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2018년 4월의 남북정상회담과 6월 북미정상회담은 놀라운 변화를 가져왔다. 그런데 지난 2019년에는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의 결렬로 한 해 동안 많은 어려움을 겪었던 것이 사실이다. 최근 한반도 현황의 변화로 인해 이 책의 주요 부분의 통계 수치 수정과 부분적 내용 개정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 책의 바람과 같이 미래의 한반도 통일을 위해 북한을 좀 더 알고, 남북이 주변국들과 함께 신뢰를 쌓아서, 한반도 일대가 평화로워지는 한 해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목차
차례
01 우리에게 통일과 북한은 무엇인가? “진희관” 001
01 통일은 필수 또는 선택 / 002
02 통일에 대한 관심의 ‘높낮이’ / 005
03 통일은 명분과 실리를 줄 수 있어야 / 008
04 중앙과 지방, 접경과 비접경 지역의 통일 / 014
05 북한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 017
06 남북 신뢰회복과 상호 이익을 추구해야 / 020
「한반도 역사 탐구」
02 남북한이 어떻게 분단되었는가? “임상순” 025
01 남북 분단의 국제적 요인 / 026
02 미군정과 남한 정부 수립 과정 / 028
03 소련군정과 북한 정부 수립 과정 / 037
03 남북한 체제 발전의 역사 “문인철” 047
01 한반도 분단구조에 대한 이해 / 048
02 정치적 정당성이란 무엇인가? / 053
03 북한 체제의 역사 / 056
04 남한 체제 발전의 역사 / 062
04 남북 갈등 및 협력(합의)의 역사 “문인철” 069
01 남북갈등이란 무엇인가? / 070
02 남북갈등의 역사 / 076
03 남북 협력(합의)의 역사 / 082
「한반도 쟁점 탐구」
05 북한 핵 문제와 국제정치 “홍석훈” 097
01 북한의 핵전략 발전과 대외전략 / 098
02 북한 핵정책과 한반도 정세 / 110
06 북한인권문제의 이해와 해법 “서보혁” 121
01 북한인권 실태 / 122
02 북한의 인권정책 / 128
03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정책 평가 / 131
04 한국의 역할과 과제 / 136
07 북한의 경제: 교류협력 “진희관” 143
01 북한 경제 현실과 경제정책 / 144
02 북한 경제의 성장도 / 148
03 북한의 장마당 현황과 시장화 / 152
04 남북교역의 현황과 전망 / 157
「한반도 미래 탐구」
08 남북한 통일방안의 역사비교 “홍석훈” 167
01 남북한의 통일정책 비교 / 168
02 통일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통일전략 모색 / 178
09 독일, 예멘, 베트남의 통일사례 “임상순” 201
01 독일의 통일사례 / 202
02 예멘의 통일사례 / 209
03 베트남의 통일사례 / 216
10 사회통합 문제: 북한이탈주민 “엄현숙” 223
01 사회통합의 이해 / 224
02 우리사회의 북한이탈주민 / 226
03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통합 / 232
11 남북한 교육 비교와 통일교육 방향 “엄현숙” 239
01 남북한 교육 비교 / 240
02 통일교육의 방향 모색 / 251
12 통일, 무엇을 할 것인가? 통일의 비전 “함규진” 257
01 통일의 희망과 비전 / 258
02 통일의식에서 통일운동으로 / 267
03 근대사의 ‘해피엔딩’을 위하여 / 273
01 우리에게 통일과 북한은 무엇인가? “진희관” 001
01 통일은 필수 또는 선택 / 002
02 통일에 대한 관심의 ‘높낮이’ / 005
03 통일은 명분과 실리를 줄 수 있어야 / 008
04 중앙과 지방, 접경과 비접경 지역의 통일 / 014
05 북한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 017
06 남북 신뢰회복과 상호 이익을 추구해야 / 020
「한반도 역사 탐구」
02 남북한이 어떻게 분단되었는가? “임상순” 025
01 남북 분단의 국제적 요인 / 026
02 미군정과 남한 정부 수립 과정 / 028
03 소련군정과 북한 정부 수립 과정 / 037
03 남북한 체제 발전의 역사 “문인철” 047
01 한반도 분단구조에 대한 이해 / 048
02 정치적 정당성이란 무엇인가? / 053
03 북한 체제의 역사 / 056
04 남한 체제 발전의 역사 / 062
04 남북 갈등 및 협력(합의)의 역사 “문인철” 069
01 남북갈등이란 무엇인가? / 070
02 남북갈등의 역사 / 076
03 남북 협력(합의)의 역사 / 082
「한반도 쟁점 탐구」
05 북한 핵 문제와 국제정치 “홍석훈” 097
01 북한의 핵전략 발전과 대외전략 / 098
02 북한 핵정책과 한반도 정세 / 110
06 북한인권문제의 이해와 해법 “서보혁” 121
01 북한인권 실태 / 122
02 북한의 인권정책 / 128
03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정책 평가 / 131
04 한국의 역할과 과제 / 136
07 북한의 경제: 교류협력 “진희관” 143
01 북한 경제 현실과 경제정책 / 144
02 북한 경제의 성장도 / 148
03 북한의 장마당 현황과 시장화 / 152
04 남북교역의 현황과 전망 / 157
「한반도 미래 탐구」
08 남북한 통일방안의 역사비교 “홍석훈” 167
01 남북한의 통일정책 비교 / 168
02 통일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통일전략 모색 / 178
09 독일, 예멘, 베트남의 통일사례 “임상순” 201
01 독일의 통일사례 / 202
02 예멘의 통일사례 / 209
03 베트남의 통일사례 / 216
10 사회통합 문제: 북한이탈주민 “엄현숙” 223
01 사회통합의 이해 / 224
02 우리사회의 북한이탈주민 / 226
03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통합 / 232
11 남북한 교육 비교와 통일교육 방향 “엄현숙” 239
01 남북한 교육 비교 / 240
02 통일교육의 방향 모색 / 251
12 통일, 무엇을 할 것인가? 통일의 비전 “함규진” 257
01 통일의 희망과 비전 / 258
02 통일의식에서 통일운동으로 / 267
03 근대사의 ‘해피엔딩’을 위하여 / 273
출판사 리뷰
제3판 머리말
책을 출판한 지 2년여 만에 세 번째 개정판을 내게 되어 우선 독자들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하고자 한다. 일곱 분의 필진들이 각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하는 학자들이지만, 책의 내용에는 부족한 부분이 없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그동안 많은 독자들이 이 책을 읽어 주신 데 대해 깊이 감사드린다.
처음 출판을 위해 원고를 썼던 2017년 가을과 오늘날의 한반도 정세가 많이 달라졌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2018년 4월의 남북정상회담과 6월 북미정상회담은 놀라운 변화를 가져왔다. 그런데 지난 2019년에는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의 결렬로 한 해 동안 많은 어려움을 겪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제 2020년은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반도의 긍정적 변화를 볼 수 있는 전환의 해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마찬가지로 최근 한반도 현황의 변화로 인해 이 책의 주요 부분의 통계 수치 수정과 부분적 내용 개정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다행히도 모든 필자들께서 성심을 다해 개정에 참여해 주셔서 세 번째 개정판을 내놓을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하며 필자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자 한다. 또한 출판 을 준비할 때마다 많은 배려를 아끼지 않은 박영사 측에 감사드리며, 특히 매번 자기 일처럼 출판에 애를 써 주신 필자 문인철 박사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자 한다.
이 책의 바람과 같이 미래의 한반도 통일을 위해 북한을 좀 더 알고, 남북이 주변국들과 함께 신뢰를 쌓아서, 한반도 일대가 평화로워지는 한 해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2020년 2월 필자들을 대표하여 진희관
책을 출판한 지 2년여 만에 세 번째 개정판을 내게 되어 우선 독자들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하고자 한다. 일곱 분의 필진들이 각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하는 학자들이지만, 책의 내용에는 부족한 부분이 없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그동안 많은 독자들이 이 책을 읽어 주신 데 대해 깊이 감사드린다.
처음 출판을 위해 원고를 썼던 2017년 가을과 오늘날의 한반도 정세가 많이 달라졌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2018년 4월의 남북정상회담과 6월 북미정상회담은 놀라운 변화를 가져왔다. 그런데 지난 2019년에는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의 결렬로 한 해 동안 많은 어려움을 겪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제 2020년은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반도의 긍정적 변화를 볼 수 있는 전환의 해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마찬가지로 최근 한반도 현황의 변화로 인해 이 책의 주요 부분의 통계 수치 수정과 부분적 내용 개정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다행히도 모든 필자들께서 성심을 다해 개정에 참여해 주셔서 세 번째 개정판을 내놓을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하며 필자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자 한다. 또한 출판 을 준비할 때마다 많은 배려를 아끼지 않은 박영사 측에 감사드리며, 특히 매번 자기 일처럼 출판에 애를 써 주신 필자 문인철 박사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자 한다.
이 책의 바람과 같이 미래의 한반도 통일을 위해 북한을 좀 더 알고, 남북이 주변국들과 함께 신뢰를 쌓아서, 한반도 일대가 평화로워지는 한 해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2020년 2월 필자들을 대표하여 진희관
'25.한반도평화 연구 (박사전공>책소개) > 3.통일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일을 보는 눈 (0) | 2022.01.17 |
---|---|
12개 렌즈로 보는 남북관계 (0) | 2022.01.17 |
통일 교육 : 한반도 평화를 보는 12가지 시선 (0) | 2022.01.17 |
통일 논쟁 : 12가지 쟁점, 새로운 모색 (0) | 2021.12.13 |
알기 쉬운 남북관계 읽기 (0) | 2021.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