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과학의 이해 (독서>책소개)/8.수학공학과학 25

아주 이상한 수학책 (2024) - 그림, 게임, 퍼즐로 즐기는 재미있는 두뇌 게임 75¼

책소개 “천재들은 왜 게임에 빠져들고, 수학은 어떻게 세상을 플레이하는가?” 게임, 퍼즐, 추리로 세상을 이해하는 75와 1/4가지 방법들! * 아마존 베스트셀러 * 수학 분야 1위 《이상한 수학책》 시리즈 최신작! 놀이가 배움이 되고, 배움이 즐거워지는 경험! 게임에서 최고의 상상력을 끌어내는 아주 이상한 수학책! 충격적으로 재미있고 유쾌한 벤 올린의 ‘이상한 수학책’ 시리즈 최신작 《아주 이상한 수학책》이 출간됐다. 그의 데뷔작은 일상 속 수학 개념과 원리를 다룬 《이상한 수학책》으로, 단 하나의 수학 문제나 해설 없이 수학을 이해하는 즐거움을 선사했다. 출간 직후 아마존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한국에서도 2020년 출간된 이후 독자들의 꾸준한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 이어 출간된 두 번째 책 《더 이..

수학의 힘 (2024) - 인생의 무기가 되는 12가지 최소한의 수학도구

책소개 “결국 수학적인 것이 살아남는다” 급변하는 세상, 수학은 언제나 올바른 도구다 내가 보유한 주식이 오를지 내릴지 예측할 수 있을까? 오늘 프리미어리그에서 토트넘이 득점할 확률은 얼마일까? 중요한 결정 상황에서 ‘틀리지 않는’ 전략은 무엇일까? 이 모든 질문을 단숨에 해결해줄 강력한 무기가 있다. 바로 수학이다. 당신이 수포자였든 아니든, 수학은 일상에서 마주하는 거의 모든 문제를 해결한다. 아주 쉽고 간단하게, 하지만 정확하게. 《수학의 힘》에서 다루는 수학은 남들에게 뽐내거나 문제를 풀 때나 필요한 그럴듯한 전문지식이 아니다. 이것은 당신의 삶을 ‘실제로’ 바꿔줄 힘에 관한 책이다. 목차 들어가며: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1부. 숫자 너머의 변화를 읽어라: 구조 1장. 적절한 그림 한 장이..

알수록 재미있는 과학 잡학사전 (2024)

책소개『알수록 재미있는 과학 잡학사전』은 수학과 물리화학의 복잡한 공식 없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과학의 세계로 여러분을 초대한다! 과학적 발견이 우리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우리 일상을 더 흥미롭게 만드는지, 그 흥미로운 세상을 만나보자.목차작가의 말 4머리말 101 인도-아라비아 숫자 142 전자기 163 지동설 204 부력 245 세균론 276 유전법칙 317 공룡 화석 338 산소 389 페니실린 4210 혈액형 4511 인슐린 4812 고무 가황법 5113 화학비료 5414 피임약 5815 혈장 6016 E=mc2 6317 지퍼 6618 DNA 이중나선 구조 6919 원소주기율표 7220 전기화학 결합 7921 원소의 빛 스펙트럼 8222 전자 8523 플라스틱 8924 바퀴 9225 ..

과학을 보다 (2023) - 문과생도 과알못도 재미있게 읽는 기발하고 수상한 과학책

책소개6개월 만에 누적 3,000만 조회수, 인기 유튜브 [과학을 보다] 출간!우주의 비밀에서 과학자의 머릿속까지친절한 물리학자 김범준의 날카로운 분석우주덕후 천문학자 우주먼지(지웅배)의 냉철한 논리서울대 원자핵공학과 명예교수 서균렬의 강렬한 카리스마방송인이자 MC 정영진의 재치 넘치는 질문157만 구독자의 유튜브 채널 [보다 BODA]의 인기 시리즈 [과학을 보다]가 드디어 책으로 출간됐다. [과학을 보다]는 최근 들어 폭발하듯이 쏟아지는 숱한 과학 관련 유튜브 영상들을 모조리 평정하며 정상에 우뚝 섰다. 100만 조회수가 넘는 흥미로운 영상이 계속 탄생하면서 시작한 지 6개월 만에 총 누적 조회수가 무려 3,000만 회를 훌쩍 넘어섰다.세상 만물에 관한 일반인의 원초적 호기심을 과학자들에게 직접 물어..

시간여행을 위한 최소한의 물리학 (2023) - 세계적인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알려주는 시간에 대한 10가지 이야기

책소개“너무 재미있어서 단숨에 읽었다!”우주의 최대 신비, ‘시간’을 탐구하는 지적 모험우리는 “시간이 없다” 혹은 “시간이 느리게 간다”와 같은 말을 입에 달고 산다. 그러나 정작 시간이 무엇인지 정확히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시간은 인간의 제한된 경험으로는 다 이해할 수 없는 우주의 신비다. 우리는 어제와 오늘과 내일을 구분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은 과거, 현재, 미래의 구분이 끈질긴 환상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우리는 시간과 공간을 별개의 개념으로 보지만, 시공간은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 게다가 현대 물리학에 의하면, 시간이란 어쩌면 인간이 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낸, 존재하지 않는 개념일지도 모른다. 이처럼 물리학으로 본 시간은 우리 생각의 틀을 깨트리며, 인식의 경..