학서이기도 하다.
『전쟁론』은 그 뒤 독일의 몰트케·슐리펜·힌덴부르크 등 여러 장군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공산주의자 엥겔스나 레닌까지도 『전쟁론』을 군사과학의 고전이라고 높이 평가, 그것을 기초로 하여 독자적인 전쟁이론을 만들어냈다. 그가 말한 전쟁의 본질은 계급투쟁에서 적을 격멸하는 것이라 바꾸어 말하고, 혁명의 성공을 위해서는 인민대중의 민주주의 사상 육성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혁명과 정치를 결부시킨 이론을 구축하였다.
또 1951년 미국 육군사관학교에서 발간된 『클라우제비츠·조미니·슐리펜』이라는 책에서는 이 『전쟁론』의 철학을 비스마르크의 철혈철학이며 동시에 히틀러의 이른바 ‘나의 투쟁’ 철학과 같은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이 책은 출간된 후부터 현재까지 세계의 수많은 국가와 사람에게 많은 영향을 끼쳐 왔고, 오늘날에도 거의 모든 국가의 군사교육기관에서 강의의 교본으로 삼고 있다.
'51.서양철학의 이해 (독서>책소개) > 1.서양철학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쓰는 맑스주의 사상사 (0) | 2021.11.30 |
---|---|
일리아스 (0) | 2021.11.29 |
동방견문록 (마르코폴로) (0) | 2021.11.22 |
오디세이아 (호메로스) (0) | 2021.11.22 |
군주론/정략론 (마키아벨리) (0) | 2021.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