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망간광산에서 노역을 해야 했던 조선인, 그들의 한
조선이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한 뒤, 많은 조선인이 일본으로 건너갔다. 부와 출세를 위해 간 사람도 있었지만 대부분 살아남기 위해서였다. 『재일조선인 아리랑』은 재일조선인 2세이자, 망간광산에서 채굴활동을 한 저자와 저자의 아버지 이야기다. 아버지 이정호 씨와 그의 아들이자 이 책의 저자인 이용식 씨는 차별의 벽에 맞서 단바망간기념관을 세웠다. 해방 이후 조선인과 일본인 사이에서 정체성 문제로 힘든 삶을 살아야 했던 재일 조선인의 한이 이 책에 담겼다.
조선이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한 뒤, 많은 조선인이 일본으로 건너갔다. 부와 출세를 위해 간 사람도 있었지만 대부분 살아남기 위해서였다. 『재일조선인 아리랑』은 재일조선인 2세이자, 망간광산에서 채굴활동을 한 저자와 저자의 아버지 이야기다. 아버지 이정호 씨와 그의 아들이자 이 책의 저자인 이용식 씨는 차별의 벽에 맞서 단바망간기념관을 세웠다. 해방 이후 조선인과 일본인 사이에서 정체성 문제로 힘든 삶을 살아야 했던 재일 조선인의 한이 이 책에 담겼다.
목차
추천의 글
들어가며
1부 ‘단바망간기념관’ 7300일
1장 아버지, 어머니가 걸어온 길
2장 ‘재일’에 새겨진 역사
3장 아버지 이정호가 추구했던 것
4장 아버지와 길을 떠나다: 조선인 강제연행과 망간광산
5장 진폐증과의 싸움
6장 ‘단바망간기념관’의 탄생
7장 ‘단바망간기념관’ 관장직을 이어받아
2부 나의 연구 노트
1장 재일조선인 차별로부터 해방을 향하여
2장 가해의 역사를 직시하며
3장 역사 왜곡을 밝힌다: 다나카 사카이의 ??망간 파라다이스?? 3장 비판
자료편
글을 마치며
역자 후기
들어가며
1부 ‘단바망간기념관’ 7300일
1장 아버지, 어머니가 걸어온 길
2장 ‘재일’에 새겨진 역사
3장 아버지 이정호가 추구했던 것
4장 아버지와 길을 떠나다: 조선인 강제연행과 망간광산
5장 진폐증과의 싸움
6장 ‘단바망간기념관’의 탄생
7장 ‘단바망간기념관’ 관장직을 이어받아
2부 나의 연구 노트
1장 재일조선인 차별로부터 해방을 향하여
2장 가해의 역사를 직시하며
3장 역사 왜곡을 밝힌다: 다나카 사카이의 ??망간 파라다이스?? 3장 비판
자료편
글을 마치며
역자 후기
책 속으로
나의 아버지 이정호는 1934년 한반도에서 건너와 게이호쿠초에서 살았습니다. 아버지는 돌아가시는 날까지 트럭운전수 조수를 비롯해 갖은 일을 해왔습니다. 그중에서도 망간광산에서의 일에 아버지는 가장 열정을 쏟았습니다. 좁은 광산의 갱도에서 쭈그린 자세로 포대에 200킬로그램이나 되는 망간 광석을 등에 지고 나르는 노동은 상상을 초월하는 가혹한 것이었습니다.
아버지와 동포들이 운반한 망간은 건전지, 맥주병 등 사람들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필수품을 만드는 데에 사용되었고, 국가의 기반이 되는 철강을 생산하는 데 필수적인 것이었습니다. 이런 목숨을 건 조선인들의 노동으로 일본인들의 생활은 윤택해졌지만, 그것에 대한 일본과 일본인의 ‘보답’은 물에 빠진 자에게 채찍질을 가하는 것과 같은 잔인한 ‘차별’이었습니다.
그러나 아버지는 고된 노역에도, 차별에도 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아버지가 돌연 어느 날, 망간광산에 박물관을 세워야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진폐증으로 숨 쉬는 것조차 괴로워하시던 아버지는 거친 숨을 몰아쉬면서 ‘망간 박물관은 내 무덤이 될 것이다’, ‘조선인의 역사를 남기는 일이다’라고 잘라 말했습니다.
망간 광맥이라도 뚫을 듯한 아버지의 강한 유지가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게이호쿠초 고립무원의 한 조선인 일가가 조선인의 역사를 남기겠다는 뜨겁고 뜨거운 가슴으로 두껍고도 두터운 차별의 암반을 깨부수어 갔던 것입니다. 그리하여 1989년 5월, ‘단바망간기념관’이 탄생하였습니다. 이 책은 그 후 20년이란 세월 동안 20만 방문객과 함께 걸어온 ‘단바망간기념관’ 7300일의 기록이기도 합니다.
‘단바망간기념관’은 일본인에게 일본 전후(戰後)의 존재방식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는 강력한 레지스탕스였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일본은 이대로 가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차별의 역사, 이것은 그야말로 인권이 짓밟혔던 재일조선인의 고투의 역사를 의미합니다. 이른바 한국 ? 조선인 문제라고하면, 한국인과 조선인이 갖고 있는 문제인 것처럼 들릴지 모르겠지만, 사실 일본인 자신의 문제인 것입니다. 한국 ? 조선인을 전후 60년이 넘도록 아무 의미도 없이 차별해온 일본 측에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모르는 일본인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기념관을 재건하는 모임이 발족되어 감사한 마음뿐이나, 재건은 단념할 수밖에 없습니다. 2009년 5월 31일부로 ‘단바망간기념관’은 문을 닫습니다.
그러나 저는 싸우지 않고 패배를 인정해 버리는 일은 하지 않겠습니다. ‘단바망간기념관’은 폐관하지만 저의 투쟁은 계속 될 것입니다. 그리고 ‘아버지의 여정’도 아직 끝난 것은 아닙니다.
아버지께서 입버릇처럼 하시던 말씀이 있었습니다. “가령 공격을 받아 죽더라도 뒤로 쓰러지지 말고 앞을 향해 쓰러지며 죽자.”
일본 전후의 역사, 차별의 역사와 싸우다 돌아가신 아버지께 이 책을 바칩니다.
아버지와 동포들이 운반한 망간은 건전지, 맥주병 등 사람들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필수품을 만드는 데에 사용되었고, 국가의 기반이 되는 철강을 생산하는 데 필수적인 것이었습니다. 이런 목숨을 건 조선인들의 노동으로 일본인들의 생활은 윤택해졌지만, 그것에 대한 일본과 일본인의 ‘보답’은 물에 빠진 자에게 채찍질을 가하는 것과 같은 잔인한 ‘차별’이었습니다.
그러나 아버지는 고된 노역에도, 차별에도 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아버지가 돌연 어느 날, 망간광산에 박물관을 세워야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진폐증으로 숨 쉬는 것조차 괴로워하시던 아버지는 거친 숨을 몰아쉬면서 ‘망간 박물관은 내 무덤이 될 것이다’, ‘조선인의 역사를 남기는 일이다’라고 잘라 말했습니다.
망간 광맥이라도 뚫을 듯한 아버지의 강한 유지가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게이호쿠초 고립무원의 한 조선인 일가가 조선인의 역사를 남기겠다는 뜨겁고 뜨거운 가슴으로 두껍고도 두터운 차별의 암반을 깨부수어 갔던 것입니다. 그리하여 1989년 5월, ‘단바망간기념관’이 탄생하였습니다. 이 책은 그 후 20년이란 세월 동안 20만 방문객과 함께 걸어온 ‘단바망간기념관’ 7300일의 기록이기도 합니다.
‘단바망간기념관’은 일본인에게 일본 전후(戰後)의 존재방식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는 강력한 레지스탕스였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일본은 이대로 가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차별의 역사, 이것은 그야말로 인권이 짓밟혔던 재일조선인의 고투의 역사를 의미합니다. 이른바 한국 ? 조선인 문제라고하면, 한국인과 조선인이 갖고 있는 문제인 것처럼 들릴지 모르겠지만, 사실 일본인 자신의 문제인 것입니다. 한국 ? 조선인을 전후 60년이 넘도록 아무 의미도 없이 차별해온 일본 측에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모르는 일본인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기념관을 재건하는 모임이 발족되어 감사한 마음뿐이나, 재건은 단념할 수밖에 없습니다. 2009년 5월 31일부로 ‘단바망간기념관’은 문을 닫습니다.
그러나 저는 싸우지 않고 패배를 인정해 버리는 일은 하지 않겠습니다. ‘단바망간기념관’은 폐관하지만 저의 투쟁은 계속 될 것입니다. 그리고 ‘아버지의 여정’도 아직 끝난 것은 아닙니다.
아버지께서 입버릇처럼 하시던 말씀이 있었습니다. “가령 공격을 받아 죽더라도 뒤로 쓰러지지 말고 앞을 향해 쓰러지며 죽자.”
일본 전후의 역사, 차별의 역사와 싸우다 돌아가신 아버지께 이 책을 바칩니다.
--- 본문 중에서
출판사 리뷰
“망간기념관은 내 무덤이 될 것이다. 이것은 조선인의 역사를 남기는 일이다.”
고립무원의 망간탄광에 울리는 메아리
차별의 암반 위에 잊혀 가는 재일조선인들의 역사를 새긴
단바망간기념관 7300일의 기록
이 책은 재일조선인으로, 차별의 벽에 맞서 단바망간기념관을 세운 두 부자의 이야기다. 독자들은 아버지 이정호 씨와 그의 아들이자 이 책의 저자인 이용식 씨의 삶의 궤적을 통해 나라의 상실과 식민지, 유랑과 이산, 차별과 빈곤, 해방과 분단이라는 재일조선인의 역사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죽더라도 앞을 향해 쓰러지며 죽자”는 다짐으로, 단바망간기념관을 통해 재일조선인들의 역사를 남기고자 했던 아버지 이정호 씨의 모습은 책장을 덮고 난 후에도 긴 여운으로 남는다.
일본에는 현재 약 60만의 재일조선인이 거주하고 있다. 일본 국적을 취득한 사람들까지 합하면 수백 만 명에 이른다. 해방 이후 그 어느 쪽으로도 편입되지 못한 채 세월 속에 스러져간 이들의 한(恨)의 역사는, 일본을 비난하기에 앞서 그동안 그들의 존재를 덮어두고 잊으려 했던 우리의 모습을 뒤돌아보게 한다.
2009년 5월 31일자로 단바망간기념관은 폐관되었지만, 현재 재건을 위한 움직임이 국내외로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일본인으로 귀화하고 일본에 동화하는 것이 아니라, 차이를 인정하고 공존하는 것. 자신이 변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을 변화시키는 것에 도전하며, 재일조선인이 있는 그대로 민족의 자긍심을 갖고 차별받지 않고 살 수 있는 사회. 그 자손들도 다름을 인정받으며 살 수 있는 사회. 이것이 아버지의 염원이었을 것입니다.”라는 저자의 고백이 큰 울림으로 전해져 보다 많은 이들이 재일조선인의 역사에 관심을 기울이고, 공감하길 바란다.
고립무원의 망간탄광에 울리는 메아리
차별의 암반 위에 잊혀 가는 재일조선인들의 역사를 새긴
단바망간기념관 7300일의 기록
이 책은 재일조선인으로, 차별의 벽에 맞서 단바망간기념관을 세운 두 부자의 이야기다. 독자들은 아버지 이정호 씨와 그의 아들이자 이 책의 저자인 이용식 씨의 삶의 궤적을 통해 나라의 상실과 식민지, 유랑과 이산, 차별과 빈곤, 해방과 분단이라는 재일조선인의 역사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죽더라도 앞을 향해 쓰러지며 죽자”는 다짐으로, 단바망간기념관을 통해 재일조선인들의 역사를 남기고자 했던 아버지 이정호 씨의 모습은 책장을 덮고 난 후에도 긴 여운으로 남는다.
일본에는 현재 약 60만의 재일조선인이 거주하고 있다. 일본 국적을 취득한 사람들까지 합하면 수백 만 명에 이른다. 해방 이후 그 어느 쪽으로도 편입되지 못한 채 세월 속에 스러져간 이들의 한(恨)의 역사는, 일본을 비난하기에 앞서 그동안 그들의 존재를 덮어두고 잊으려 했던 우리의 모습을 뒤돌아보게 한다.
2009년 5월 31일자로 단바망간기념관은 폐관되었지만, 현재 재건을 위한 움직임이 국내외로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일본인으로 귀화하고 일본에 동화하는 것이 아니라, 차이를 인정하고 공존하는 것. 자신이 변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을 변화시키는 것에 도전하며, 재일조선인이 있는 그대로 민족의 자긍심을 갖고 차별받지 않고 살 수 있는 사회. 그 자손들도 다름을 인정받으며 살 수 있는 사회. 이것이 아버지의 염원이었을 것입니다.”라는 저자의 고백이 큰 울림으로 전해져 보다 많은 이들이 재일조선인의 역사에 관심을 기울이고, 공감하길 바란다.
'40.한일관계사 연구 (전공분야>책소개) > 3.재일조선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권의 야망 : 밀항,수용소, 재일조선인 (0) | 2022.04.08 |
---|---|
분단과 대립을 넘어 : 재일 조선인 1세 민족교육자 (0) | 2022.04.08 |
2000년대 재일조선인 시선집 (0) | 2022.04.08 |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의 미술과 정체성 (0) | 2022.04.08 |
해방후 재일조선인운동 (1945~1965) (0) |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